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and Archaeological Analysis of Huo Quan Coins Excavated from Tomb No. 4 at the Madeung Archeological Site in Heukcheon-ri, Haenam

해남 흑천리 마등 4호 토광묘 출토 화천의 보존처리와 고고학적 분석

  • 김미도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조연태 (국립나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 이양수 (국립진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Received : 2020.10.02
  • Accepted : 2020.11.13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conservation treatment and scientific analysis of the ancient Chinese bronze coin known as Huo Quan(貨泉) coins excavated from Tomb No. 4 at the Madeung Archaeological Site in Heukcheon-ri, Haenam. Huo Quan coins were issued in China by Wang Mang(王莽) when he founded the short-lived Xin(新) Dynasty and were used in the Samhan(三韓) period in Korea. A total of thirteen Huo Quan coins were excavated from the Madeung Archeological Site with some coins fused to each other. They were classified as clusters A, B, and C. On a coin from the B cluster th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貨泉" are visible to the naked eye, but no characters are visually identifiable in the other coins. For conservation treatment,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coins were removed, weak materials were reinforced with protective coatings, and fragments were reattached to the main bodies of the coins. Next, Nano CT scanning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xact number of coins within the clusters and examine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coins. It revealed the inscription "貨泉" on twelve out of thirteen coins. In addition to these coins excavated from Heukcheon-ri, a number of coins were excavated from a tomb in Bokryong-dong, Gwangju. This necessitates an investigation into the possible development of a monetary economy in this region.

본 연구에서는 해남 흑천리 마등 4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청동주화 화천(貨泉)을 보존처리하고 과학적으로 조사한 결과를 고고학적으로 해석하였다.'화천'은 중국 왕망대(王莽代)에 만들어진 동전으로 우리나라의 삼한시대에 사용되었던 화폐이다. 해남 흑천리 마등 유적에서는 조사결과 총 13점이 중첩되어 출토되었는데, 크게 세 묶음으로 구분된다. 이중 B 묶음의 한 점만 육안으로 화천이라는 글자가 확인되며, 나머지는 전혀 글자가 확인되지 않는다. 보존처리 방법은 우선 동전 표면 위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취약한 재질을 강화한 후 접합하였다. 다음으로 동전의 정확한 개수와 표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Nano CT 촬영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13점 중 12점에 화천이라는 명문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흑천리 출토품 외에 광주 복룡동 무덤에서 다량의 화천이 출토되는 사례로 보아 당시 이 지역에서 화폐경제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문화재 연구원, 해남 흑천리 마등유적 조사보고, (2019).
  2. 동북아지석묘연구소, 광주 월전동 하선.복룡동.하산동유적, 학술총서 46, (2018).
  3. 정수빈, 박학수, 하남시 춘공동 출토 청동현향로(靑銅縣香爐)의 제작기술과 보존처리, 박물관 보존과학 16, (2015).
  4. 국립김해박물관, 김해 회현리 패총, 일제강점기자료조사 보고 9, (2014).
  5. 이영훈.이양수, 한반도 남부 출토 오수전에 대하여, 영천 용전리 유적, 국립경주박물관 학술조사보고 19, (2007).
  6. 권욱택, 한반도 남부.일본열도 출토 漢代화폐와 용도-오수전.왕망전을 중심으로-, 영남고고학 84, 영남고고학회, (2019).
  7. 漫話中國錢幣之王莽錢9, 每日頭條 2017.9.7. https://kknews.cc/culture/oogrn2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