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odel for Revitalizing Creative Village Through Culture : Focusing on Miryang Theater Village

문화를 통한 창조농촌 활성화 모델 연구 : 밀양연극촌 사례를 중심으로

  • 정수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덕성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
  •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20.02.28
  • Accepted : 2020.03.26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culture-based revitalization strategy in creative rural areas. To this end, we first summarized the concept of creative village, which has been discussed in Japan and the West. Also,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 proposed a revitalization model of creative villages through the culture and arts. In this process, the concept and relationships were examined in detail through the example of Miryang Theater Village in Miryang.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Miryang Theater Village and applied it to the concept of creative village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Through this process, we reconsidered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cultural arts in the creative villag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ural arts could be realized through the balance and organic linkage between the elements of creative villages in order to localize them in combination with the regional specificity of rural areas.

본 연구는 창조농촌에서의 문화기반 활성화 전략에 초점을 맞춰 접근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 및 서구권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어 온 창조농촌의 개념을 정리하고, 창조농촌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도출, 그들 간의 영향관계를 토대로 문화예술을 매개로 하는 창조농촌의 활성화 모델을 제안했다. 밀양시의 밀양연극촌 사례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그 개념과 관계들을 살펴보고자 밀양연극촌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이를 창조농촌의 개념에 적용,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 과정을 통해 창조농촌에서 문화예술이 갖는 의미와 가능성을 재고했다. 결과적으로 문화를 통한 창조농촌 활성화 모델 구상을 위해서는 지역의 물리적 환경, 정체성, 커뮤니티, 창의인재와 거버넌스, 지속가능한 창조환경과 같은 창조농촌의 요소들 간의 균형과 유기적 연계를 통해 실현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도 건국대학교 KU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논문임

