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통계청. 2019 고령인구비율(시도/시/군/구)[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19[cited 2019 October 4].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0631
- 이성은. 노인의 지역사회 안전인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재학회. 2016;16(6):129-135.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6.129
- 임미혜, 고일선. 노인요양시설의 신체적 억제대 적용에 영향을 주는 사고 유발 위험요인. 한국노인간호학회지. 2012;14(1):1-11.
- 윤숙희, 김병수, 김세영. 한국형 노인요양시설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간호행정학회지. 2013;43(3):379-388. https://doi.org/10.4040/jkan.2013.43.3.379
- 조희금, 이미영. 농촌 노인의 생활안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7;21(2):1-24. https://doi.org/10.22626/jkfrma.2017.21.2.001
- 통계청. 2018 사망원인통계[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18[cited 2020 January 16]. Available from: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01&vw_cd=MT_ZTITLE&list_id.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8 노인일자리 안전사고[Internet]. 경기도: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8[cited 2020 January 16]. Available from: https://kordi.or.kr/content.do?cmsId=174.
- 강혜경, 조희금, 이미영, 엄가영. 농촌 고령자의 안전위협에 관한 주거실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지. 2014;25(5):21-32. https://doi.org/10.6107/jkha.2014.25.5.021
- 이미영, 조희금, 최윤지. 농촌독거노인의 생활안전서비스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6;20(1):43-60.
- Zanjani F, Smith Rachel, Slavova S, Charnigo R, Schoenberg N, Martin C, et al. Concurrent alcohol and medication poisoning hospital admissions among older rural and urban residents. The American Joural of Drug and Alcohol Abuse. 2016;42(4):422-430. https://doi.org/10.3109/00952990.2016.1154966
- Kessel G. The ability of older people to overcome adversity: A review of the resilience concept. Geriatric Nursing. 2013;34(2):122-127.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12.12.011
- 윤숙희, 김병수, 김세영. 한국형 노인요양시설 환자안전 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대한간호학회지. 2013;43(3):379-388. https://doi.org/10.4040/jkan.2013.43.3.379
-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26th ed.: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2016.280
- 박인혜, 조인숙, 박미경, 류현숙, 서은희, 안민정 등. 간호 연구 원리와 실제. 3rd ed. 서울: 고문사; 2018. 410 p.
- Lynn M.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6.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 서의훈. SPSS 18.0을 이용한 통계분석. 1st ed. 경기: 자유아카데미; 2010. 433 p.
- Kaiser HF.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39th ed. California:Psychometrika; 1974. 31-36 p.
-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1st ed. 파주: 교육과학사; 2000. 168 p.
- e-나라지표. 2018 안전에 대한 전반적 인식[Internet]. 대전: 한국 국정모니터링지표. 2018[cited 2020 February 14].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SSA010R&vw_cd=MT_OTITLE&list_id=101_MT_CTITLE_gK&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 이정화, 한경혜. 농촌노인의 안전 관련 국내외 현황과 안전관리 대책. 생활과학연구. 2010;20:35-50.
- 박미정, 김인숙, 함영림. 병원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2013;13(5):332-34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332
- 정순돌, 오은찬, 김고은. 연령별 안녕에 대한 인식 차이: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한국방재학회. 2011;11(3):75-81. https://doi.org/10.9798/kosham.2011.11.3.075
- 김장욱, 홍주희, 김정현, 이수범. 노인보호구역 지정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2009;24(1):78-88.
- 왕린, 이주경, 황지현. 노인의 건강 및 안전문제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19;19(4):336-344. https://doi.org/10.5392/JKCA.2019.19.04.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