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rchival Basis of History by Simaqian and Herodotus

『사기』와 『역사』에 담긴 기록학의 기초 역사-인간[Homo Historicus], 사마천과 헤로도토스

  • 오항녕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20.06.29
  • Accepted : 2020.07.22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I examined the archival basis of two historians who wrote history books with the same title of 'History'; Simaqian of ancient China and Herodotus of Halikarnassos. I examined a prejudice to these two history books, a misunderstanding of them as an imagination rather than a history. How can an imagination become a history? First, I explain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ir compilation and writing of 'History.' Simaqian and Herodotus did their field-works in historical sites, gathered oral-histories, and arranged archives they collected. These two historians heavily engaged in archival works in terms of verifying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their sources on the basis of historical empiricism. There are some misunderstanding on their archival endeavor and on the very nature of archives and historical studies as empirical studies. Furthermore, this misunderstanding regarding them as literature came from a confusion over the concept of literature. The creativity of literature is not equal to the "fictitiousness" of history despite historical works sometimes may give us an impression by the way of describing and providing insight into a certain event(s) and a person(s). As Herodotus said, a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s of each race and human is a departure of historical archiving of the valuable experiences of human-beings. By doing so, natural results of archival behaviors, preservation of the records, and consistent inquiry of historian-archivists become a humanistic passage overcoming the current wrong trends of historical studies confined to a narrow nation-history.