References

  1. 강기훈.김성길(2019), 마을만들기사업 주민참여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여군 부여읍 구교1.3리의 새뜰마을사업을 중심으로 -, 국토계획 54(1), 95-107.
  2. 강신겸(2010), 문화관광을 통한 창조적 농촌가꾸기 전략 -일본 나가노현(長野縣) 오부세마치(小布施町)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13(1), 85-106.
  3. 공윤경(2010),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관한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129-145.
  4. 구문모 외(2017), 창의적 농촌경제의 성공 모델 :창의적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모형 개발, 북코리아.
  5. 권정은(2016), "개인을 넘어서는 그 자리": 연희단거리패의 의례로서의 연극과 자아의 재구성, 서울대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6. 김광선.이규천.홍준표(2011), 농촌 문화산업의 실태와 육성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김혜숙, 2016, 지역재생으로서 사사야마시(篠山市) 성공요인 분석 -집락마루야마(集落丸山)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일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64-370.
  8. 도시재생사업단(2017),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이야기, 한울.
  9. 리차드 플로리다(2018), 도시는 왜 불평등한가, 매일경제신문사.
  10. 문화체육관광부(2018), 지역문화실태조사 2017.
  11. 밀양시(2016), 밀양 도시기본계획.
  12. 박세훈(2014), 창조도시를 넘어서, 나남.
  13. 사사키 마사유키(2015), 창조농촌을 디자인하라, 미세움.
  14. 서해숙(2010), 농촌마을의 민속변화와 문화적 대응, 남도민속연구 21, 37-71.
  15. 성주인(2018), 미래 농촌공간의 발전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계획학회 2018 춘계학술발표회 특별세미나 발표자료(2018. 4. 27).
  16. 송미령, 김광선, 성주인(2013), 창조경제시대 농촌지역 개발의 새로운 어젠다, 「새시대의 희망 슬로건, 행복한 농어촌 만들기」, 제9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자료집,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7. 안지언(2013), 지역문화예술공간으로서 예술촌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26, 137-177.
  18. 이숭현(2019), 변화를 도모하면서도 축제의 의미를 되살리려는 노력 - 2019 제19회 밀양공연예술 축제 '젊은 연출가전', 공연과 이론 75, 109-115.
  19. 임지영, 구문모(2015), 문화예술축제에서의 문화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고찰: 프랑스 아비뇽 축제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33(4), 251-293. https://doi.org/10.17052/JCES.2015.33.4.251
  20. 임학순 외(2015), 문화농촌 창조농촌: 농촌의 가치와 문화전략, 북코리아.
  21. 코뮤니타스(2019), 밀양시 밀양연극촌 활성화 마스터플랜 수립연구.
  22. Aitchison, C., & Evans, T.(2003), The cultural industries and a model of sustainable regeneration : manufacturing 'pop' in the Rhondda Valleys of South Wales, Managing Leisure vol 8, 133-144, Routledge https://doi.org/10.1080/1360671032000123663
  23. Buchanan, P.(1988), What city? A plea for place in the public realm, Architectural Review No. 1101, 31-41.
  24. Carmona, M., Heath, T., Oc, T., Tiesdell, S.(2010), Public Places Urban Spaces: 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Routledge.
  25. Comunian, R.(2011), Rethinking the Creative City: The Role of Complexity, Networks and Interactions in the Urban Creative Economy, Urban Studies 48(6): 1157-1179. https://doi.org/10.1177/0042098010370626
  26. del Corral, M.(2005), Cultural industries: towards a policy framework, UNESCO, Presentation of Asia-Pacific Creative Communities :A Strategy for the 21st Century, Jodhpur(India).
  27. Douglass, M.(2016), Creative communities and the cultural economy - Insadong, chaebol urbanism and the local state in Seoul, Cities 56: 148-155. https://doi.org/10.1016/j.cities.2015.09.007
  28. Florida, R.(2002), The Rise of creative Class, NY: Basic Books.
  29. Hansen et al.(2007), Creative class and regional growth-empirical evidence from eight European countries, Jena Economic Research Papers.
  30. Hearn, G., Bridgstock, R., Goldsmith, B., and Rodgers, J.(2014), Creative Work beyond the Creative Industries, Edward Elgar
  31. Higgs, P, Cunningham, S, and Bakhshi, H.(2008), Beyond the Creative Industries, NESTA Technical report
  32. Jacobs, J., 1961(1984),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The Failure of Modern Town Planning, London, Peregrine Books.
  33. Kelkar, N. & Spinelli, G.(2016), Building social capital through creative placemaking, Strategic Design Research Journal, 9(2): 54-66.
  34. Lydon, M. & Garcia, A.(2015), Tactical Urbanism: Short-term Action for Long-term Change, Island Press.
  35. Markusen, A. & Gadwa, A., 2010, Creative Placemaking, Washington, DC: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36. Musterd, S. & Kovacs, Z.(ed), 2013, Place-making and Policies for Competitive Cities, John Wiley & Sons, Ltd.
  37. OECD(2006), Reinventing Rural Policy, Policy Brief.
  38. OECD(2019), RURAL 3.0 : a framework for rural development - policy note.
  39. Relph, E.(2008),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40. Stern J. M.(2014), Measuring the Outcomes of Creative Placemaking, Measuring the Outcomes of Creative Placemaking, 1: 84-97.
  41. Strand, Joyce A.; Peacock, Robert(2003), Resource Guide: Cultural Resilience, Tribal College Journal 4(4), 28-31 Sum 2003
  42. Thulemark, M. and Hauge A.(2014), Creativity in the recreational industry. Re-conceptualization of the Creative Class theory in a tourism-dominated rural area,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18(1), 87-105
  43. Wyckoff, M. A.(2014), Definition of Placemaking: Four Different Types, MSU Land Policy Institute.
  44. 佐々木 雅幸(2012), 創造都市への挑戦, 岩波書店.
  45. 佐々木雅幸.川井田祥子.萩原雅也 編著(2014), 創造農村, 学芸出版社.
  46. 佐々木雅幸(ed.)(2019), 創造社会の都市と農村-SDGsへの文化政策, 水曜社.
  47. 小田切徳美(2009), 農山村再生, 岩波書店.
  48. 一般社団法人 ノオト(2011), 創造農村を構\想する
  49. 日本文化廳(2009), 文化芸術創造都市に関する調査研究:調査報告書 , 株式会社 リベルタス.コンサルティング.
  50. 池上惇(2003), 文化と固有價値の經濟學, 岩波書店.
  51. 리어벡스 홈페이지(http://www.lerbacksteater.se/, 자료검색일 2020.02.05.)
  52. 신승민(2019), 밀양연극촌 재건에 나선 중앙대 이대영 교수, 월간조선 1월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E&nNewsNumb=201901100053, 자료검색일 2020.02.20.)
  53. 에치고 츠마리 홈페이지(http://www.echigo-tsumari.jp/kr/about, 자료검색일 2020.02.05.)
  54.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지역발전우수사례 [살기 좋은 지역만들기 우수사례] 한국연극의 메카, 밀양연극촌(http://17region.pa.go.kr/pds/development_read.php?board_id=31&page=1&id=21606, 자료검색일 2020. 01.30.)
  55. ≪weekly@예술경영≫ 편집팀(2015), 오지(奧地)에서 아시아 예술 중심지로 탈바꿈한 '도가 연극촌', 예술경영웹진, vol. 322.(https://www.gokams.or.kr:442/webzine/wNew/column/column_view.asp?idx=1580&page=1&c_idx=85&searchString=도가 연극, 자료검색일 2020.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