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Seniors' Acceptance and Usage for Online Education Program: Based on Grounded Theory

온라인 교육 수용 환경에서 시니어들의 디지털 행동 이해: 근거이론 적용

  • 장현용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 ;
  • 박상철 (대구대학교 경영학과) ;
  • 고준 (전남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20.05.10
  • Accepted : 2020.05.27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on 23 seniors over 55 years old to understand the digital behavior of seniors in the online education acceptance environment.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initial enrollment behavior, login behavior, and utilization behavior of online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framework in the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of the senior generation was finally derived. As a causal conditions for the senio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the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goal orientation, relationship orientation, leisure orientation and external compulsory were derived, and shadow work appeared as the central phenomenon. Also, contextual conditions resulted in social change, physical and cognitive aging, and psychological atrophy. The intervening conditions included digital device acceptance, educational attitudes, environmental factors, and self-efficacy. Based on this, the action/interactions strategy formed a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shadow work. As a result, positive response behavior, compromising behavior, and shadow work avoidance behavior were show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reflected in future researches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of the elderly and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participation and government policy.

Keywords

References

  1. 강소랑, 이영민, 신현종, 장하연 2018. "50+ 세대의 디지털 정보화 실태 분석과 정보화 교육과정 개발," 서울시50플러스.
  2. 이유진 2018. "YouTube 너, 딱 우리 스타일이야… 5060.7080세대, 유튜브에 푹 빠지다," 경향신문기사.
  3. 김균, 김양은 2011. "고령화 시대 노인층의 미디어 이용행태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수시과제 연구보고서 .
  4. 김민정 2015. "노인의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이러닝 수용태도 및 수용의도 연구," 평생학습사회 (11:1), pp. 217-239.
  5. 김영롱 2019. "고령자의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행동모형,"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남순현 2017. "노인의 은퇴 후 삶의 적응에 대한 Glaser의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1), pp. 5-29. https://doi.org/10.22867/KAQSW.2017.11.1.5
  7. 박상철 2019. "그림자노동 차원에서 본 IT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행동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28:2), pp. 93-107.
  8. 박상철, 이웅규 2019. "문헌 고찰을 위한 근거이론방법의 활용: 디지털 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개념도출," 지식경영연구 (20:2), pp. 183-195. https://doi.org/10.15813/kmr.2019.20.2.009
  9. 박상철, 이웅규, 고준, 류성열 2020. "디지털 기술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매커니즘 규명 연구," 경영학연구 (49:1), pp. 31-50.
  10. 손맥, 조은영, 김희웅 2014. "e러닝 성공 평가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5:2), pp. 67-88.
  11. 양정훈 2015. "근거이론을 통한 노인의 자아통합감 연구," 한국정책연구 (15:2), pp. 23-48.
  12. 윤영종, 박환용 2019. "베이비부머 은퇴세대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0:4), pp. 85-94.
  13. 이승계 2018. "노동의 디지털화와 근로자의 지위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법률학회 (28:3), pp. 181-215.
  14. 이충훈, 정재욱, 이중정 2014. "세대간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뉴실버 세대와 넷 세대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23:4), pp. 49-74.
  15. 임병우, 이옥자 2012. "근거이론을 적용한 노년기 사회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12:4), pp. 497-517.
  16. 장현용, 김기선 2015. "친고령 제품 사용성 평가를 위한 체험관 활용방안: 광주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연구 (24), pp. 25-49.
  17. 장현용, 고준 2017. "고령자의 스마트폰 활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26:1), pp. 143-169.
  18. 장현용, 고준 2019. "고령자의 지각된 가치가 스마트 디바이스 인터넷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령자 평생학습 관점,"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1:1), pp. 87-103. https://doi.org/10.14702/jpee.2019.087
  19. 전남희, 조원일 2019. "유투브(You Tube)에 나타난 노인여가 프로그램의 영역별 대상과 기능적 요소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3), pp. 43-57.
  20. 전인규, 정진헌 2015. "고령화 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GUI 디자인 융복합 가이드라인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pp. 323-331. https://doi.org/10.14400/JDC.2015.13.7.323
  2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세대별 스마트폰 이용특성과 영향력 변화," KISDI STAT REPORT.
  22. 정승호, 김원택 2014. "노인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 신체 인지적 특성과 개념, 용어, 기술 이해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Design Convergence Study (13:2), pp. 278-295.
  23. 정주연, 김현석 2015. "고령자의 은행자동화기기(ATM) 사용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한국디자인학회 (28:4), pp. 119-132.
  24. 정희원, 장경호, 황명진 2011. "베이비 붐 세대의 장기요양 준비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접근의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5:2), pp. 127-161.
  25. 최지호, 송교현, 이성일 2010. "고령자를 위한 모바일 안내 시스템의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 한국HCI학술대회 논문집, pp. 524-527.
  26. 황민영, 전순돌, 김주현 2018. "연령주의, 신체적 및 심리사회적 노화의 인식, 우울감 간의 관계: 베이비부머, 전기노인 및 후기노인 남성 세대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7:1), pp. 65-103.
  27. Campbell, D. T., and Fiske, D. T. 1959.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by the multitrait-multimethod matrix," Psychological Bulletin (56:2), pp. 81-105. https://doi.org/10.1037/h0046016
  28. Lambert, C. 2015. Shadow Work: The Unpaid, Unseen Jobs That Fill Your Day, Counterpoint Press.
  29. Leen, E. A., and Lang, F. R. 2013. "Motivation of computer based learning across adulthood,"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3), pp. 975-983. https://doi.org/10.1016/j.chb.2012.12.025
  30. Ordonez, T.N, Yassuda, M.S, Cachioni, M. 2011. "Elderly online: Effects of a digital inclusion program in cognitive performanc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3:2), pp. 216-219. https://doi.org/10.1016/j.archger.2010.11.007
  31. Plude, D. J., and Hoyer, W. J. 1985. "Attention and performance: Identifying and localizing age deficits," in Aging and Human Performance , pp. 47-99.
  32. Morse, J. M. 1997. "Considering theory derived from qualitative research," Constructing a qualitative project; Detail and Dialogue, Newbury Park, CA: Sage, pp. 163-188.
  33. Morse, J. M. 2004. "Constructing qualitatively derived theory: Concept construction and concept typologie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4:10), pp. 1387-1395. https://doi.org/10.1177/1049732304269676
  34. Strauss, A., and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Inc.

Cited by

  1. 무엇이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일정을 지연시키는가? vol.22, pp.1, 2020, https://doi.org/10.15813/kmr.2021.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