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 of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as Play space

놀이 공간으로써 유아교실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 연구

  • Received : 2020.06.10
  • Accepted : 2020.08.1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eachers organize and operate early childhood classroom, as play areas. Methods: Four teachers who had been aware of importance of play and were motivated to form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as a play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were conducted to collected data.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 role of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as a play space, teachers supported the play of children and wanted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lassroom as a play space. Second, as, play space, the teachers wanted to construct the space according to their own perception with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attempted to create play space by recognizing the contradictions that the classroom had. Second, the teacher organized the classroom into a play area and allowed the children to transform and create the space in their own.

Keywords

References

  1. 강승지, 손연주 (2018). 유아는 바뀐 교실 공간에 낯설어 했지만, 차근히 적응해 나갔다. 생태유아교육연구, 17(3), 1-24. doi:10.30761/ecoece.2018.17.3.1
  2. 교육부 (2019). 유치원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3. 김경애, 임부연 (2016). 고경력 유아교사의 삶: 교사실존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267-296. doi:10.24211/tjkte.2016.33.1.267
  4. 김미래, 남기원 (2016). 실외 자연놀이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조망수용경험 및 친사회적 경험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0(6), 309-334.
  5. 김민우, 강승지, 이연선 (2017). 유아 공간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7(4), 479-499. doi:10.18023/kjece.2017.37.4.020
  6. 김소향, 조준오, 이주옥 (2018). 유아교사의 '좋은 놀이'에 대한 은유(metaphor)적 인식. 유아교육연구, 38(6), 161-190. doi:10.18023/kjece.2018.38.6.007
  7.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8. 김영천 (2016).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9. 김희연 (2013). 유아교육에서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2), 521-544.
  10. 배지현 (2014). 교육과정 연구에서 르페브르(H. Lefebvre)의 공간생산론의 활용 가능성 탐색. 교육과정연구, 32(2), 41-65. doi:10.15708/kscs.32.2.201406.003
  11. 변기동, 권주영, 하미경 (2015). 안전성 향상을 위한 유아시설 실내환경 계획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4(2), 197-205. https://doi.org/10.14774/JKIID.2015.24.2.197
  12. 서경혜 (2010). 교사공통체의 실천적 지식.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21-148. doi:10.24211/tjkte.2010.27.1.121
  13. 손유진 (2011). 자유놀이에서 유아들이 생각하는 선생님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1(1), 271-288. doi:10.18023/kjece.2011.31.1.013
  14. 심미연, 임재택 (2008). 유아교육기관의 통합된 공간에서 나타나는 아이들의 일상생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7(3), 75-100.
  15. 연희정, 김은주, 송주은 (2015). 유아교육기관의 '교실'과 '바깥놀이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은유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673-699.
  16. 이경화, 송원경, 남미경, 정혜영, 김남희, 손유진 등 (2018). 유아교사론: 유아교사-되기 운동. 서울: 학지사.
  17. 이슬, 최경란 (2014). 국내.외 유아보육시설 비교를 통한 국내 유아보육시설 공간디자인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5(1), 481-489.
  18. 이승숙, 송나리, 배지희 (2017).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과 갈등. 육아지원연구, 12(4), 215-240. doi:10.16978/ecec.2017.12.4.009
  19. 이현경 (2007). 실내․외 놀이환경에서 걸음마기 영아의 놀이행동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97-121.
  20. 이효원 (2018).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체험하는 공간의 의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임부연, 오정희, 최남정 (2008).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 '진짜 재미있는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8(1), 185-209. doi:10.18023/kjece.2008.28.1.009
  22. 임부연, 손연주 (2019).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265-287. doi:10.22251/jlcci.2019.19.3.265
  23. 임부연, 양혜련, 송진영 (2012). 유아가 경험하는 교실 공간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49-272.
  24. 임부연, 이정금 (2013). 교육공간으로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숲의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7(5), 187-208.
  25. 임부연 (2017).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놀이'중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 모색. 교육혁신연구, 27(4), 59-78. doi:10.21024/pnuedi.27.4.201712.59
  26. 장상옥 (2015).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 관련 연구 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9(5), 143-170.
  27. 조민영, 김은주 (2015). 안도 다다오의 건축이 유아교육기관 공간구성에 주는 함의.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271-295.
  28. 조민영, 임재택 (2005). 유아교육기관의 생태건축 기법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일본의 두 어린이집사례를 중심으로. 영유아보육연구, 12, 45-68.
  29. Bollnow, O. F. (2011). Mensch und Raum, 인간과 공간(이기숙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원판 1963).
  30. Lefebvre, H. (2011). (La) production de l'espace, 공간의 생산 (양영란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원판 1974).
  31. Patton, M. Q. (2017).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질적연구 및 평가 방법론(김진호, 나장함, 차동춘, 조대훈, 조윤경, 임정완 등 옮김). 경기: 교육과학사(원판 2015).
  32. Sellers, M. (2018).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Deleuze, Te Whariki and curricular understandings,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라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손유진,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등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