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선아(2018). 4차 산업혁명기반 미래 대학의 교수학습 방법 및 대학교수 역량에 대한 현직 교수 인식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2), 179-188.
- 김태웅, 박인우(2008). 실시간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참여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교육방법연구, 20(2), 1-21. https://doi.org/10.17927/TKJEMS.2008.20.2.1
- 두민영, 권회림, 문은경(2017).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교육방법연구, 29(1), 185-210 .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1.185
- 성기훈, 남재식(2016). 초등체육 원격 직무연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2(3), 53-67.
- 신윤미(2015).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 질문에 대한 교수자 답변 활동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분석학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지혜(2015). 면대면 강의와 화상 강의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의 수업 만족도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한국음악교육공학회지, 22, 83-102
- 신형석, 정용재, 설양환(2018). 국내 예비교원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1-30. https://doi.org/10.24211/TJKTE.2018.35.3.1
- 우영희(2016). 대규모 온라인 강좌에서의 대리 상호작용의 활용 및 학습자 반응분석. 교육방법연구, 28(4), 609-628. https://doi.org/10.17927/TKJEMS.2016.28.4.609
- 이경희(2007). 원격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대학 교수자들의 e-러닝에 대한 인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지, 10(1), 129-164.
- 이종연, 서종택(2017). 원격평생교육에서 수업의 질적 요소,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5), 135-144.
- 이지연(2011). 대형 온라인 강좌에서의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협력적 지식형성 분석. 한국성인교육학회지, 14(2), 51-80.
- 장지윤, 김주영, 박인우(2017). 대학생이 인식하는 "수업중 교수-학습 활동 종류와 실행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29(2), 371-396.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2.371
- 최욱(2017). 교실 및 온라인 토론수업을 위한 준비 교수체제 (Preparatory Instructional System) 설계모형 개발. 교육방법연구, 29(4), 677-705.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4.677
- 홍성연(2011). 교원들이 인식하는 우수 원격학습자 유형 분석 : 원격대학원 진학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8(4), 429-463. https://doi.org/10.24211/TJKTE.2011.28.4.429
- Bhukuvhani, C., Mupa, M., Mhishi, M., & Dziva, D. (2012). Science practical work instructional technologies and open distance learning in science teacher training: A case study in zimbabw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8(2), 17-27.
- Fraser, W. J. (2017). Science teacher educators' engagement with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inquiry in predominantly paper-based distance learning programs.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8(4), 35-51. https://doi.org/10.17718/tojde.340375
- Galindo, C., Gregori, P., & Martínez, V. (2020). Using videos to improve oral presentation skills in distance learning engineering master's degre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51(1), 103-114. https://doi.org/10.1080/0020739x.2019.1662118
- James, N., Humez, A., & Laufenberg P. (2020). Using technology to structure and scaffold real world experiential learning in distance education. TechTrends; Washington, 64(4), 636-645.
- Jeong, J. S., González, G. D., Cañada, C. F., Gallego, P. A., & Bravo, J. C. (2019). Effects of active learning methodologies on the students' emotions, self-efficacy beliefs and learning outcomes in a science distance learning course. Journal of Technology and Science Education, 9(2), 217-227. https://doi.org/10.3926/jotse.530
- Kwasu, I. A., Yalams, S. M., & Ema, E. (2016). Using design & animation concepts to produce animated instructional resources that can facilitate open distance learn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7(17), 166-170.
- Spitzer, M., Nanic, I., & Ebner, M. (2018). Distance learning and assistance using smart glasses. Education Sciences, 8, 18. https://doi.org/10.3390/educsci8010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