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크리티컬 패션의 비평적 메시지 유형

Messages types in critical fashion design

  • Jung, Junghee (Dept. of Fashion Design, School of Art, Sungkyunkwan University) ;
  • Yim, Eunhyuk (Dept. of Fashion Design, School of Art, Sungkyunkwan University)
  • 투고 : 2020.02.17
  • 심사 : 2020.06.24
  • 발행 : 2020.06.30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critical fashion and discusses its critical messages, as it challenges the existing system of the fashion industry. This study reviews the literature on critical art and critical design and analyzes exhibition catalogs, magazines, and websites related to critical fashion practices. Thereupon, this study assumes the two distinctive messages of critical fashion design: materiality and experience, and the redefinition of the ideal body. First, materiality and experience pursues a change in perceptions of clothing materials by way of deconstructing clothes and exposing the process of production. This type of critical fashion breaks away from the traditional sartorial conventions and articulates new structures and experiences through dematerialization. Second, the redefinition of the ideal human body attempts to subvert the stereotypes of ideal beauty and introduce a variety of beauty in the human body. This type of critical design reconstructs the human body through transformation, expansion, and deconstruction and is often liberated from the dichotomy of gender norm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지. (2018). 디지털 시대의 매개적 신체와 조형예술의 융합: 패션과 결합한 신체의 확장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59(2), 167-178.
  2. 김계옥. (2016). 비물질적 표현으로서 장신구아트-<제2의 피부로서의 장신구>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53, 45-56.
  3. 김은영. (2005). Antony Gormley의 인체조각에 표현된 신체담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은정, 박옥련. (2012). 2000년 이후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실험적 디자이너의 표현특성.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2(3), 97-114.
  5. 김화람. (2011). 현대조각에서 있어서 매체의 확장과 비물질성.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박현수. (2018). 뉴미디어 예술의 물질성 변화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현신. (2003). 20세기 후기 패션의 신체부재와 탈재현 현상.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현신. (1998). 카오스.프랙탈적 사고에 기초한 의상의 해체 경향에 관한 연구: 작품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38, 197-192.
  9. 박용숙. (1988). 현대미술의 반성적 이해. 서울: 집문당.
  10. 서상숙. (2019). 고요한 긴장 속에 요동치는 미국의 혼란상: 인종, 정치, 젠더 그리고 아이덴티티. 월간미술, 154-159.
  11. 오생근. (1993). 데카르트, 들뢰즈, 푸코의 육체, 사회비평-몸의 정치학: 시선과 권력. 문화과학사.
  12. 유태순. 전경숙. (1996). 인체미의 이상형에 따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변화. 한국복식학회, 28, 65-84.
  13. 유재부. (2016. 4. 24). 뉴 패션 메시아(구주, 예수)로 불리는 세계 패션계의 '라이징 앙팡테리블'. FASHIONN. 자료검색일 2019. 6. 20, 자료출처 http://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10&number=15766
  14. 이슬아. (2017). 현대 패션쇼에 표현된 인터미디어 특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승현. (2015). 신자유주의 시대 미술의 두 가지 가능성-데미안 허스트와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현대미술사연구, 37, 153-177.
  16. 이효문. (2013). 부리오의 관계미학과 아르테포베라의 예술적 의의. 유럽문화예술학논집, 7, 71-108.
  17. 이윤경, 김민자. (2009). 패션과 Arte Povera에 표현된 물질성: 1960년대와 이후 이탈리아 패션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59(4), 126-142.
