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aewoldang, Kim Si-seup's Maniac Tendency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의 '광자(狂者)' 성향에 관한 연구

  • Jo, Min-hwan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20.05.31
  • Accepted : 2020.08.01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f Kim Si-seup's maniacal tendency. The properties of mania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mental mania wherein the mind has fallen into madness, and the other is morphological mania wherein madness is revealed in real world actions. This thesis analyzes two aspects of the madness of Kim Si-seup, who showed madness in the morphological dimension as well as madness of the mind in the Joseon Dynasty. One notion that is analyzed is 'Longing to never return', and the other is 'To live in obscurity, yet practice wonders.' Kim Si-seup was a promising talent when he was young and was a so-called "infant prodigy." However, when 'Saejo' took the throne of 'Danjong,' he left the house on the road to 'burn all the books' and became a monk as a way of disappearing from the world. Thereafter, Kim Si-seup gave up on the test to become a bureaucrat and lived in hiding while doing strange things while he falsely pretended to be "crazy." He never felt regret hearing others describe him as a strange person. He lived a life of not returning to the mundane world for a long time as he traveled through famous mountains and streams. Also, he pursued a life in 'the world outside the world' without any greed. Sometimes he expresses his own free spirit and madness through poetry with 'what he talks about' and 'wonderful words.' This life was far from a form of neutralization aesthetics achieved by pursuing a 'gentle and magnanimous' life as claimed by Confucian scholars. Kim Si-seup, sometimes referred to as 'a maniac with mental clarity,' directed his efforts at 'false maniacal behavior,' 'weird behavior,' 'life pursuing the world outside the world,' and 'life of breaking off one'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is maniac-like life of Kim Si-seup was not crazy but conveyed a deep desire to criticize the absurd reality of Joseon society at the time. Regarding Kim Si-seup, Li Hwang criticizes him for wishing 'to live in obscurity yet practice wonders.' Unlike Li Hwang, Yi Yi, who wrote The Records of Kim Si-seup when commissioned to do so by Sun Jo, positively evaluated Kim Si-seup as "a Confucian who followed Buddhism." Although the contents of these evaluations of Kim Si-seup were different, both agreed that Kim Si-seup was a maniacally-oriented individual. Kim Si-seup, who was mentally maniacal and morphological maniacal, represents a unique case in the study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wherein the 'the doctrines of Zhu Zi' exerted great influence.

이 논문은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의 광자 성향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 광기의 속성에 대해 구분할 때 크게 마음에 품고 있는 광기를 드러내는 경우인 심광(心狂)과 행동거지의 광방함으로 표현되는 광기 차원의 형광(形狂)이 있다. 본고는 조선조 역사에서 보기 드문 형광과 심광의 모습을 동시에 드러낸 김시습의 광기를 '장왕불반(長往不返)'과 '색은행괴(索隱行怪)'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김시습은 어렸을 때는 신동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촉망받는 인재였다. 하지만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책을 모두 불태우고' 그 길로 집을 떠나 승려가 되어 속세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과거는 더 이상 미련을 두지 않고, '미친 척[양광(佯狂)]'하고 숨어 살면서 괴팍하고 기이한 행적으로 괴상하다는 소리를 들어도 후회하지 않았다. 결연히 오랫동안 속세를 벗어나 돌아오지 않는 장왕불반의 삶을 지향하면서 유명한 산천을 두루 다니고, 아무런 욕심이 없이 '세상 밖[방외(方外)]'을 노닐었다. 때론 「대언(大言)」과 「방언(放言)」 같은 시를 통해 자신의 자유로운 영혼과 광기를 진솔하게 표출하였다. 이런 삶은 유가의 온유돈후(溫柔敦厚)함을 추구하는 중화미학에서 멀리 벗어나 있는 삶이다. 때론 '청광(淸狂)'이라고도 일컬어진 김시습은 '양광', 괴이한 행동, 방외적 삶, 속세와 관계를 끊어버리는 장왕불반의 삶 등을 통해 자신의 광기를 표출하였다. 김시습의 이 같은 광기어린 삶은 단순히 미친 것이 아니라 당시 조선조 사회의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고자 한 깊은 뜻이 있었는데, 이런 김시습에 대해 이황은 색은행괴한 인물이라고 비판한다. 이황과 달리 선조의 명으로 「김시습전」을 쓴 이이는 김시습을 '심유적불(心儒迹佛)'이라 보면서 제한적으로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그런데 이 두사람이 김시습을 평가하는 내용은 달랐지만 김시습이 광자 성향을 가진 인물로 본 것은 동일하다. 이처럼 심광이면서 형광의 삶을 살았던 김시습은 주자학이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한 조선조 유학사에서 볼 때 특이한 경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金時習, 「梅月堂集」, 韓國文集叢刊本(13),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2. 李德懋, 「靑莊館全書」, 韓國文集叢刊本(257),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3. 李珥, 「栗谷全書」, 韓國文集叢刊本(44),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4. 李瀷, 「星湖全集」, 韓國文集叢刊本(198),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5. 李滉, 「退溪文集」, 韓國文集叢刊本(30),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6. 許穆, 「記言」, 韓國文集叢刊本(98),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7. 黎靖德 編, 「朱子語類」, 北京: 中華書局, 1986.
  8. 김시습, 「매월당집」(5책), 권오돈 외 옮김,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9. 로라 커밍 지음, 김진실 옮김, 「자화상의 비밀」, 서울: 아트북스, 2018.
  10. 심경호, 「김시습평전」, 서울: 돌베개, 2004.
  11. 안동준, 「김시습 문학사상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논문, 1994.
  12. 양은용, 「청한자 김시습의 단학수련과 도교사상」 「도교와 한국문화」, 서울: 아세아문화사, 1988.
  13. 엄연석, 「김시습의 '성즉리'설에 내포된 수양론적 특징」, 「인문논총」 68, 2012. http://doi.org/10.17326/jhsnu..68.201212.343
  14. 유승국, 「매월당의 유학 및 도교사상」, 「대동문화연구」 13, 1979.
  15. 임채우, 「한국의 신선: 그 계보와 전기」, 서울: 소명출판사, 2018.
  16. 정도원, 「매월당 김시습 철학의 특징과 의의」, 「한국철학논집」 6, 1997.
  17. 정재서, 「한국도교의 기원과 역사」, 서울: 이화여대 출판부, 2006.
  18. 최일범, 「매월당 철학사상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0.
  19. 최일범, 「김시습의 이기설」, 「동양철학연구」 15, 1996.
  20. 한종만, 「조선조초기 김시습의 불교와 도교수용」, 「한국종교」 8, 1983.
  21. 허남진, 「매월당 김시습의 성리학」, 「철학논구」 15, 서울대학교 철학과,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