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nges of Social Distance, Disability Awareness, and Activity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through the Parachute Play

낙하산 놀이에 따른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장애인식, 활동 만족도의 변화

  • Received : 2020.03.18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e purpose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of the social distance, disability awareness, and activity satisfac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through the parachute play. The subjects were 10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the occupational therapy. They participated in the parachute play for 4 weeks. Their social distance, disability awareness and activity satisfaction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e changes that the social distance was decreased, disability awareness and the activity satisfaction was increased after the play. Thus, to form the positive social distance and disability awareness and increase the activity satisfaction, the parachute play should be provided for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본 연구는 낙하산 놀이에 따른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장애 인식, 활동 만족도의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작업치료과 학생 10명으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4주간 낙하산 놀이에 참여하였다. 활동 참여 전 후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장애인식과 자원봉사 활동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낙하산 놀이 참여 후 사회적 거리감 및 장애인식, 활동 만족도가 증가하여 변화가 나타났다. 낙하산 놀이의 참여가 작업 치료과 학생들의 사회적 거리감과 장애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활동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치료과 학생들의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장애인식을 개선하고, 활동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원봉사 활동으로 낙하산 놀이의 적용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인성, 박선영. (2016).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6(3): 191-202.
  2. 김기정, 송브라이언병. (2018). 물리치료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1): 476-486.
  3. 한영숙, 백정규, 이종한, 이종구. (2002). 대학생의 장애인 접촉경험과 장애인 편견 간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2(1): 294-299.
  4. 이소영, 이경희. (2016). 간호대학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 정신간호학회지, 25(4): 356-366.
  5. 이소영, 서석진, 한동일. (2019).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8(1): 27-47.
  6. 박미정, 문혜경, 오두남. (2017). 대학생의 치매 지식 및 태도가 치매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3): 554-566. https://doi.org/10.5932/JKPHN.2017.31.3.554
  7. Wallach, H.S. (2004). Changes in attitudes towards mental illness following exposure.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0(3): 235-248. https://doi.org/10.1023/B:COMH.0000026997.92083.4d
  8. 마성룡, 홍은경. (2018). 장애인 관련 봉사활동 수업을 통한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장애인식 및 장애인 수용태도에 대한 변화.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8): 241-248.
  9. 한은희. (2015). 가정어린이집 실외놀이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한은희, 권경숙. (2016). 가정어린이집 실외놀이 활동에 차원봉사자로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1-22.
  11. 이소정. (2008). 유치원에서의 부모 자원봉사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영라. (2008). 유치원 학부모 자원봉사자 활용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정숙. (2003). 학부모 자원 봉사에 대한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서울 공립 유치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경숙, 장명재, 김기범. (1999). 자폐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낙하산놀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지, 7(1): 61-71.
  15. 통계청. (2018). 장애인 현황. 통계청.
  16. 이보라. (2001). 장애인 복지시설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보건복지부. (2018). 2018년 장애인 복지시설 일람표. 보건복지부.
  18. 손성민. (2020).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봉사활동 참여에 따른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작업치료사에 대한 직무인식과 직무만족의 변화.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10(1): 1-12.
  19. 곽정숙, 김윤정, 우승희. (2009). 치위생과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 콘텐츠학회 논문지, 9(7): 241-247.
  20. 최길순. (2011).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한국응급구조학회지, 15(2): 85-99. https://doi.org/10.14408/KJEMS.2011.15.2.085
  21. 오정림, 손호희, 김기열. (2016). 물리치료학과 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1): 425-432.
  22. Lee, H.S. (2018). Study on attitudes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toward disabled individual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6(4): 158-164. https://doi.org/10.17703//IJACT2018.6.4.158
  23. 장철, 신현석. (2013). 작업치료과 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의학회지, 8(3): 317-326. https://doi.org/10.13066/kspm.2013.8.3.317
  24. 송관재, 이재창, 홍영오. (2001). 사회적 오점보유자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및 자존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7(1): 119-136.
  25. 라간채, 정근식. (1988). 직업계층 간의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22: 109-133.
  26. 김미옥. (2003).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자아개념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영향요인 및 극복 대안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5: 138-167.
  27. 신가인, 우예신, 박혜연, 김정란. (2017). 대학생의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활복지, 21(4): 177-193. https://doi.org/10.16884/JRR.2017.21.4.177
  28. 강대혁, 노종수, 지석연, 김진경, 이택영, 박소현. (2005). 캐나다작업치료측정(COPM)과 운동 처리기술(AMPS)의 상관관계: 준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1): 25-35.
  29. Law, M., Baptiste, S., Carswell, A., McColl, M., Polatajko, H., & Pollock, N(2005).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4th ed.). Canadi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ublications.
  30. McColl, M.A., Paterson, M., Davies, D., Doubt, L., & Law, M.(2000). Validity and community util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7(1): 22-30. https://doi.org/10.1177/000841740006700105
  31. '주유미, 김대윤, 모영호, 손성민(2017). 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을 위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7(3): 43-58. https://doi.org/10.18598/kcbot.2017.07.03.05
  32. Wilson, F.R., Pan, W., & Shumsky, D.A.(2012). Recalculation of the critical values for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5(3): 197-210. https://doi.org/10.1177/0748175612440286
  33. 이민화, 서미경. (2015). 정신장애인이 진행하는 접촉-교육 프로그램이 반낙인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3(3): 166-191.
  34. 송정희. (2010). 통합 캠프에서 참가자와 장애 아동과의 긍정적 상호작용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4): 565-590.
  35. 김정란. (2005). 고등학생들의 장애인 접촉경험이 장애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서석진, 신효진, 김양미, 신태웅. (2018). 장애인 인식에 대한 연구: 복지계열과 재활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 727-736.
  37. 이경희, 강문희. (2003). 초등학생 자원봉사활동 실태 및 체험식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아동학회지, 24(1): 77-97.
  38. 공인주, 신중일. (2015). 장애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 115-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