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ole of Cultural Intermediaries for the Practice of Local Culture : Focusing on Space Beam, Space Imsi, Incheon Spectacle in Incheon

지역문화의 실천을 위한 문화매개자의 역할 연구 : 인천의 스페이스빔, 임시공간, 인천스펙타클을 중심으로

  • 이정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미술비평 전공))
  • Received : 2020.05.31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 role of cultural intermediaries in the region as interest in the cultural media sector increas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Law for Promotion of Regional Culture. First, I discussed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local Cultural Intermediaries group as the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confirming that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cultural mediation sector was focused on cultural workers in public institutions and government projects. Next, for the theoretical discussion, I reviewed the role of cultural intermediaries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meaning via the concept of cultural intermediaries by Pierre Bourdieu, and described that the mediation of regions and cultures began to emerge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centralized structure of cultural production in the context of Korea after the late 1990s. It was found that practices that mediate the region and culture were developed around the group of public artists and cultural activists and the intermediary group played a role in revealing various aspects of the region and dynamically constructing the local public sphere through these cultural practices. Lastly, local curator's cases (Space Beam, Space Imsi, Incheon Spectacle) were studied. The actual cases of activity were analyzed through the cultural practices by focusing on what alternative meanings had been produced in the region and how the region was represented. Each case showed the mediating activity that attempts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life while sharing local issues with communities, projects that reconstructs the local professional art sector into a public sphere, and mediating activity that represents local daily culture and form networks through independent publications.

지역문화진흥법의 시행과 함께 문화매개 영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자는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해 온 문화매개자의 역할을 기술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와 사례 연구를 모색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의 문화매개 활동을 지역과 문화를 둘러싼 능동적인 의미 생산 활동으로 의미화하고, 기존의 가치와 인식에 대해 대안적 의미를 생산하고 지역의 문화 공론장을 역동적으로 구성하는 데 기여하는 문화매개자 역할을 조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피에르 부르디외의 개념을 경유하여 지역을 둘러싼 의미 생산에 기여하는 문화매개자의 역할을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지역과 문화의 매개가 기존의 중앙 집중화된 문화생산 구조에 대해 대안적 의미를 생산하고, 도시재생의 국면에서 지역의 구체성을 드러내는 로컬 기획이 문화 공론장을 역동적으로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논하였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인천에서 활동해 온 로컬 기획자(스페이스빔, 임시공간, 인천스펙타클)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각각의 사례는 1) 주민들과 이슈를 공유하고 지역의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삶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역할 2) 지역의 전문예술 영역을 공적인 장으로 재구성하는 역할 3) 독립출판물을 통해 지역의 일상문화를 드러내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역할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각자의 영역과 관심 속에서 지역의 다양한 면모를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인천에서 문화를 둘러싼 공적 영역의 구성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는 지역문화의 자율성과 다양성의 확보라는 과제를 둔 상황에서, 문화매개자의 역할을 지역에서 대안적 의미를 생산하는 활동주체로 의미화하고 각각의 매개 실천들의 특이성을 분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화(2015), 담론으로 본 지역문화정책의 의미, 지역과 문화 2(2), 87-111.
  2. 강동진(2016), 지역재생, 돈 없이는 할 수 없는가, 플랜비 연차보고서 2015, 플랜비 문화예술협동조합.
  3. 강원재(2018), 시대의 전환과 지역청년문화활동가의 과제, 지역문화진흥원 2018 지역문화전문인력 미래포럼-지역의 삶과 마주하는 새로운 도전과 실험 자료집.
  4. 강윤주.심보선(2013), 생활예술공동체 내 문화매개자의 역할 분석: 인천 '문화바람'의 경우, 경제와 사회 100, 335-373.
  5. 김규원(2014), 지역 문화매개인력 현황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6. 김새미(2018), 도시재생에서 나타나나 문화접근법의 대안: 시민성 회복으로서의 문화공간, 문화와 정치 5(2), 61-96.