이 논문은 기록학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와 지중해의 두 역사가, 사마천(司馬遷)과 헤로도토스(Herodotos)가 남긴 두 역사서에 대한 오해를 검토한 글이다. 그 오해란 이들 역사서가 '나름의 상상으로 지어낸 것'이라는 류의 선입견을 말한다. 지어낸 것이 역사가 될 수 있을까? 2장과 3장에서는 사마천의 『사기』,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편찬, 집필과정을 살폈는데, 사적(史蹟)의 답사, 구술(口述)의 채록, 기록의 정리라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인식을 기초로 4장에서는 역사가 허구일 수 있다고 보는 일련의 오해 또는 왜곡의 저변에는 사마천과 헤로도토스의 기록 활동에 대한 오해, 경험 학문으로서의 역사와 기록에 대한 인식의 부재가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기』나 『역사』 같은 역사서를 문학적 허구라는 관점에서 보는 견해는 역사 뿐 아니라 문학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런 오해나 왜곡은 한국 역사학이 기록학이라는 기초를 소홀히 한 데도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근대 분과(分科) 학문의 관점에서, 또는 국민국가사의 관점을 중심으로 역사학의 범주를 좁게 설정하면서 나타난 부작용이 아닌가 한다. 역사를 남긴다는 것은 "이 행위, 인물, 사건은 인간 기억 속에 살아 남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데서 출발할 것이다. 헤로도토스는 "그리스인의 것이건 야만인의 것이건 간에 빛나는 공적들이 어느 날 명성도 없이 사라지지 않도록" 하였고, 사마천은 "시골에 묻혀 사는 사람들도 덕행을 닦고 명성을 세워 후세에 이름을 남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이렇듯 『사기』와 『역사』는 실제 있었던 인간의 경험을 남긴 역사서이다. 여기에는 "인간은 서로 다르다"고 이해하는 존재의 확장이 있다. 특정한 시공간(時空間)에서 "민족들은 서로 다르며", "이집트에서 여자들은 서서 오줌을 누고 남자들은 쭈그리고 앉아서 오줌을 누는" 것처럼 풍속과 전통이 다른 것이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여 다름을 이해하기에 이르는 데 초석이 되는 인간의 지적(知的) 활동으로, 그 활동이 사실(事實)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인문(人文) 영역이 역사였다. 인간의 경험에 대한 호기심 넘치는 탐구와 기록, 그 결과 나타난 『사기』와 『역사』, 그리고 이의 보존과 전수는 인간이 호모-히스토리쿠스(Homo-Historicus), 호모-아르키부스(Homo-Archivus)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孔子. 春秋. 北京: 中華書局.
  2. Herodotos. Histories Apodexis(천병희 역. 2009. 역사, 서울 : 도서출판숲).
  3. 司馬遷. 史記. 北京: 中華書局(김원중 역. 2015. 사기, 서울 : 민음사).
  4. 劉知幾. 史通(오항녕 역. 2016. 사통, 서울 : 역사비평사).
  5. Ibn Khaldun. al-Muqaddimah(김호동 역. 2003. 역사서설, 서울: 까치).
  6. 內藤虎次郞. 1949. 支那史學史 弘文堂; 東京.
  7. 李宗侗. 1965. 中國古代의 史官制度(閔斗基 編. 1985. 中國의 歷史認識上, 서울: 창작과비평사).
  8. Chavannes. Edouard. Introduction des memoires historiques de Se-ma-Tsien(岩村忍譯. 1974. 司馬遷と史記, 東京 : 新潮社).
  9. 김봉철.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사료비판 사례. 서양고전학연구, 9, 서울 : 한국서양고전학회.
  10. 宮崎市定. 1996. 史記を語る, 東京 : 岩波書店(이경덕 역. 2004. 자유인 사마천과 사기의 세계, 서울 : 다른세상).
  11. 藤田勝久. 2003. 司馬遷の旅 : 史記の古跡をたどる(주혜란 역. 2004. 사마천의 여행, 서울 : 이른아침).
  12. 김경현. 2005. 헤로도토스를 위한 변명. 서양고전학연구, 24, 서울 : 한국서양고전학회.
  13. 윤진. 2005.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타난 문학적 장치로서의 신탁과 꿈. 서양고대사연구, 17, 서울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14. 잭 스나이더. 2007. 영화 300, LA : Legendary Pictures.
  15. Jorg Fisch. 1992. Zivilization/Kultur, Stuttgart:Klett-Cottta(안삼환 옮김. 2007. 코젤렉의 새념사사전1-문명과 문화, 서울 : 푸른역사).
  16. 김봉철. 헤로도토스와 그리스 신화 서술. 서양고전학연구, 27, 서울 : 한국서양고전학회.
  17. 오항녕. 2010. 기록한다는 것, 서울 : 너머학교.
  18. 윤택림 편역. 2010.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서울 : 아르케.
  19. 최성은. 2012. 헤로도토스와의 여행(Podrooze z Herodotem)에 나타난 리샤르드 카푸시친스키의 저널리즘 철학. 동유럽발칸학, 14(1), 서울.
  20. 오항녕. 2013. 역사기록, 그 진실과 왜곡 사이-무적함대가 졌다 스페인은 건재했다. 신동아, 서울: 동아일보사.
  21. 김영수. 2014. 사기를 읽다, 서울 : 동양고전강의.
  22. 김귀옥. 2014. 구술사 연구, 서울 : 한울.
  23. 노암 대로. 2014. 300: Rise of an Empire. LA : Warner Brothers Pictures, Inc.
  24. 김영수. 2016. 사기를 읽다 쓰다, 서울 : 위즈덤하우스.
  25. James C. Scott. 2017. Against the Grain,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전경훈 옮김. 2019. 농경의 배신, 서울: 책과함께).
  26. 오항녕. 2017. 역사학과 기록학. 기록학연구, 54, 서울: 한국기록학회.
  27. 유시민. 2018. 역사의 역사, 서울: 돌베개.
  28. 오항녕. 2018. 실록이란 무엇인가, 서울 : 역사비평사.
  29. 정인철. 2018. 여행기와 지리서로서의 헤로도토스의 역사. 문화역사지리, 30, 서울: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0. 오항녕. 2019. 유시민의 역사의 역사에 대한 소감 ${(1)}$, ${(2)}$. 프레시안, 서울: 프레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