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study, we classified SNS into open and closed types, and empirically examined in which SNS activity the privacy paradox holds. The idea comes from the argument that privacy paradox may be observed differently in the open SNS, which is more vulnerable to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due to public profiles, and the closed SNS, which is relatively less vulnerable by limiting the range of acquaintanc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SNS usage, the privacy paradox holds in the overall SNS activities, but different conclusions are drawn according to open and closed SNS. In particular, it is found that as privacy concerns increase, individuals respond in a reasonable and desirable way to reduce SNS activity in the open SNS, which is more susceptible to infringement. Second, in the case of SNS activity intensity, (i) heavy users are more seriously aware of the probability of privacy infringement than light users, so there is a reasonable response to reducing the intensive margin with increasing privacy concerns, and (ii) this tendency is more clearly observed in open SNS, which is more vulnerable to privacy infringement. Accordingly, insisting that the privacy paradox is empirically established by observing only the overall SNS activities without distinguishing them into open and closed SNS may be interpreted as a "Fallacy of Composition."
공개된 프로필을 기반으로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개방형 SNS와 미리 소통할 지인의 범위를 제한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에 덜 취약한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 역설 현상이 다르게 관측될 수 있다는 개연성에 기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SNS를 개방형과 폐쇄형으로 구분하고, 어떠한 SNS 활동에서 프라이버시 역설이 성립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사용 여부의 경우, 전체적인 SNS 활동에서는 프라이버시 역설이 성립하지만, 개방형 및 폐쇄형 SNS에 따라 다른 결론이 도출되었다. 특히, 침해에 더 취약한 개방형 SNS에서는 프라이버시 염려가 증가함에 따라 개인들이 합리적이고 바람직하게 SNS 활동을 감소키는 식으로 대응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둘째, SNS 사용 강도의 경우, (i) 헤비 유저가 라이트 유저에 비해 프라이버시 침해의 개연성을 더 심각하게 인식하여 프라이버시 염려의 증가에 따라 사용 강도를 감소하는 식의 합리적인 반응을 하며, 또한 (ii) 이러한 경향이 개인정보 침해에 취약한 개방형 SNS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SNS 활동을 구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프라이버시 역설의 존재를 주장하는 것은 일종의 '구성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를 범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