  18. 임근준. (2018a. 3. 27). 스마트폰으로 재매개된 세상, 그리고 위기의 현대시각예술: 자본주의 상업적실재 그 자체가 예술화하는 새로운 시대의 도래. Chungwoo. 자료검색일 2019. 6. 10, 자료출처 http://chungwoo.egloos.com/4151663
  19. 임근준. (2018b. 6. 15). "쇼의 미래를 예상하라"는 요청에 답한다: 패션쑈는 현대미술 프로젝트처럼 재창안: 변주될 운명이다. Chungwoo. 자료검색일 2019. 7. 1, 자료출처 http://chungwoo.egloos.com/4155789
  20. 임근준. (2018c. 7. 15). 경제적/정치적/문화적/예술적(미학적) 전유의 동역학. Chungwoo. 자료검색일 2019. 6. 20, 자료출처 http://chungwoo.egloos.com/4157236
  21. 임은혁. (2013). 복식과 회화에 표현되는 몸의 재현-프란시스 베이컨의 작품과 레이 카와쿠보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7(4), 40-57. https://doi.org/10.12940/jfb.2013.17.4.40
  22. 조은애. (2016). 패션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 소비에트 특성.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전지현. (2008).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디지털 이미지에 관한 연구: 후세인 샬라얀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전재훈. (2009). 문화연구 시각에 의한 현대 패션의 디지털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정정희, 임은혁. (2019). What is critical fashion?. 한국의류산업학회, 21(5), 540-551. https://doi.org/10.5805/sfti.2019.21.5.540
  26. 최운. (2016. 4. 26). 택배회사 티셔츠 한 장에 38만원?. CHOSUN. 자료검색일 2019. 6. 21, 자료출처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26/2016042603032.html
  27. 최정렬. (2003). 비물질적 특성을 적용한 Fluxus gallery 계획.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최혜원. (1996). Arte Povera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허가영. (2011). 현대 패션 프레젠테이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Annamari, V., & Clark, H. (2018). Fashion curating: Critical practice in the museum and beyond. London, Oxford, New York, New Delhi, Sydney: Bloomsbury Academic.
  31. Alice, A. (2009). Exhibition review: The house of Viktor and Rolf. TEXTILE 7(1), 120-126. https://doi.org/10.2752/175183509x411807
  32. Bakhtin, M. (1984). Rabelais and his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33. Brand, J., & Teunissen, J. (2009). Fashion and imagination. Arnhem: ArtEZ Press.
  34. Bruno du Roselle. (1980). La mode. Imprimerie Nationale: Paris.
  35. Brand, J. (2008). The power of fashion: On design and meaning. Arnhem: ArtEZ Press.
  36. Bonni, E. (2011). Japanese fashion designers: The work and influence of Issey Miyake, Yohji Yamamoto and Rei Kawakubo. London, New York: Berg.
  37. Bruderlin, M., & Lütgens, A. (2011). Art & fashion: Between skin and clothing. Bielefed: Kerber Verlag.
  38. Evans, C. (1998). The golden dustman: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work of Martin Margiela and a review of Martin Margiela exhibition (9/4/1615).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2(1), 82-83.
  39. Evans, C., Frankel, S., Susannah, A., & Yedgar, A. (2008). The house of Viktor & Rolf. London, New York: Merrell.
  40. Entwistle, J. & Wilson, E. (2001). Body dressing: Dress, body, culture. New York: Berg Publishers.
  41. Foster, H., Krauss, R., Bois, Y. A., Benjamin, H. D., & Buchloh. (2007). 1900년 이후의 미술사: 모더니즘, 반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배수희, 신정훈 외 역). 서울: 세미콜론.
  42. Geczy, A., & Karaminas, V. (2018). The end of fashion: Clothing and dres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New York: Bloomsbury USA Academic.
  43. Geczy, A., & Karaminas, V. (2017). Critical fashion practice: From Westwood to Van Beirendonck. London, Oxford, New York, New Delhi, Sydney: Bloomsbury Academic.
  44. Geczy, A., & Millner, J. (2015). Fashionable art. New York, London: Bloomsbury.
  45. Geczy, A., & Karaminas, V. (2012). Fashion and art. New York: Berg.
  46. Gertrud, L. (1999). Fashion: A concise history. London: Laurence King.
  47. Kawamura, Y. (2005). Fashion-ology: An introduction to fashion studies. Oxford: Berg.
  48.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 (2009). Masion Martin Margiela. NY: Rizzoli.
  49. Perrot, Philippe. (1984). Le travail des apparences: Ou les transformations du corps feminin XVIIIE-XIXe siecle. Paris: Le Seuil.
  50. Teunissen, J., Nefkens, H., Arts, J., & van der Voet, H. (2014). The future of fashion is now: Dutch exhibition catalogue. Rotterdam: Museum Boijmans Van Beuni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