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patial Patterns and the Factors on Agglomeration of New Industries in Korea

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 요인에 관한 연구

  • Sa, Hoseok (Industrial Loc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Industrial Complex Corporation)
  • 사호석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 Received : 2020.06.25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foster new industries at the local level.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s of new industries in Korea from 2007-2017 and to figure out its determinants of agglomeration in 2017.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new industries are unevenly distributed around Seoul Metropolitan Area(SMA). The regional disparity between SMA and non-SMA is prominent. Furthermore, new industries represent a strong spatial positive autocorrelation, showing a strong concentration on a few regions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 determinants on agglomeration of new industries with spatial statistical model. From the results of spatial error model, it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graduate students, the ratio of technology based start-ups, and the numbe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ew industries. In addition, the specialization and the diversity of industrial structure on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ies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non-SMA needs policies with respect to attracting talented people, developing human resources, and improving reg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promoting new industries.

지역경제 침체에 따라 지역 차원에서 신산업을 육성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신산업의 성장에 따른 공간패턴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포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신산업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우 불균등하게 분포하여 비수도권과 지역격차가 두드러졌다. 신산업의 공간분포는 정적인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보였으며, 특정 소수 지역을 중심으로 집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공간계량모형을 토대로 신산업 집적 요인을 파악한 결과, 지역 내 대학원생 수, 지역에서 기술창업기업이 차지하는 비중, 지역별 초·중·고등학교 수, 지식기반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의 특화도와 산업구조 다양성, 고용밀도가 신산업 분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비수도권 내 신산업 육성을 위해서 고급인재 유인 및 양성과 지역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지방의 신산업 육성을 위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준형.김영삼.유지호.사동철.정진영.오정훈.서상현.오성주, 2016, 2016 하반기 경제전망: 글로벌 저성장 국면 속 정책 불확실성 확대, 포스코경영연구원.
  2. 구지영.안영진, 2016, "우리나라 화장품산업 가치사슬의 공간적 분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3), pp.550-565.
  3. 국토교통부, 2017, 도시계획현황(최종열람일: 2019년 11월 30일).
  4. 권재중.주경식, 2009, "바이오산업의 공간분포와 입지요인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1), pp.115-137.
  5. 김상우.신동진.김미애.권일.장아련, 2018,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의 추진 현황과 정책효과 분석, 국회예산정책처.
  6. 김의준.김재홍.김호연.구교준.마강래.이수기.임업, 2015, 지역.도시경제학-이론과 실증, 서울: 홍문사.
  7. 김종기.서동혁.장석인.이경숙.문혜선.모정윤.박상수.심우중.김양팽.이자연, 2018, 신융합 시대 유망 신산업의 국내 성장역량 분석과 과제, 산업연구원.
  8. 김찬준.송하율.김홍석.변창욱.김민수, 2015, 지식기반산업 발전을 위한 제주 인적자본 제고 방안, 한국은행제주본부.
  9. 김홍규.노영순, 2018, 지역문화기반시설의 수급 현황 분석 및 개선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0. 김희철.홍성조, 2015, "신성장동력산업의 입지현황 및 집적특성에 관한 연구-수도권과 충청권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4), pp.65-87.
  11. 사호석, 2020, 신산업 공간분포와 집적 형성 요인 분석, 한국산업단지공단.
  12. 산업통상자원부, 2018.12.18,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
  13. 산업통상자원부, 2020.03.18, 대구.경북 제조업체 위기극복 위해 지역활력프로젝트 추진 -2020년 추경에 120억원 반영-
  14. 서동혁.최윤희.김승민.심우중, 2016, 한국형 신성장산업의 유형화와 산업화 전략, 산업연구원.
  15. 신성장정책금융센터, 2018, 혁신성장 공동기준 매뉴얼 2018-1호.
  16. 염승일.이희연, 2011, "시.군.구의 문화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3), pp.307-324.
  17. 오준범.신유란.정민, 2018, 신성장동력, 어떻게 찾을 것인가? -산업측면에서 바라본 신성장동력, 한국경제주평 18-40호, 현대경제연구원.
  18. 이상규.김수동, 2016, 신산업 발전을 위한 민간 연구개발 투자 활성화 방안, 산업연구원.
  19. 이종호.장후은, 2019,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 246-257.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46
  20. 이희연, 2010, "지식창출활동의 공간적 집적과 지역간 격차요인 분석," 지식재산연구 5(1), pp.113-150.
  21. 이희연, 2018, 경제지리학: 제4판, 파주: 법문사.
  22.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이론과 실습: 제2판, 고양: 문우사.
  23. 장재홍.송하율.김홍석.허문구.김찬준.변창욱, 2014, 창조산업의 공간 분포와 집적 형성 요인 분석, 산업연구원.
