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통합형 포괄보조 문화사업의 성과분석 사례 연구 : 남원시 문화특화지역(문화도시형)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A Case Research on the Outcome of Culture Projects with Comprehensive Funding : Focused on the Building Project of Specialized Region in Culture

  • 장세길 (전북연구원 사회문화연구부)
  • 투고 : 2020.05.14
  • 심사 : 2020.06.27
  • 발행 : 2020.06.30

초록

이 연구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단위사업을 통합하여 포괄 보조하는 문화사업의 성과를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평가하는 성과지표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문화도시형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을 사례로 삼아 사회적·문화적·경제적 효과를 고려한 산출성과-영향성과-효과성과 평가지표를 제안하고, 지표별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사례는 남원시 사업이다. 남원사업은 산출성과와 관련하여 문화적 사람과 문화적 콘텐츠를 발굴하고 육성한 성과가 크나, 사업의 지속가능성과 고도화라는 측면에서 아쉬움이 남았다. 효과성과에서는 단위사업보다 더 큰 성과를 보였다. 남원사업 효과를 단위사업인 문화시설 건립 및 문화이용권 사업과 비교 측정한 결과,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이 문화시설 건립 및 문화이용권 사업보다 주민의 소득증가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증가는 소비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소득증가 효과가 큰 사업유형이 산업 성장에 더 많은 영향을 준다. 이는 문화적 사람, 문화적 프로그램, 문화적 공간과 관련된 사업을 통합하여 포괄 보조하는 사업방식이 문화적 지역발전을 지속하는데 단위사업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As a case stud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outcome of culture projects that are, like the building project of culture city, comprehensively funded by integrating individual projects with various purposes.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assessment indicators on the performance of culture city building project, it tries to propose and analyze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outcome, influence, and effect of the project, by taking into account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effect. The analysis result demonstrates the building project of specialized region in culture has bigger income effect than the construction project of cultural facilities or cultural voucher program. Because income growth leads to consumption growth, a project type with bigger income effect has more influence on industrial growth. In other words, the study shows that comprehensive funding projects, by integrating programs related to cultural citizens, cultural programs, and cultural space, is more effective for sustainable cultural development of a region. And it means the way of government assistance for cultural projects does need to change from individual project-based to comprehensive funding project-ba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세주.유승훈, 2009,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22(6), 2805-2821.
  2. 김공양(2016), 도시재생사업 사례의 성과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 창원(마산)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세훈(2015),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측정 연구 경향 분석, 문화산업연구 15(3), 9-19.
  4. 남원시문화도시사업추진원회(2018), 남원문화도시백서, 남원시.
  5. 문화체육관광부(2013), 문화도시 문화마을 선정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6. 문화체육관광부(2015), 2014년 기준 지역문화실태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7.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7년 기준 지역문화실태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8. 민지은.지영호(2014), 지역문화융성을 위한 문화도시 구축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28(2), 26-46.
  9. 박광국.채경진(2010),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화도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1), 1-22. https://doi.org/10.23036/KAPAE.2010.20.1.001
  10. 서우석.조광호(2019), 문화도시 사업이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해 - 유럽문화수도와 한국의 문화도시 사업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문화경제연구 22(1), 129-160.
  11. 선우해봉(20180,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의 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대표적인 도시재생 사례분석을 통해,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송희준(1994), 우리나라에서 문화투자의 사회경제적 효과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3. 양현미(2007), 문화의 사회적 가치 : 행복연구의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4. 양현미(2013), '예술의 사회적 영향'연구분석과 정책적 함의, 문화정책논총 27(1), 57-75. https://doi.org/10.16937/JCP.27.1.201301.57
  15. 이재희(2007), 부산 영상문화도시: 성과, 과제, 대안, 지역사회연구 15(1), 29-50.
  16. 이흥재(1995), 춘천인형극제의 지역경제.사회문화적 효과,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7. 이희찬(2001), 메가이벤트의 지역경제효과 추정방법 연구 - 2000광주비엔날레를 사례로-, 관광학 연구 25(2), 155-176.
  18. 임학순(2009), 우리나라 문화정책 연구 경향 분석(1998-2007), 문화정책논총 21, 25-48.
  19. 정은재(2019), 도시재생사업 사례의 성과분석과 지속 가능한 활성화 방안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정은희.강신욱.박세경.김정현.강지원(2014), 포괄보조방식의 복지 분야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1. 정진원.김천권(2010), 문화도시 조성의 방향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 광역시 문화도시 기본계획을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자료집, 173-185.
  22. 지영희(2019), 비영리 문화원 조직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말콤볼드리지 모델을 활용하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3. 진양명숙(2007), 문화도시 기획의 의미와 해석: 전주전통문화중심도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5(2), 151-168.
  24. 채경진(2009). 지자체의 성공적 문화도시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9(3), 319-333.
  25. 최지연(2012), 문화도시조성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2), 365-373. https://doi.org/10.13067/JKIECS.2012.7.2.365
  26.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계획 심층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