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active aging policies and program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t The Seoul50Plus Foundation

중장년층의 활동적 노화 정책 및 사업 연구: 서울특별시50플러스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9.12.31
  • Accepted : 2020.02.10
  • Published : 2020.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licy and programs of the Seoul50Plus Foundation and to propose policies and programs to promote active aging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 single case study was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framework of case was approached with four frameworks: the context of policy and program, ideology-goal analysis of policy and program, supplier and customer analysis of policy and program, and process and domain analysis of policy and program. The analysis data included the homepage content of the Seoul50Plus Foundation, related 50+ policy and program data, active aging research papers at home and abroad, and presentation and meeting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policy and program background and environment were essential elements for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aging society. In terms of the philosophy-goal, job cre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approach to life design were systematically carried out for the ideology of 'creating a new life vision' and promoting active aging. In terms of subject-target, the subject of policy implementation is systematically composed of three stages: 50+ foundation, 50+ campus, and 50+ center. The target was limited to 50+ generations(age 50~64) and had a problem that is limited to applicants. In the process-area analysis, programs such as educational support, work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counseling information, and new-age cultural creation activities were designed to increase added val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people. In conclusion, the future Seoul50Plus Foundation's policy and lifelong learning programs need to be systematically promoted through cooperation with businesses and universities, expanding the target audience,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and linkage among programs.

본 논문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활동적 노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첫째, 서울특별시50플러스 정책 및 사업사례를 분석하고, 둘째,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활동적 노화와 평생학습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 및 사업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은 단일 사례연구를 활용하였으며, 사례의 분석틀은 정책 및 사업의 배경-환경, 이념-목표, 주체-대상, 과정-영역의 4가지로 접근하였다. 분석 자료는 서울특별시50플러스 정책 및 사업 관련 연구보고서와 관련 연구 자료, 재단 실무자의 간담회 발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책 및 사업의 배경·환경에서는 고령사회로의 환경 변화 대응은 정책의 필수적 요소로 나타났다. 정책이념-목표에서는 '새로운 인생비전 창조'의 이념과 활동적 노화를 위한 일자리창출, 사회적 참여, 인생설계 측면의 3가지 측면의 정체성 접근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체-대상측면에서는 정책의 실행 주체는 서울50플러스재단, 50플러스캠퍼스, 50플러스센터의 체계적인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나 대상은 50+세대(50~64세)로만 제한되어 있고, 희망자만 참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과정-영역 분석에서는 중장년층의 특성에 맞추어 교육지원, 일·창업 지원, 상담정보 제공, 신노년문화 창조 활동 등의 프로그램이 연계적으로 부가가치를 높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향후 제언으로는 정책 및 사업은 중장년층의 특성에 맞추고, 지역의 산업과 대학 등과 연계하여 추진하며, 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하고, 사업 간 가치를 높이기 위한 연계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소랑, 서인석, 한창묵. (2018). 서울시 50+세대 유형화 및 특성별 지원 방안.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351-376.
  2. 강소랑, 정혜윤, 송창용, 최일선, 유선치, 임승연. (2017a). 국내.외 정부 및 민간의 50+ 정책.사업 실태연구. 서울: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3. 강소랑, 정혜윤, 이영민, 유선치, 임승연. (2017b). 서울시 50+정책 중장기 발전전략. 서울: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4. 고용노동부. (2018). 2018년판 고용노동백서. 세종: 저자.
  5. 고용노동부. (2019. 4. 5.). 보도참고자료. 세종: 저자.
  6. 곽병선. (2000). 교육정책연구방법론 핸드북.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16). 2016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서울: 저자.
  8. 권진희, 이영민, 이지혜, 채재은, 조규형, 김정현, 양현경. (2018). 50+교육 체계 수립 연구. 서울: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9. 김경환. (2017). 2000년대 영국의 50+ 관련 노동시장정책. 50+리포트, 4(3), https://50plus.or.kr/org/detail.do?id=42110.
  10. 김교성, 김수연. (2014). '활동적 노화'에 관한 다차원적 측정과 국가 간 비교. 사회복지정책, 41(1), 1-32.
  11. 김기홍, 임언, 이정표. (2008). 중고령자 진로전환 지원 체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김만희. (2016). 50+세대를 위한 일자리의 조건. 서울: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13. 김미진. (2017a). 고령자의 취업 및 사회참가를 위한 일본의 노력. 50+리포트, 5(5), https://50plus.or.kr/org/detail.do?id=44153.
  14. 김미진. (2017b). 일본의 고령자 사회참여 제도. 서울50+재단 홈페이지.
  15. 김성봉. (2017). 미국 50+세대의 고용과 취업 안정성. 50+리포트, 4(4), https://50plus.or.kr/org/detail.do?id=42104.
  16. 남경아. (2016). 50+정책제안 및 종합토론: 서울50+사업 방향 및 글로벌 파트너십. 서울50+국제포럼2016 자료집, 177-206.
  17. 노일경. (2011). 고령화시대 베이비붐 세대의 평생학습. e-HRD Review, 14-19, 1-13.
  18. 박영란. (2013). 초고령사회 대비 EU 의'활동적 노화 (active ageing)'정책 패러다임. 유럽연구, 31(1), 135-158. https://doi.org/10.17052/JCES.2013.31.1.135
  19. 서울특별시. (2016). 서울시 50+지원 종합계획. 서울: 저자.
