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aintenance status of Special Education Facility

지역별 특수교육시설 정비현황에 관한 연구

  • 임창현 (국립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전공) ;
  • 김성룡 (국립한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 Received : 2020.05.28
  • Accepted : 2020.06.30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In order to establish a special school considering the rights of disabled students to receive education and the principle of fair regional placement, this study identified the deviation of regional maintenance status of special education facilities and analyzed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to provide desirabl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in the future. As a research method, the main status and maintenance index for each region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status of each special education subject and the disability area by using the statistics and facility data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pecial Education Policy Divis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each provi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large cities tended to rely on special classes and general classes due to the lack of facilities at special schools, and local cities showed uneven results for each disability area and supplemented the system lacking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overall evaluation, special education facilities have not yet been leveled across the country.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교육받을 권리와 공정한 지역배치 원리를 고려한 특수교육시설의 정비가 될 수 있도록 특수교육시설의 지역별 정비현황의 편차를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고찰함으로써, 앞으로의 시설설립계획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 특수교육원, 특수교육정책과, 각 시도교육청의 통계자료 및 시설자료를 활용하여 특수교육대상자와 장애영역별 현황을 중심으로 지역마다 주요현황 및 정비지수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대도시의 경우는 특수학교의 시설부족으로 인해,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방도시에서는 장애영역별로 불균등한 결과를 보이며, 특수교육지원센터가 부족한 체계를 보완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평가해보면, 특수교육시설은 아직 전국적으로 평준화되지 않는 정비 상황을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 2019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19.9
  2.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2019 특수교육통계, 2019.6
  3. 조찬묵, 학교신설비 예산지원 기준 마련 - 교부면적 및 교부 단가 -, 한국교육개발원, 2014
  4. 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18-'22), 20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