  7. 김성호(2017), [인터뷰]'서울보다 멀고 제주보다 가까운 인천의 카페들' 기획~배송 독립출판물 낸 대학생 이종범씨, 경인일보 2017.02.27.
  8. 김승환(2001), 2001년'지역문화의 해'-(1)지역문화의 개념과 의미, 교수신문 2001.1.17.
  9. 김영(2014), 우리나라 도시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와 도시재생, 건축 58(6), 12-17.
  10. 김영정(2014), 지역연구의 동향과 전망, 한국사회 15(1), 163-199. https://doi.org/10.22862/KJSR.2014.15.1.005
  11. 김연진(2015),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문화예술 도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2. 김용규.문재원.윤수종.이재봉.조한상.홍윤기.허라금, 좌담회: 공공성과 로컬리티(2010.8.27), 로컬리티 인문학,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3. 김지현.이상길(2012), 문화매개자로서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21, 5-40.
  14. 김창수(2009), 인천지역 문화매개자 양성과정의 성과와 전망, 인천문화재단 18회 목요토론회-인천지역 문화매개자 양성, 어떻게 할 것인가 (2009.3.26.), 인천문화재단.
  15. 김창수(2012), 인천시 문화전문인력 활동촉진 기본 방안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16. 김홍규, 이상열(2014), 지역문화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7. 김홍규(2015), 지역문화전문인력 양성사업 발전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8. 노영순.이상렬(2018), 지역쇠퇴에 대응한 지역학의 역할과 문화정책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 류정아(2012), 지역문화 정책 분석 및 발전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 민운기(2007), 도시유목, 30일 간의 여정을 마치고, 인천도시문화탐사대, 탐사보고서 2007 인천 REPORT_도시유목II: Discovery, 스페이스빔.
  21. 박선미(2007), 인천의 장소 만들기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3), 13-25.
  22. 박은실(2005), 도시 재생과 문화정책의 전개와 방향, 문화정책논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3. 박진명(2016), 현장에서의 문화를 통한 지역재생의 고민, 플랜비 연차보고서 2015, 플랜비 문화예술협동조합.
  24. 박태선.이미영.한우석(2015), 지역 간 문화격차 실태 및 개선방안, 국토정책 Brief 503, 국토연구원.
  25. 손동혁(2014),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제 시작이다!, 예술경영 251, 예술경영지원센터.
  26. 심보선(2019), 문화매개(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문화정책과 문화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7(2), 333-383.
  27. 양은희(2016), 1990년대 이후 한국미술의 세계화 맥락에서 본 광주비엔날레와 문화매개자로서의 큐레이터, 현대미술사연구 40, 97-128.
  28. 양혜원(2015), 지역 특성을 고려한 문화기반시설 배치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9. 위르겐 하버마스(2004),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한승완 옮김, 나남출판.
  30. 이상길(2010), 문화매개자 개념의 비판적 재검토: 매스 미디어에서 온라인 미디어까지, 한국언론정보학보 52, 154-176.
  31. 이승영(2006), 문화도시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 미술대학원.
  32. 이종범(2017), 서울보다 멀고 제주보다 가까운 인천의 카페들, 스펙터클워크.
  33. 이종범(2019), (서울보다 멀고 제주보다 가까운) 인천의 창작자들, 스펙터클워크.
  34. 이희환(2009), 인천 지역의 도시문화운동, 로컬리티 인문학 2(2), 289-310.
  35. 이희환(2017), 새로운 도시운동을 준비하는 인천 동구 배다리마을 -주민소환운동과 공유지운동, 인천 양조장 시민자산화운동의 제안, 황해문화, 240-248.
  36. 장세길(2012), 문화적 삶의 질, 문화매개인력의 제도화로부터 -문화매개인력의 노동실태와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이슈브리핑, 2012.7.11.
  37. 장훈(2017), 공공부문 문화매개인력 공급체계 개선 연구 -재정지원 문화매개인력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8. 정만영(2016), 도시의 소리에 귀 기울인다는 것, 플랜비 연차보고서 2015, 플랜비 문화예술협동조합.
