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Job Stress,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성실 (가족연구소 마음 연구원) ;
  • 여종일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전공)
  • Received : 2020.04.07
  • Accepted : 2020.06.1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job stress,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281 child care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Job stress, problem-focused coping style,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by a teacher-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while job stress predicted lower quality of life, having problem-focused coping style and family support enhanced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Furthermore, results showe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support from directors at child care cent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t role of problem-focused coping styles and family support in enhancing quality of life. Moreover, support from directors at child care centers appeared to buffer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for child care teachers.

Keywords

References

  1. 강동묵, 고상백, 김성아, 김수영, 김영기, 김영진 등 (2016).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2판). 서울: 고려의학.
  2. 강명선 (2012).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 효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명선, 이희영 (2012).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인문학논총, 29, 289-307.
  4. 구동모 (2017). 연구방법론. 경기도: 창명.
  5. 김경은, 이대균 (2018). 10 년 이상 경력의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고민과 요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3(3), 305-333. doi:10.20437/KOAECE23-3-13
  6. 김규수, 고경미, 김경숙 (2014).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 관련변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251-268.
  7. 김보람, 박영숙 (2012). 초등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열의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스트레스硏究, 20(3), 199-208.
  8. 김성숙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65-83.
  9. 김성희 (2014).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새봄 (2013). 농어촌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 결정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은수, 유승연 (2012).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 및 대처방법과의 관계 연구. 아동과 권리, 16(2), 367-417.
  12. 김창기 (20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문제중심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9, 315-336.
  13. 권기남, 민하영 (2009). 유아교육기관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쉽과 거래적 리더십, 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 및 조직헌신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8(4), 857-867. https://doi.org/10.5934/KJHE.2009.18.4.857
  14. 권화숙 (2012). 사회지지와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요인과 소진을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57-174.
  15. 류성봉 (2013).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삶의 질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명준희 (200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3), 571-579.
  18.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보건복지부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 조사보고-. 서울: 보건복지부.
  20. 백정원, 최정숙 (2013). 유자녀 보육교사의 일-가족 양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1, 167-198. doi:10.16975/kjfsw.2013..41.007
  21.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어윤경 (2017). 전문상담교사의 내. 외향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진로교육연구, 30(2), 103-125.
  24. 우상임 (2015).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유현숙, 도명애 (2011).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 정서.행동장애연구, 27(2), 261-289.
  26. 윤경아 (2017).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이 부양자의 성장과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2(1), 257-282. doi:10.21194/kjgsw.72.1.201703.257
  27. 이기혜, 김경근 (2013). 중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23(3), 139-168. doi:10.32465/ksocio.2013.23.3.006
  28. 이권호 (2015). 농촌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동과 삶의 질에 대한 탐색.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나영, 국지윤, 김영옥 (2014).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9, 341-359.
  30. 이소담, 이승연 (2018). 보육교사의 일-삶 균형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경향 및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7(1), 185-213. doi:10.21183/kjcm.2018.03.17.1.185
  31. 이용근 (2009). 초등교사의 삶의 질이 자기 결정성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은숙 (2016).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0(3), 470-482. doi:10.5932/JKPHN.2016.30.3.470
  33. 이은희, 이주희 (200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145-175.
  34. 이장호, 김정희 (1988).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 25-45.
  35. 이재완, 강혜진 (2018). 워라밸과 삶의 만족: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2(3), 267-291. doi:10.20484/klog 22.3.11
  36. 이지영, 김성원, 김진원 (2017).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동료 갈등의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11(2), 57-86. doi:10.5718/kcep.2017.11.2.57
  37. 이혜안, 심수연, 양영애, 임명호 (2016).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과 ADHD, 우울, 불안,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291-299. doi:10.5392/JKCA.2016.16.07.291
  38. 조경서, 김은주 (2014). 유아교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269-288.
  39. 주은빈 (2016).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전향아 (2014).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 통합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을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정문자, 여종일 (2009). 아동의 불안과 우울증상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적 변인. 아동학회지, 30(3), 71-83.
  42. 조주희 (2018). 어린이집에서의 사회적 지지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최병태, 김이영 (2013). 개인특성과 사회지지가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업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1), 5-24.
  44. 허혜경, 박인숙 (2010). 보육교사의 자질과 직무태도가 보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4, 21-41.
  45. 황지애, 김성재 (2015). 유아교사들의 삶의 질에 관한 실태분석: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0(4), 221-244.
  46.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2).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211-239. doi:10.18023/kjece.2012.32.2.010
  47. Aldwin, C. M. (2015).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2nd ed.), 스트레스, 대처, 그리고 발달(강성록, 양재원, 유현경, 정유진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14).
  48. Amirkhan, J. H. (1990).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5), 1066-1074. doi:10.1037/0022-3514.59.5.1066
  49. Bornstein, M. H. (2006).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In K. S. Renninger & I. E. Sigel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6th ed. (pp. 893-949). Hoboken, NJ: John Wiley & Sons.
  50. Chan, D. W. (2002).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prospective Chinese teachers in Hong Kong. Educational Psychology, 22(5), 557-569. doi:10.1080/0144341022000023635
  51. Clark, E. H.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Auburn, USA.
  52. Denham, S. A., Bassett, H. H., & Zinsser, K. (2012). Early childhood teachers as socializer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0(3), 137-143. doi:10.1007/s10643-012-0504-2
  53. Falk, B. (2012). Supporting children's education and care: Putting into practice what we know. In B. Falk (Ed.), Defending childhood: Keeping the promise of early education (pp. 243-250).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54. Grindal, T. A., Hinton, C., & Shonkoff, J. P. (2012). The science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Lessons for teachers and caregivers. In B. Falk (Ed.), Defending childhood: Keeping the promise of early education (pp. 13-23).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55. Ferguson, M., Carlson, D., Zivnuska, S., & Whitten, D. (2012). Support at work and home: The path to satisfaction through bal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2), 299-307. doi:10.1016/j.jvb.2012.01.001
  56. Friedman-Krauss, A. H., Raver, C. C., Neuspiel, J. M., & Kinsel, J. (2014). Child behavior problems, teacher executive functions, and teacher stress in head start classroom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5(5), 681-702. doi:10.1080/10409289.2013.825190
  57. Lakey, B. (2013).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The role of personality and relations processes. In S. A. David, I. Boniwell, & A. C. Ayers (Eds.). The oxford handbook of happiness (pp. 847-859).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58.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59. Lopez, S. J., & Snyder, C. R. (2008).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긍정심리평가: 모델과 측정(이희경, 이영호, 조성호, 남종호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3).
  60. Lyubomirsky, S. (2007). The how of happiness: A new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New York: Penguin Books Ltd.
  61. Moos, R. H., & Billings, A. G. (1982).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coping resources and processes. In L. Goldberger & S. Breznitz (Eds.), Handbook of stress: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pp. 212-230). New York: The Free Press.
  62. Ribeiro, I. J. S., Pereira, R., Freire, I. V., de Oliveira, B. G., Casotti, C. A., & Boery, E. N. (2018). 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4(2), 70-77. doi:10.1016/j.hpe.2017.03.002
  63. Shaffer, D. R. (2005).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6th ed.), 발달심리학 (송길연, 장유경, 이지연, 정윤경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2).
  64. Zinsser, K. M., Christensen, C. G., & Torres, L. (2016). She's supporting them; Who's supporting her? Preschool center-level social-emotional supports and teacher well-be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9, 55-66. doi:10.1016/j.jsp.2016.09.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