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은나, 이민홍. (2018). 노년기 삶에 대한 독거효과 분석 연구: 성향매칭분석을 통한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 보건사회연구, 38(4), 196-226. doi.org/10.15709/hswr.2018.38.4.196
- 김은정. (2012).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관계만족도. 한국사회과학연구, 31(1), 125-146.
- 남기민, 박현주. (2010).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9, 405-427.
- 남석인. (2008).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이 노인인식 및 노년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기능과 동년배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 28(40), 1297-1315.
- 문태언, 변상해. (2012). 노인의 종교활동 참여가 자기존중감 및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7(3), 115-120.
- 박경숙. (2000).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한국사회학, 34, 621-647.
- 박경순, 박영란, 염유식. (2015). 어떤 농촌노인이 경로당에 가지 않는가? 사회복지정책, 42(2), 163-184.
-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조사 매뉴얼.
- 배진희. (2004).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0, 197-216.
- 염지혜. (2013). 노노(老老)케어의 시행과정과 향후 정책적 과제. 한국노년학, 33(2), pp.221~238.
- 오영은, 이정화, 신효연. (2014). 노인단독가구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구조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도움관계망과 갈등관계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2, 511-531.
- 오인근, 오영삼, 김명일. (2009).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1), 113-135.
- 원영희. (1999). 노인의 여가활동: 즐거운 노후 어려운 일인가. 김익기 외. 한국 노인의 삶: 진단과 전망. 미래인력개발. pp.317-354.
- 윤현숙, 원성원. (2010). 노인의 영성과 종교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4), 1077-1093.
- 이소영, 윤지영. (2018). 노인의 복지관 이용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2018 한국노인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이지현, 한경혜. (2012). 예비노인의 친구관계망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2), 170-205. https://doi.org/10.15709/HSWR.2012.32.2.170
- 장애순, 황은정. (2017). 일개 노인복지관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혈압, 혈당, 체중, 체성분,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1), 526-535. doi.org/10.5762/KAIS.2017.18.11.526
- 전용호, 이민홍, 김세미. (2016). 독거노인돌봄기본서비스사업 종사자의 직무소진과 역할강화방안 연구. 서울: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 정경희. (1995). 노인들의 사회적 연계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5(2), 52-68.
- 정경희. (2015). 노년기 독거 현황과 정책적 대응 전략. Issue & Focus, 300, ISSN 2092-7117.
-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재호, 선우덕, 오미해, 이윤경, 황남희, 김경래, 오신휘, 박보미, 신현구, 이금룡. (2014). 2014년 노인실태조사보고서.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영숙, 조설애, 안정신, 정여진. (2012). 한국 노인의 삶의 의미 원천으로서 가족관계와 자기초월가치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1), 19-41.
- 조성희, 이화영. (2015).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12), 8957-8965. doi.org/10.5762/KAIS.2015.16.12.8957
- 통계청. (2017). 장래인구추계: 2015-2045.
- 하정연, 오윤자. (2003).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선택.적정화.보상책략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31-144.
- 황은정. (2019). 남녀 독거노인의 행복감 예측요인 비교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8), 392-402. doi.org/10.5762/KAIS.2019.20.8.392
- Antonucci, T. C., Akiyama, H., & Lansford, J. E. (1998). Negative effects of close social relations. Family Relations, 47(4), 379-384. https://doi.org/10.2307/585268
- Baltes, P., & Baltes,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altes, &M. Baltes (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pp. 1-3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onnidis, I. A., & McMullin, J. A. (2002). Sociological ambivalence and family ties: A critical perspectiv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558-567.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558.x
- Donati, P. (2011). Relational Sociology: A New Paradigm for the Social Science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doi.org/10.4324/9780203860281
- Fingerman, K. L., Hay, E. L., & Burditt, K. S. (2004). The best of ties, the worst of ties: Close, problematic, and ambivalent social relationship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3), 792-808. https://doi.org/10.1111/j.0022-2445.2004.00053.x
- House, J., Robbins, C., & Metzner, H. (1982). The associ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with mortality: Prospective evidence from the Tecumsch Community Health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16, 123-140.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3387
- Katagiri, K., & Kim, J. H. (2018). Factors determining the social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A comparison between Japan and Korea using EASS 2012. PLOS ONE. doi.org/10.137/joutnal.pone.0194703
- Lin, W. (2017).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ty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China: Based on the CHARLS2011 data set.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5(3), 1160-1168. https://doi.org/10.1111/hsc.12415
- Prandini, R. (2014). Family relations as social capital.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14(2), 221-234. https://doi.org/10.3138/jcfs.45.2.221
- Rozer, J., Mollenhorst, G., & Poortman, A. R. (2016). Family and friends: Which types of personal relationships go together in a network? Social Indication Research, 127, 809-826. https://doi.org/10.1007/s11205-015-0987-5
- Szanton, S. L., Roberts, L., Leff, B., Walker, J. L., Seplaki, C. L., Soones, T., Thorpe Jr., R. J., Ornstein, K. A. (2016). Home but still engage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mong the homebound. Quality of Life Research, 25, 1913-1920. https://doi.org/10.1007/s11136-016-1245-2
- Ward, R. (1985). Informal networks and well-being in later life: A research agenda. The Gerontologist, 25(1), 55-61. https://doi.org/10.1093/geront/25.1.55
- Wrzus, C., Wagner, J., & Neyer, F. J. (2012). The interdependence of horizontal family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relates to higher well-being. Personal Relationships, 19(3), 465-482. doi.org/10.1111/j.1475-6811.2011.01373.x
- Wu, T., & Chan, A. (2011). Families, friends and the neighborhood of older adults: Evidence from public hosing in Singapore. Journal of Aging Research, 2012,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