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imul for Reproduction of Gyeongsang-Gamsa Doim Proces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ol, Wol, and Ilsan

조선후기 경상감사 도임행차 재현을 위한 의물 연구 : 절·월 및 일산을 중심으로

  • 이은주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문화산업연구소) ;
  • 김미경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문화산업연구소)
  • Received : 2020.05.28
  • Accepted : 2020.06.23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preparation process and the main Uimul involved in the procession of Gyeongsang Gamsa Doim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reviewed the Yeongyeong- Ilgi, written by Cho, Jae-ho, and the Miam-Ilgicho, wtitten by Yoo Hee-chun. Those who had been appointed as a Gamsa by the Sammang System went through the Saeun and Sajo procedures to thank and say goodbye to the king before leaving for his assignment. The Gyoseo and Yuseo were usually received from the king at this time, but in some cases, they were received in the Seungjeongwon, or the Seori of Seungjeongwon brought them directly to the place where the Gamsa works. The Milbu with the Eoab was received along with the Yuseol, and the principle was to return the Milbu later. The procession of Gamsa is divided into the pre-and post-Gyoinsik procession and the Sunryeok proce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Gyoinsik procession was made more compact than the post-Gyoinsik procession. In the study, we reviewed Ilsan, which is necessary for the officials' procession, and also examined the Gyoseo, Yuseo, Jeol·Wol, and Milbu received from the king. We also looked at the Gwan-in and Byeongb given by the former Gamsa at the the Gyoinsik. The Jeol, which means the command and the Wol, which means killing power, were given to the Gamsa. And unlike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Jeol was a perforated hexagon and and the Wol was a trident. Also, it was found that Ilsan is white, and there are two rows of Yuso on each of the six ribs of the umbrella.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looked at the Doim process and Uimul by dividing the Gyeongsang-Gamsa Doim proces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e-and post-Gyoinsik,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Gasmsa Doi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production event of traditional culture related to Gwana, such as the reproduction of Gyeongsang-Gamsa Doim-Sunlyeok procession and Gyoinsik.

영조대 경상감사였던 조재호의 『영영일기(嶺營日記)』와 조선시대 전라감사였던 유희춘의 『미암일기초(眉巖日記草)』 등을 참고하여 조선후기 경상감사의 도임행차 준비과정과 행차에 수반되는 주요 의물을 살펴보았다. 삼망제도(三望制度)에 의해 감사 임명을 받은 자는 부임지로 떠나기 전 왕에게 감사와 하직의 인사를 드리는 사은(謝恩)과 사조(辭朝) 절차를 거쳤다. 교서(敎書)와 유서(諭書)는 왕으로부터 받았으나, 경우에 따라 승정원에서 받거나, 승정원의 서리가 부임지로 가져다 주었다. 어압이 찍힌 밀부(密符)는 유서와 함께 받았으며, 추후 반납하였다. 감사의 행차는 교인소로 가는 교인식 이전 행차와 교인식 이후 감영으로 향하는 행차, 순력행차로 구별되는데 교인식 이전 행차는 교인식 이후 도임행차에 비해 소략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관원의 행차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일산, 왕으로부터 내려받은 교서와 유서, 절·월, 밀부, 전임감사로부터 인계받는 관인과 병부를 살펴보았다. 감사에게는 통치권을 의미하는 '절(節)'과 살생권을 의미하는 '월(鉞)'이 주어졌다. 수기(手旗)로 알려져 있는 절은 투공된 육각형 입체이며, 월은 삼지창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일산은 흰색으로, 우산 살 6개에 각각 유소를 두 줄로 드리웠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후기 경상감사 도임 행차를 교인식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도임준비 과정과 도임과정에 등장하는 의물에 대해 살펴본 연구의 결과는 감사 도임과정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지역전통문화 재현행사에 의주를 중심으로 의미나 절차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지만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물 제작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므로 '경상감사 도임순력행차' 및 '교인식 재현'행사 등 관아 관련 전통문화 재현행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안동대학교 기본연구 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江原考古文化硏究院(2014), 삼척도호부 관아 유적의 활용 및 보존 방안.
  2. 경기도박물관(2010), 京畿觀察使.
  3. 고려대학교 박물관(2007), 名品圖錄.
  4. 고려대학교 박물관(2001),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
  5. 국립국악원(2003), 조선시대 음악풍속도II, 민속원.
  6. 국립중앙박물관(2002), 朝鮮時代 風俗畵.
  7. 국립중앙박물관(2010), 조선시대 궁중행사도 1.
  8. 국립중앙박물관(2012), 조선시대 궁중행사도 3.
  9. 국사편찬위원회(2005), 조선시대 통신사 행렬.
  10. 김혁(2002), 조선후기 수령의 부임의례-이재난고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22, 153-180.
  11. 노인환(2016), 조선시대 觀察使 敎書와 諭書의 문서 행정과 운용, 古文書硏究, 48, 287-313. https://doi.org/10.21027/manusc.2016.48..010
  12. 潭陽鄕土文化硏究會(1994), 眉巖日記草.
  13. 大丘鄕土文化硏究所(1998), 慶尙監營百年史.
  14. 朴興秀(1967), 李朝尺度에 關한 硏究, 大東文化硏究, 4, 199-226.
  15. 상주시.상주대학교 부설 상주문화연구소(2003), 경상감영(상주관아).감사도임순력행차 학술조사연구.
  16. 小田幾五郎, 栗田英二 譯註(2006), 象胥紀聞, 이회.
  17. 수원화성박물관(2009), 수원화성박물관 도록.
  18. 辛基秀.仲尾宏(1994), 大系 朝鮮通信使 卷6, 東京: 明石書店.
  19. 영남문화연구원(2004), 역주 영영일기.영영장계등록.
  20. 오창명(2014), 탐라순력도 탐색, 제주발전연구원.
  21. 윤국일(1991), 경국대전 연구, 예강출판사.
  22. 이대화(2004), 朝鮮後期 守令赴任行列에 대한 一考, 歷史民俗學, 18, 193-223.
  23. 이석래 역주(2009), 완판 열녀춘향수절가, 춘향전, 범우.
  24. 이수건(1989),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25. 이형상(2008), 耽羅巡歷圖, 제주특별자치도.
  26. 제송희(2016), 조선후기 관원행렬의 시각화 양상과 특징, 정신문화연구, 39(3), 7-47.
  27. 韓㳓劤 외(2003), 譯註 經國大典 註釋篇, 朝銀文化社.
  28. 經國大典
  29. 己巳進表裏進饌儀軌
  30. 牧民心書
  31. 物料價値成册
  32. 寶印符信總數
  33. 思悼世子冊禮都監儀軌
  34. 成宗實錄
  35. 新增東國輿地勝覽
  36. 嶺營日記
  37. 英祖實錄
  38. 六典條例
  39. 銀臺條例
  40. 日省錄
  41. 增補文獻備考
  42. 太宗實錄
  43. 弘齋全書
  44. 경북일보(http://www.kyongbuk.co.kr, 자료검색일 2019.11.22.)
  45.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자료검색일 2019.11.23.)
  46. 두산백과(http://reurl.kr/2027EF82PK, 자료검색일 2019.11.25.)
  47. 영남일보(https://www.yeongnam. com, 자료검색일 2019.1.18.)
  48. 한국민족문화대백과(http://reurl.kr/7D63DDCBE, 자료검색일 2019.11.15./11.19./11.22.)
  49. 한국민족문화대백과(http://www.terms.naver.com, 자료검색일 2019.11.12.)
  50. 한국학자료센터(http://reurl.kr/7F63F74EM, 자료검색일 202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