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roduction of Garden as Landscape Element in Apartment Complex and Understanding Difference of Perception

아파트 단지의 조경요소로의 정원의 도입과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 이혁재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
  • 홍광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 김인혜 ((주)강원랜드)
  • Received : 2020.06.13
  • Accepted : 2020.06.28
  • Published : 2020.07.30

Abstract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latest trends of landscape in apartment complexes by identifying how landscaping spaces are being created and what their characteristics are. Furthermore, we aimed to find out what type of garden is being constructed in the landscaping space and w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ndscaping space and the garden space is, and to define the future direction of landscape for apartment complex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ur findings. First, we identified that landscaping space is divided into general landscaping space and garden space. The garden space has designated area within the whole apartment complex as a garden and there is a variety of garden themes and plants, facilities, packaging patterns, and sculptures are used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s general landscaping space features uniform patterns of packaging and simple planting patterns. Our finding is that the current trend is to set up separate garden space within the landscaping space of apartment complexes. Although gardens are often regarded as personal property and spaces that need to be cultivated or managed, and spaces that are limited to fences are defined as gardens, the current landscaping space of apartments is creating gardens-like spaces within public spaces.

Keywords

References

  1. 강신호(2017),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공동주택 단지의 설계요소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 강훈.곽병화.심우경(1990), "서울시내 아파트 실내조경식물 이용의 최근변화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1): 1-8.
  3. 김경희(2010), 아파트 외부공간의 정원적 설계전략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4. 김도희.성현찬(2010), "아파트 조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4): 75-90.
  5. 김동찬.서주환.김선희(2009), "아파트 조경시설 특성화에 관한 연구", 디자인 연구, 12(1): 1-7.
  6. 김소철(1995), "新市街地 高層 아파트 조경 植栽設計 方向에 關한 연구", 경남전문대학 논문집, 23(1): 61-69.
  7. 대한주택공사(2000), 단지계획기준, 대한주택공사 보고서.
  8. 박원규(2002),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계획모형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30(5): 39-54.
  9. 박원규.임선화(2009),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요소 적용수준에 따른 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5): 13-27.
  10. 박혁수(2011), 공동주택단지 재건축에 따른 외부공간구조 변화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1. 서병기.심경구(1990), "아파트 실내조경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1): 33-40.
  12. 서주환.박유정(2008), "아파트 외부공간 디자인변화연구", 디자인연구, 11(1): 99-106.
  13. 오덕성(2014), "지속가능한 고층아파트단지 재생", 대한건축학회, 58(6): 23-26.
  14. 오충현.김한수(2006), "우리나라 수도권 신도시 주거단지의 생태면적률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4): 105-115
  15. 이동욱.이경재.한봉호.장재훈.김종엽(2012), "서울시 아파트단지의 녹지배치 및 식재구조 변화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0(4): 1-17. https://doi.org/10.9715/KILA.2012.40.4.001
  16. 이동훈(2016), 아파트 단지 조경에 대한 주민의 심리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17. 전유화(2010), 공동주택단지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외부공간 조경설계,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18.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19. Internet Web 자료(네이버 지식백과,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71120&cid=42641&categoryId=42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