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unction of The Elder Protection Agency for the Protection of Elderly Human Rights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노인보호전문기관의 기능에 대한 질적연구

  • 박태정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대학) ;
  • 이서영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대학) ;
  • 박형원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대학)
  • Received : 2020.05.28
  • Accepted : 2020.07.03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applied with in-depth interviews and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finding out the function of the elder protection agency by interpreting the meaning developed from the experience of the workers about the role of the elder protective service ag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ssential themes were 'Struggling and working hard', 'Obstacles that cannot be lifted', and 'Reaching the time to be reborn as an organization for the elderly human rights.' The common essence of these themes is 'The road to human rights orientation: a destination that must be reached, though not easy to go.' In order for the meanings to be settled and to fit in to the community, it was suggested it is a situation in which both internal and external renewal of the institu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 is most needed. In addition, much as it turned out that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must be provided so that the elder protection agency can be reborn as human rights organizations with more professionalism, it was proposed to follow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derived from this study.

본 연구는 심층면접과 현상학적 분석을 적용한 질적연구로서 노인보호전문기관 종사자 경험으로부터 형성되는 의미를 해석하여 노인보호전문기관의 기능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본질적 주제는 '악전고투하며 일해 옴', '걷어내어지지 않는 장애물', '노인인권기구로 거듭나야 할 시기에 다다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제들이 관통하고 있는 본질은 '인권지향으로 가는 길 : 쉽지 않아도 가야 할 목적지' 이다. 연구를 통해 찾아 낸 의미들이 지역사회에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노인보호전문기관에 대한 내·외적 지원 확대와 쇄신이 무엇보다 필요한 상황임을 제시하였다. 그 밖에 노인보호전문기관이 보다 전문성을 가지고 인권기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필요 역시 함께 나타나는 만큼,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2009). 질적 연구-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 권금주. (2016). 노인인권 관점에서 노인학대 정책 방향 모색, 월간 복지동향, 211. 39-42.
  3. 권금주. (2018). 알코올문제가 있는 노인학대행위자 사례에 대한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개입 경험, Crisisonomy, 14(3), 61-73. doi.org/10.14251/crisisonomy.2018.14.3.61
  4. 김민철. (2019).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의 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신열, 최정민. (2016).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수퍼비전과 직무만족 간 관계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5(1), 155-180. doi.org/10.22418/JSS.2016.06.55.1.155
  6. 김영천. (2011). 질적연구방법론 I Bricoleur. 아카데미플러스.
  7. 김은숙. (2009).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봉길. (2015). 지역노인보호전문기관의 역할과 기능 : 강원남부지역(원주, 횡성, 영윌, 평창, 정선)을 중심으로, The Journal of KC University, 15, 316-352.
  9. 박영수. (2017). 노인학대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전국 노인보호전문기관 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2017년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자료집(전주, 2017. 6.22.-24.), 3015-3042.
  10. 박태정. (2013).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13(3), 29-57. UCI:G704-001780.2013.13.3.007 https://doi.org/10.22914/JLP.2013.13.3.002
  11. 보건복지부. (2010). 노인복지시설 인권보호 및 안전관리지침
  12.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5). 노인보호전문기관 업무수행지침.
  13.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9). 2018 노인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노인보호전문기관.
  14.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5).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5. 선우덕, 김세진, 모선희. (2012). 선진국의 고령화정책: 유럽국가의 활기찬 노후정책을 중심으로,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6. 윤명숙. (2013). 사회복지사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관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1(4), 174-200. UCI:G704-000500.2013.41.4.007
  17. 이미진. (2018a).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학대사례 개입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서울, 2018. 6. 15.), 378-406.
  18. 이미진. (2018b).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이 인식하는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8년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서울, 2018. 6. 14.). 101-125.
  19. 이미진, 김혜련. (2016). 노인학대유형별 노인 및 학대행위자 특성 비교 노인보호전문기관의 노인학대사례 분석. 노인복지연구, 71(3), 53-89. doi.org/10.21194/kjgsw.71.3.201609.53
  20. 이미진, 김혜련, 장고운. (2018). 자기방임은 방임 및 타학대유형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 사례 비교. 노인복지연구, 73(1), 259-291. doi.org/10.21194/kjgsw.73.1.201803.259
  21. 이미진, 송은희. (2017). 노인보호전문기관의 노인학대사례 종결지표 적용 실태와 상담원의 적용 경험에 대한 분석. 노인복지연구, 72(3), 191-223. doi.org/10.21194/kjgsw.72.3.201709.191
  22. 이미진, 장고운. (2016).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재접수사례와 신규사례의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서울, 2016. 10. 28.), 185-209.
