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업유산 재생으로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High Line as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 박원석 (대구대학교 부동산.지적학과)
  • Park, Wonseok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Land Administration, Daegu University)
  • 투고 : 2020.06.17
  • 발행 : 2020.06.30

초록

본 연구는 산업유산 재생 사례로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진일보한 도시재생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산업유산 재생사례로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 분석을 위한 틀로 거버넌스, 물리적 성과, 경제적 성과, 사회적 성과, 문화적 성과 이상 5개의 분석요소를 도출하였고, 각 요소별로 총 15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둘째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 분석결과를 보면, 하이라인 재생사업은 효과적인 거버넌스의 구축과 이를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역사성과 장소성을 고려한 물리적 개선, 낙후된 맨해튼 중서부 지역의 경제 활성화 등의 성과를 보인 반면,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둥지 내몰림 등의 문제를 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High Line as an example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ve measurement elements were derived from governance, physical performance, economic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and cultural performance a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high line as a case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and a total of 15 indicators were selected for each eleme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High Line regeneration shows that the High Line regeneration project has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governance, the physical improvement considering historicity and placeness, and the economic revitalization of the underdeveloped mid-western region of Manhattan, while the drive-out of natives due to gentrif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동진, 2010,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법론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1(1), pp.157-178.
  2. 강성중, 2011, "도시재생을 위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의 산업유산 활용 사례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4), pp.1-12.
  3. 김경천.김갑열.이재수, 2015, "도시재생 지역선정을 위한 평가지표 연구-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중심으로," 부동산학보 61, pp.31-45.
  4. 김소라.이병민, 2014, "산업유산 활용 사례를 통해 본 인문학적 도시재생 방향모색- 뉴욕하이라인과 서울 선유도공원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26(1), pp.67-79.
  5. 김인서.나주몽, 2018, "도시재생사업의 문화영향평가 지표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문화정체성 지표를 중심으로,"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3), pp.451-466.
  6. 김주희.이석현, 2018, "뉴욕 하이라인 파크의 공간구성 특성과 이용만족도 조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3(6), pp.287-301.
  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 2015, 도시재생, 보성각.
  8. 박원석, 2013, "주거복지 확충을 위한 리츠의 활용 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pp.275-292.
  9. 박원석, 2018, "주거복지 확충을 위한 자본시장 활용 방안-미국의 부담가능주택 리츠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3), pp.231-253.
  10. 박원석.류통길, 2010, "주민참여를 통한 항만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381-397. https://doi.org/10.23841/EGSK.2010.13.3.381
  11. 박진빈, 2018, "미국 도시 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두 도시이야기," 학림 41, pp.41-68.
  12. 석군봉.안혜신, 2019, "공공디자인 측면에서의 도시재생 실행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2(3), pp.169-184.
  13. 신동호, 2015, "독일 루르지역의 도시재생정책: 오버하우젠시와 겔젠키르헨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60-76.
  14. 윤주, 2017, (우리가 알아야 할) 도시재생 이야기, 파주: 살림출판사.
  15. 윤희연, 2010, "웨스트 첼시 개발과 하이라인의 역할에서 나타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성격," 한국조경학회지 38(1), pp.84-97.
  16. 이병민, 2016,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서울동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51-67.
  17. 이정동.김영.홍성실, 2017, "AHP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평가지표 연구-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을 대상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지 15(3), pp.333-348.
  18. 이혜주.서리인, 2014, "뉴욕 하이라인(High Line) 공원에 나타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연구 5(3), pp.1-22.
  19. 전수빈.김정빈, 2018, "상향식 도시재생과정을 통한 공공공간 조성과정에서 참여적 주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뉴욕 하이라인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3(1), pp.37-50. https://doi.org/10.17208/jkpa.2018.02.53.1.37
  20. 주상현, 2019, "도시재생사업 성공요인 중요도 분석과 정책적 함의-전문가와 지역주민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3(1) pp.285-307.
  21. 진은애.이우종, 2018, "도시재생사업 유형별 성과지표 중요도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8(6), pp.29-41.
  22. 최민아.최지인.양동석, 2013,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지표 구축 및 적용 방안 연구-해외 도시재생 모니터링 지표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3(3) pp.51-60.
  23. 허진하, 2011, "뉴욕 하이라인의 지역재생 사례를 통한 공공디자인 방향 모색," 조형미디어학 14(3), pp.189-196.
  24. 황선영, 2019, "문화적 도시 재생을 위한 플레이스 브랜드의 역할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7(2), pp.263-274.
  25. Anderson, C.. 2019, "A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Redevelopment from the Viewpoint of Ethical Redevelopment: Seoul's Cheonggyechon and the New York High Line," GRI Review 21(3), pp.99-124.
  26. David, J. and Hammond, R., 2011, High Line : The Inside Story of New York City's Park in the Sky, Farrar, Straus and Giroux LLC.
  27. https://www.thehighline.org(The High Line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