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20 S/S 컬렉션에 나타난 젠더리스 패션 디자인에 따른 메이크업 표현 특성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ake-up based on genderless fashion design in the 2020 S/S collection

  • 최지은 (대전과학기술대학교 뷰티디자인계열) ;
  • 문윤경 (성신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투고 : 2020.02.13
  • 심사 : 2020.05.18
  • 발행 : 2020.06.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beauty-coordination characteristics of Genderless fashion, which is emerging as a new trend by analyzing the trend in the latest collection and classify the resulting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make-up. Methods and scope of the study were based on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2020 S/S season and 35 out of 84 designers with design element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garments most likely to be genderl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of the genderless derived through this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compromise, androgyny, sensuality, exaggeration, enjoyment, and historicity. Compromise was the highest, and the lowest was for enjoyment of the classifications. The designer's wor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xpression shows that the pieces by Saint Laurent were the highest in compromise, sensuality, and historicity, and the pieces by Maison Margiela were the highest in androgyny while Balenciaga was the highest in exaggeration and enjoyment. Compromise represented a mixture of discord, such as incongruous bonding and coloring of heterogeneous materials, and androgyny led to the use of silhouettes and colors, with sensuality utilizing see-through material and incision lines allowing for physical exposure. Exaggeration intentionally destroyed the existing concept by breaking the overall balance of the human body through the enlargement of certain parts of the body, while enjoyment showed unexpectedness by destroying the line and sides of the garment. Lastly, historicity was analyzed for its retro design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with regional cultural and period characteris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옥, 금기숙. (1998).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36, 239-262.
  2. 김규연, 하지수. (2019). 성소주자의 복식을 통한 젠더정체성 표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pp.98-99.
  3. 김민자. (2008). 복식미학강의. 서울: 교문사.
  4. 김선영. (2006). Jean Paul Gaultier의 Haute Couture 작품에 표현된 미적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4(4), 1-9.
  5. 김지혜. (2016). 현대 여성 패션에 나타난 젠더리스 스타일의 표현 특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지혜, 이연희. (2016). 현대 여성 컬렉션에 나타난 젠더리스 스타일의 표현 특성. 복식문화학회, 24(6), 903-919. https://doi.org/10.7741/rjcc.2016.24.6.903
  7. 박은해, 김유라, 김현화, 신은선, 한희정. (2017). 젠더퀴어 현상에 따른 패션표현의 변화,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p.130
  8. 박선옥. (2019). 퍼스 기호학 관점에서의 현대 젠더리스 패션 스타일 표현 특성 연구.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광숙. (2018).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 표현된 젠더리스의 특성 연구. 인문사회21, 9(4), 1543-1556.
  10. 양수현. (2015). 타셈 싱(Tarsem Singh)영화의상에 나타난 매직리얼리즘 특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유홍식. (2007). 국내의류업체의 패션상품에 나타난 젠더리스 연구. 한국문화학회지, 10(3), 57-72.
  12. 이기열, 강병석. (2007). 현대 패션의 과장된 인체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지, 8(1), 399-407.
  13. 이언영, 변미연, 이인성. (2006). 현대 패션에 나타난 남성복 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 메트로섹슈얼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2), 293-301.
  14. 임송미, 이미숙. (2003). 현대패션에 나타난 기호의 의미 분석: 1990년 이후의 패션 컬렉션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7(1), 84-100.
  15. 제프 프롬, 엔지 리드. (2018). 강소비권력 Z세대가 온다(임가영 역). 서울: 홍익출판사.
  16. 정홍숙. (2014).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17. 최해주, 안은경. (2003). 국내 복고주의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199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53(2), 137-151.
  18. 패션엔. (2019. 9. 25) , 자료검색일 2019. 11. 30, 자료출처 http://www.fashion.com
  19. 하지수. (1994). 현 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한국복식학회지, 22, 71-83.
  20. 한승수. (2010). 과장형 복식이 신체에 미친 향에 관한 연구: 유행의 강제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Kaiser, S. B. (1990), 복식사회심리학. 서울: 경춘사.
  22. UN 외교부. (2019. 10. 1). 자료검색일 2019. 11. 20, 자료출처 https://mofakr.blog.me/221664842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