  23. 이서영. (2017). 노인복지시설 옴부즈맨의 역할에 관한 연구-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옴부즈맨활동을 중심으로. Crisisonomy, 13(12), 33-49. doi.org/10.14251/crisisonomy.2017.13.12.33
  24. 이연호, 김태영. (2010). 노인학대상담원의 직무만족과 영향요인. 정부학연구, 16(1), 273-300. UCI : G704-000703.2010.16.1.009
  25. 이영분, 김미혜, 정순둘, 권금주. (2009). 학대피해노인의 심리.정서적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 경험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3), 1,257-1,272. UCI : G704-000930.2009.11.3.027
  26. 이현민. (2018). 노인보호전문기관 사업방향 논의 : 현행 노인복지법을 중심으로. 후견과 신탁, 1(1), 245-259.
  27. 이현주. (2013). 학대의 세대전이를 통해 본 노인학대 :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상담자료 분석 활용. 사회과학연구, 29(3), 409-431. UCI : G704-001638.2013.29.3.016
  28. 정경희, 오영희, 변재관, 유원션, 이윤경. (2002). 무료 및 실비 노인요앙시설어서의 인권실태 사례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9. 정희남. (2018). 국내 노인학대피해자 지원체계에 대한 논의. 후견과 신탁, 1(1), 209-221.
  30. 제철웅. (2015). 학대피해 노인의 권리보호와 지원 등을 위한 특례법안을 제안하며. 성년후견, 3, 141-178.
  31.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2010). 노인권익위원교육교재.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32. 한동희. (2014). 고령사회와 액티브에이징 고찰연구. 노인복지연구, 64, 35-37. doi.org/10.21194/kjgsw..64.201406.31
  33. Bogdan, R. C. and S. K. Biklen. (2003).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4th ed.). Pearson.
  34. Brennan, F. Carr, D. B. & Cousins, M. (2007). Pain management: A fundamental human rights. Anesthesia and Analgesia. 105(1). 205-221. doi.org/10.1213/01.ane.0000268145.52345.55
  35. Castle, N. & Beach, S. (2013). Elder abuse in assisted living.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2(2). 248-267. doi.org/10.1213/j.1440-1800.2008.00423.x
  36. Giordano, S. (2005). Respect for Equality and the Treatment of Elderly; Declarations of Human Rights and Age-Based Rationing. Cambridge Quarterly of Healthcare Ethics. 14(1). 83-92. doi.org/10.1017/s0963180105050097
  37. Lloyd-Sherlock, p. (2002). Formal Social Protection for Older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Three Different Approaches. Journal of Social Policy. 31(4). 695-713. doi.org/10.1017/S0047279402006803
  38. Mayan, M. J. (2009). Introduction to the essentials of qualitative inquiry.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nference.
  39. Megret, F. (2011). The human rights of older persons: A growing challenge. Human Rights Law Review, 11(1), 37-66. https://doi.org/10.1093/hrlr/ngq050
  40. Miles, M. B. and A. M. Huberman. (1984). Qualitative Data Analysis: A Sourcebook of New Methods. SAGE. 37-66. doi.org/10.1093/hrlr/ngq050
  41. Phelan, A. (2008). Elder abuse, ageism, human rights and citizenship: Implications for nursing discourse. Nursing Inquiry. 15(4). 320-329. doi.org/10.1111/j.1440-1800.2008.00423.xI
  42. Sleap, B. (2009). Using human rights accountability mechanisms to promote and protect older women's rights. Gender&Development, 17(3), 427-439. doi.org/10.1080/13552070903298436
  43. Sidorenko, A. & Walker, A. (2004). The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From Concepttion to Implementation. Ageing and society. 24(2). 147-165. doi.org/10.1017/S0144686X03001661
  44. Yates-Bolton, N. (2010). Human rights-based care for older people, Nursing Management, 17(4), 26-27. doi.org/110.7748/nm2010.07.17.4.26.c7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