  39. 정종은.한설아(2019), 지역혁신체계에서 문화의 역할: 유후인과 유바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과 문화 6(4), 47-72.
  40. 조광호(2013), 문화를 통한 지역 구도심 재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1. 주성진(2018), 문화기획은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것인가?, 지역문화진흥원 2018 지역문화전문인력 미래포럼-지역의 삶과 마주하는 새로운 도전과 실험 자료집.
  42. 채은영(2016), 인천시립미술관 수요조사, 로컬 큐레이팅 포럼 2016, 프로덕션SR, 2016
  43. 채은영(2018), 인천시립미술관을 위한 전제들, 기호일보(2018.07.11.)
  44. 최병두(2008), 도시발전 전략에 있어 정체성의 형성과 공적 공간의 구축에 관한 비판적 성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5), 604-626.
  45. 추미경(2009), 지역 문화매개자의 역할과 양성방안, 인천문화재단 18회 목요토론회-인천지역 문화매개자 양성,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2009.3.26.
  46. 추미경(2016), 지역문화진흥법과 문화매개인력 양성방안에 대해, 플랜비 연차보고서 2015, 플랜비문화예술협동조합.
  47. 추미경(2018), 지역문화인력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상생협력 방안, 지역문화진흥원 지역문화전문인력 미래포럼 자료집.
  48. 폴 오닐(2019), 동시대 큐레이팅의 역사: 큐레이팅의 문화, 문화의 큐레이팅, 더플로어플랜.
  49. Bourdieu, Pierre(1984), Disti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Richard Nice trans., Cambridge.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50. Durrer, Victoria and Miles, Steven, 'New perspectives on the role of cultural intermediaries in social inclusion in the UK, Consumption Markets & Culture 12(3), 225-241.
  51. Maguire, Jennifer Smith(2014), 'Bourdieu on Cultural Intermediaries,' Jennifer Smith Maguire & Julian Matthews(eds.), The Cultural Intermediaries Reader, Sage Publications.
  52. Fraser, Nancy(1990), 'Rethinking the Public Sphere: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actually existing democracy,' Social Text no.25/26, 56-80.
  53. Negus, Keith(2002), 'The Work of Cultural Intermediaries and the Enduring Distance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Cultural Studies 16(4), 501-515. https://doi.org/10.1080/09502380210139089
  54. Perry, Beth (2019) 'Governing the creative city: the practice, value and effectiveness of cultural intermediation', Jones, P., Perry, B., and Lond, P.,(eds.), in Cultural Intermediaries Connecting Communities: Revisiting approaches to cultural engagement, Bristol: Policy Press.
  55. Perry, B., Smith, K., and Warren, S. (2015) 'Revealing and re-valuing cultural intermediaries in the 'real' creative city: Insights from a diary-keeping exercise,' European Journal of Cultural Studies, 1-17. https://doi.org/10.1177/136754940471001
  56. 스페이스빔(http://www.spacebeam.net, 자료검색일 2020.04.30.)
  57. 임시공간(http://spaceimsi.com, 자료검색일 2020.05.30., 2020.06.24.)
  58. 인천스펙타클(https://www.instagram.com/incheon_spectacle, 자료검색일 2020.03.30.)
  59. 텀블벅 <서울보다 멀고 제주보다 가까운 인천의 카페들> 펀딩 사이트 (http://tumblbug.com/incheoncafe, 자료검색일 2020.03.30.)
  60. 텀블벅 <(서울보다 멀고 제주보다 가까운) 인천의 창작자들> 펀딩 사이트 (https://tumblbug.com/incheon, 자료검색일 2020.03.30.)
  61. 민운기(2019), 연구자와의 인터뷰 (12월 26일)
  62. 이종범(2019), 연구자와의 전화인터뷰 (12월 31일)
  63. 채은영(2019), 연구자와의 인터뷰 (12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