  24. 장현숙.박소영.김보경.이진형.이준명, 2019, 2019년 주목해야 할 5대 신산업,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5. 전지혜.이철우, 2019,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91-303.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91
  26. 정성훈, 2019,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진단과 처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37-245.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37
  27. 창업진흥원, 2014, 2013년 창업기업실태조사.
  28.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 각 연도, 전국사업체조사(최종열람일: 2019년 10월 28일).
  29. 통계청, 2015, 인구총조사 (최종열람일: 2019년 11월 30일).
  30. 특허청, 2017, 지식재산 통계연보 (최종열람일: 2019년 12월 9일).
  31. 한국교육개발원, 2017, 교육기본통계 (최종열람일: 2019년 11월 30일).
  32. 허문구, 2015, 지역별 인재유인력의 공간분포와 특성분석-인재유인잠재력지수(TMPI) 산출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33. Agarwal, R. and Bayus, B., 2004, "Creating and Surviving in New Industries," Advances in Strategic Management 21, pp.107-132.
  34.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 pp.93-115. https://doi.org/10.1111/j.1538-4632.1995.tb00338.x
  35. Berger, T. and Frey, C., 2017, "Industrial Renewal in the 21st Century: Evidence from US Cities," Regional Studies 51(3), pp.404-413. https://doi.org/10.1080/00343404.2015.1100288
  36. Boschma, R., Minondo, A. and Navarro, M., 2013,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at the Regional Level in Spain: A Proximity Approach Based on Product Relatedness," Economic Geography 89(1), pp.29-51. https://doi.org/10.1111/j.1944-8287.2012.01170.x
  37. Feldman, M. and Tavassoli, S., 2014, Something New: Where Do New Industries Come From?, CITR Electronic Working Paper Series 2014/2, Karlskrona: Blekinge Institute of Technology.
  38. Hoogstra, G., Van Dijk, J. and Florax, R., 2017, "Do Jobs Follow People or People Follow Jobs? A Meta-Analysis of Carlino-Mills Studies," Spatial Economic Analysis 12(4), pp.357-378. https://doi.org/10.1080/17421772.2017.1340663
  39. Klepper, S. and Graddy, E., 1990, "The Evolution of New Industries and the Determinants of Market Structure," RAND Journal of Economics 21(1), pp.27-44. https://doi.org/10.2307/2555491
  40. Lazzeretti, L., Capone, F. and Boix, R., 2012, "Reasons for Clustering of Creative Industries in Italy and Spain," European Planning Studies 20(8), pp.1243-1262. https://doi.org/10.1080/09654313.2012.680585
  41. Lu, Y. and Cao, K., 2019, "Spatial Analysis of Big Data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Development in China," Sustainability 11(6), pp.1-22.
  42. Marquardt, D., 1970, "Generalized Inverses, Ridge Regression, Biased Linear Estimation, and Nonlinear Estimation," Technometrics 12(3), pp.591-612. https://doi.org/10.1080/00401706.1970.10488699
  43. Monfardini, E., Probst, L., Szenci, K., Cambier, B. and Frideres, L., 2012, "Emerging Industries": Report on the Methodology for Their Classification and on the Most Active, Significant and Relevant New Emerging Industrial Sectors, Luxembourg: PwC.
  44. Phaal, R., O'Sullivan, E., Routley, M., Ford, S. and Probert, D., 2011, "A Framework for Mapping Industrial Emergence,"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78(2), pp.217-230.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0.06.018
  45. Porter, M., 1980, Competitive Strategy: Techniques for Analyzing Industries and Competitors, New York: Free Press, Chapter 10.
  46. Scott, A. and Storper, M., 2003, "Regions, Globalization, Development," Regional Studies 37(6-7), pp.579-593. https://doi.org/10.1080/0034340032000108697a
  47. Shearer, C., Vey, J. and Kim, J., 2019, Where Jobs are Concentrating and Why It Matters to Cities and Regions, Washington, DC: Brookings.
  48. Tervo, H., 2016, "Do People Follow Jobs or Do Jobs Follow People? The Case of Finland in an International Context," The Journal of Regional Analysis & Policy 46(1), pp.95-109.
  49. Van de Ven, A., Polley, D., Garud, R. and Venkataraman, S., 2008, Building an Infrastructure for the Innovation Journe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Cited by

  1. 팬데믹 시대의 도시 씬 요소 변화 vol.23, pp.3,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3.262
  2. 미니 산업단지의 입지적합성 평가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vol.23, pp.3,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3.334
  3. 4차 산업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vol.21, pp.3,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3.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