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safety and health ability to safely protect body in a risky situation in infancy, but due to the lack of a valid test tool for measuring infant safety knowledge, measure the safety and health knowledge of infa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opinions of education exper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were collected, and suitable factors for measuring safety and health knowledge of children aged 3-5 years were extracted. The measurement questions developed based on this were surveyed on 186 children aged 3-5 years old to verify the relevance of the question composit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contents. In the distribution of the item response, values of 0.8 or less were deleted, and items with a correlation of r<.40 or less were also deleted, and the reliability test showed more than .70. Afte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developed into 23 questions in 3 areas. The total score of safety and health knowledge for the final question and the degree of correlation were above .80. The tool for measuring child safety and health knowledg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o be appropriate for item discrimination, item reliability, and content validity, and thu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measuring child safety and health knowledge. After the early childhood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is implemented, Further research shoul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 childhood safety and health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위험상황에서 자신의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보건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유아안전보건지식 측정에 대한 타당화된 검사도구의 부족으로, 유아의 안전보건지식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전문가 및 유아교육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만 3~5세의 유아 안전보건지식 측정에 적합한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개발된 측정문항은 3-5세 유아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문항구성의 적합도와 내용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문항반응분포시 0.8이하값은 삭제하였고, 상관도 r<.40이하의 문항도 삭제하였고, 신뢰도검사에서 .70이상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총 3영역 23개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최종문항에 대한 안전보건지식 총점과 상관도는 .80이상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안전보건지식 측정도구는 문항변별도, 문항신뢰도인 문항내적 일치도, 내용타당도는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어 유아안전보건지식 측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추후 더욱 타당화된 검증을 위하여 유아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실시후 안전보건지식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