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lternative Establishment of Global Terminal Operator(GTO) and Improvement of Legal System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GTO) 설립의 대안설정 및 관련 법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심기섭 (한국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역학과)
  • Received : 2020.01.21
  • Accepted : 2020.03.25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The global container terminal market is predicted to see continued future volume growth. According to Drewry, global container shipments rose by 6.3% year-on-year to 750 billion twenty-foot equivalent units (TEUs) in 2017 and are forecast to experience continued growth to 9.3 billion TEUs in 2022. According to IHS Markit, the global terminal operator (GTO) market is forecast to grow more than 10% annually, up from $2.4 billion in 2017, to exceed $3 billion by 2022. However, Hyundai Merchant Marine is the only real GTO in Korea. In particular, the shipping and port markets are facing drastic changes, both at home and abroad, including a slowdown in the growth of domestic export and import shipments,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container market caused by the trade fric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increased changes in container shipments caused by the trade fric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is study, we propose ways for domestic companies to participate in the continuously growing GTO market.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global GTO market, the government expressed a desire to explore ways to establish GTOs through the Port Authority and the Korea Ocean Business Corporation. Therefore, four types of establishment plans were proposed, along with a legal framework for the establishment of GTOs.

전 세계 컨테이너 터미널 시장은 향후에도 물동량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드류리(Drewry)에 따르면, 2017년 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대비 6.3% 증가한 7.5억TEU를 기록했으며, 2022년 9.3억TEU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IHS Markit에 따르면,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GTO) 시장은 매년 10% 이상 성장하여 2017년에는 24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3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GTO는 현대상선이 유일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 수출입물동량의 증가세 둔화, 미·중 무역마찰로 인한 컨테이너 시장의 환경변화, 한·일 무역마찰로 인한 컨테이너 물동량의 변화가증성 등 대내외적으로 해운·항만시장은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GTO 시장에 국내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전세계 GTO 시장의 현황을 분석한 후에, 항만공사 및 한국해양진흥공사를 통한 GTO 설립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4가지 유형의 설립방안을 제시하고, GTO 설립을 위한 관련 법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해양수산부(2000), 항만사업의 해외진출 기반구축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2
  2. 한철환(2004), 허치슨포트홀딩스(HPH)사의 해외항만 진출전략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40호, pp. 23-38
  3. 류동근(2005), 국내 컨테이너전용터미널의 효율성 비교: DEA 접근, 해운물류연구, 제47호, pp. 21-38
  4. 문영규(2008), 항만운영의 Global化와 우리나라의 GTO육성 전략, 해양비즈니스, 제11호, pp.139-160.
  5. 국토해양부(2008). 우리나라 항만물류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컨테이너 터미널 운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2
  6. 김형태 외(2008), 글로벌 항만투자의 실효성 제고 방안, 해양수산부, 12
  7. 모수원, 박홍균, 이민희(2010), 컨테이너터미널의 터미널의 생산성과 효율성 변화의 결정요소, 해운물류연구, 제26권 제3호, pp.583-600 https://doi.org/10.37059/TJOSAL.2010.26.3.583
  8. 이성우 외(2011),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물류기업 육성방안, 해양수산부, 12
  9. 김승섭(2011), 공격적 투자+사업다각화 GTO 전략 키워드, 해양한국, 1월 21일자: 1면
  10. 구종순․이정선․전동화(2011), 한․중․일 항만효율성 비교연구, 해운물류연구, 제27권 제3호, pp.457-474 https://doi.org/10.37059/TJOSAL.2011.27.3.457
  11. 여기태 외(2012), GTO의 신규터미널 후보지 선택에 관한 연구-중국 컨테이너항만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집 제1호, pp.159-178
  12. 송계의(2014), 글로벌 항만컨테이너터미널 경쟁력 제고 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집 제1호, pp.1-21
  13. 김미주(2015),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GTO) 현황, 해양한국, 7월 28일자: 1면
  14. 이정희(2015), 해양진흥공사 "글로벌 TOP5 해운강국 코리아, 적극 지원 할 것, 해양한국, 5월 2일자: 1면
  15. 해양수산부(2015). 한국형 GTO 육성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용역,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2
  16. 이주호 외(2016),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시장 및 경영 현황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 32, No 3. pp. 47-66
  17. 김율성 외(2017), GTO 운영적 특성별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 비교연구, 해운물류학회 제33권 제3호, pp 555-575
  18. 김미주(2018), 부산항 발전 위한 BPA 기능 확대 필요, 해양한국, 1월 18일자: 1면
  19. 한국항만물류협회(2018), 항만하역요람, 2018
  20. RD Banker, A Charmes & WW Cooper(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30, pp,1078-109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21. Roll Y. & Hayuth Y.(1993), Port Performance Comparison Apply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aritime Police and Management, Vol.20, No.2, pp,153-161. https://doi.org/10.1080/03088839300000025
  22. Fare Rolf, Grosskopf Shawana, Norris Mary & Zhang Zhongyang(1994), Productivity Growth, Maritime Policy & Management, vol. 28, No.3, pp 157-169
  23. Notteboom(2002), Consolidation and contestability in the Europe container handling industry, Maritime Policy & Management, vol. 29, No.3, pp 257-269 https://doi.org/10.1080/03088830210132614
  24. Parola, f and Veenstra, A. W,(2008), The spatial coverage of shipping lines and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16, No . 4 pp. 292-299 https://doi.org/10.1016/j.jtrangeo.2007.11.001
  25. Notteboom, T, and Rodrigue, J,(2012), The corporate geography of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vol. 39, No.3, pp 249-279 https://doi.org/10.1080/03088839.2012.671970
  26. Drewry(2015),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nnual Report 2015, pp.11-40.
  27. Drewry(2018), Container Forecaster Quarter 4.December, p. 8
  28. IHS(2018), IHS Market Forecast, December
  29. Drewry Shipping Consultants Ltd., Annual Review of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각 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