  20.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2016). 50+세대가 스스로 연구를 기획하고 실험하며 정책을 제안하다: 50+당사자연구 및 프로그램 공모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저자.
  21.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2017). 서울시 50+세대 실태 및 수요 조사. 서울: 저자.
  22.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2019). 서울시50플러스지원정책: 50+의 가능성을 열다. 서울: 저자.
  23. 손동기. (2014). 프랑스 정부의 노인 사회참여 증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유럽연구, 32(1), 373-409. https://doi.org/10.17052/JCES.2014.32.1.373
  24. 손유미. (2014).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현황과 과제. HRD Review, 17(3), 32-50.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5. 손유미, 이성. (2011). 베이비붐 세대 제2 인생설계 구축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6. 손진곤. (2011). 방송대 비전 및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연구(1차년도).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27. 신미식. (2005). U3A(the University of the Third Age)가 한국 노인교육에 주는 시사점. 평생교육학연구, 11, 127-149.
  28. 신선미. (2011). 프랑스의 고령자 고용정책. e-HRD Review, 14-20, 1-19.
  29. 싱가포르통계청. (2016). 2016 인구 동향: 1970-2016년 주요 인구통계적 지표(Population trends, 2016: Key demographic indicators, 1970-2016). 싱가포르: 저자.
  30. 은퇴연금협회. (2015). 퇴직예정자 미래설계교육 진단 및 발전방안 연구용역. 서울: 공무원연금.
  31. 이서연, 조규형, 이주현. (2018). 50+ 세대의 커뮤니티 운영 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377-404.
  32. 이은정, 김동민, 서영석, 이은경. (2018). 서울시50+종합상담시스템 구축 연구. 서울: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33. 이진구, 정일찬, 오미래. (2018). 중장년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평생교육.HRD 연구, 14(3), 1-30.
  34. 이희수, 백평구. (2010). 전략적 사고에 기초한 평생교육 정책 분석과 시사점: 평생교육법 개정 이후를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6, 183-209.
  35. 임성윤. (2017). 창의적 노화 (Creative Aging) 의 개념에 관한 고찰: 미술치료의 관점에서. 문화와 정치, 4(4), 227-259.
  36. 임영언, 김일태. (2018). 일본 사회적 기업의 일자리창출과 고용확대 효과 연구. 인문사회 21, 9(1), 781-793.
  37. 일본 내각부. (2016). 고령화백서. 도쿄: 저자.
  38. 조달호, 최봉, 정현철. (2015). 서울시 베이비붐 세대 일자리특성과 정책방향.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147.
  39. 조은상, 이의규, 이상준. (2007). 활동적 고령화와 인적자원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0. 주용국. (2009). 상담일반: "노인다움" 노화 지원을 위한 상담, 교육 모형의 개발. 상담학연구, 10(1), 17-42.
  41. 최성환. (2017). 인생 2모작은 친구와 함께. 50+리포트, 6(2), https://50plus.or.kr/org/detail.do?id=44313.
  4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50+재단 설립의 타당성 검토 연구. 서울: 저자.
  43. 한희경. (2018). 노인의 인적.경제.문화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8(4), 981-997. https://doi.org/10.31888/JKGS.2018.38.4.981
  44. 홍윤호. (2017). 쉰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50+리포트, 6(1), https://50plus.or.kr/org/detail.do?id=44335.
  45. 황윤주. (2018). 교육과 배움으로 인생의 계절을 맞이하다: 50+생애설계교육에 관하여. 50+리포트, 11(6). https://50plus.or.kr/org/detail.do?id=2323058.
  46.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2012). Council declaration on the European year for active ageing and solidarity. 16592/12 SOC 948 SAN 289, 7-11.
  47.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06). A new deal for welfare: Empowering people to work. London: Author.
  48. Flood, M. (2002). Successful aging: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 Testing, 6(2), 105-108.
  49. Klimczuk, A. (2012). Creative aging policy in regional development. In S. Hittmar (Ed.). Regional management. Theory, practice and development. Solvakia: University of Zilina, 100-104.
  50. Laslett, P. (1991). A fresh map of life: The emergence of the third age. Harvard University Press.
  51. Latack, J. C., & Dozer, J. B. (1986). After the ax falls: Job loss as a career transi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2), 375-392. https://doi.org/10.5465/AMR.1986.4283254
  52.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53.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6). Live longer, worker longer. Paris: Author.
  54.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5). Ageing and employment policies: Denmark 2015: Working better with age. Paris: Author. doi.org/10.1787/9789264235335-en
  55. Rowe, J. W., & Kahn, R. L. (1987). Human aging: usual and successful. Science, 237(4811), 143-149. https://doi.org/10.1126/science.3299702
  56. Sadler, E., & Biggs, S. (2006). Exploring the links between spirituality and 'successful ageing'.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20(3), 267-280. https://doi.org/10.1080/02650530600931757
  57.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n.d.). Retrieved from http://www.kostat.go.kr
  58. 통계청. <생명표>. (n.d.) Retrieved from http://www.kostat.go.kr
  59.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n.d.). Retrieved from http://seoul50plus.or.kr
  60. 서울특별시50플러스포털. (n.d.). Retrieved from http://50plus.seoul.go.kr
  61. Road Scholar. (n.d.). Retrieved from http://www.roadscholar.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