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cess-based evaluation program with the theme of school space design in the housing area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 order to achieve For thispurpose, a process-based evaluation program based on the theme of school space design was developed following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he program was executed to a total of 93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a 2015-Revised Curriculum analysis, a school space design program evaluation plan was established, and two evaluation tasks were developed. Accordingly, scoring criteria were prepared and 8 evaluation materials for students and 2 evaluation materials for teachers were developed. A total of 9 sessions were developed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linked operation procedures to perform evaluation tasks. As a result of an expert validity test for the program, all items were verified to be appropriate in content validity and content composition with an average of 3.6 to 4 points (4 points). Second, after conducting the school space design program, a survey on students were conducted, and as a result, all three areas of school space design class, process-based evaluation, interest scored high in average scores of 4.12 to 4.27 out of 5. According to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the program provided new learning opportunities for school space design, the students were able to reach the suggested achievement goals, and the self-assessment, peer evaluation and teacher feedback positively affected the student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so that they could reflect on their learning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ubsequent learning activity.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generalizability in that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a limited number of students, and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in terms of research participants, evaluation criteria, and school space design classes.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theory and practice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rocess-based evaluation program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it has contribution in that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take the initiatives in school space design, focusing on the housing content elements of home economics.
이 연구는 중학교 가정교과 주생활 영역에서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하여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한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총 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한 후 학생들에게 프로그램 실행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학교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과제를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채점기준을 마련하고 학생용 평가 자료 8개, 교사용 평가 자료 2개, 총 9차시의 수업·평가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이 평균 3.6점~4점(4점 만점)으로 내용타당도와 내용구성이 적절하다고 검증받았다. 둘째, 학교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교 공간 디자인 수업, 과정중심평가, 관심 및 흥미 3가지 영역 모두 평균 4.12~4.27점(5점 만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설문 조사와 심층면접 결과를 종합해볼 때 프로그램이 학교 공간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학생들은 제시한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었으며 자기평가, 동료평가 및 교사의 피드백은 학습 과정 중에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이 일부 중학생들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 연구 대상 및 평가의 영역, 학교 공간 디자인 수업의 확대를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가정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론과 실천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가정과 교육의 주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이 학교 공간 디자인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