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e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 김학재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임중철 (부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0.04.29
  • Accepted : 2020.05.18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Objectives: The study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aims to find theorical and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e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6th year data of the MA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self-esteem, social withdrawal, and school adjustment scale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sults: First,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ocial withdrawal. Third, the social withdrawal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Fourth, significant influence to have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s mediation to be social withdrawal of self-esteem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various aspects, such as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withdrawal.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선, 김성훈. (2018).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72, 1-23.
  2. 교육부. (2019).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세종: 교육부.
  3. 김광혁. (2009).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24(2), 27-45.
  4. 김선희, 김경연. (1998).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155-166.
  5. 김세원, 정익중. (2012). 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항목무응답과 단위무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23(3), 27-50.
  6. 김영순, 신효정. (2014).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사회성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연구, 20(3), 253-275.
  7. 김유나, 김영숙, 조한익. (2018). 중학교 3학년 때의 비행가해, 피해 및 사이버비행 가해경험과 고등학교 시기의 비행가해, 피해, 사이버비행 가해경험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변화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9(1), 29-57.
  8. 김재경, 이덕현. (2019). 청소년이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57(20), 1-30.
  9. 김종운, 박춘자. (2011).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북한, 페루, 중국, 파키스탄, 일본, 필리핀 다문화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1(27), 41-59. https://doi.org/10.17949/JNEAC.1.27.201106.003
  10. 김지경, 백혜정, 임희진, 이계오. (2010).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I.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1. 김현지. (2016). 청소년의 또래애착 및 사회적 위축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26.
  12.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3. 모상현. (2018).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교사 및 또래친구 요인의 조절효과. 청소년문화포럼, 54, 68-93.
  14. 민병수. (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15. 박난숙, 오경자. (1992). Methylphenidate 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의 인지행동 및 사회, 학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235-248.
  16. 박미화, 김미정. (2015). 또래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발달지원연구, 4(1), 1-19.
  17. 박병선, 배성우, 박경진, 서미경, 김혜지. (2017). 청소년의 또래애착, 사회적 위축, 우울,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보건사회연구, 37(2), 72-101. https://doi.org/10.15709/HSWR.2017.37.2.72
  18. 박은정, 이유리, 이성훈. (2018).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또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학교급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31-55.
  19. 신미, 전성희, 유미숙. (2012).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삶의 만족,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분석. 아동학회지, 33(1), 81-92. https://doi.org/10.5723/KJCS.2012.33.1.81
  20. 신지현, 강현아. (2018).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44, 1-22.
  21. 신현숙, 이은정, 유리향, 배민영. (2010). 초등학생의 유능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7(4), 103-125.
  22. 여성가족부. (2018).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23. 오동균. (2019).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방임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67(3), 439-459.
  24. 유봉애, 옥경희. (2016). 다문화가족 아동의 정서조절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성별에 따른 차이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1), 71-91.
  25. 윤은영. (2019).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연구. 다문화와평화, 13(2), 1-22.
  26. 이경상, 백혜정, 이종원, 김지영 (2011).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II.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이래혁, 채황석, 오채민. (2020).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성취동기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 위축의 이중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49, 1-24.
  28. 장혜진, 윤혜미. (2010). 농촌아동의 가정환경자극과 학교적응관계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33, 7-36.
  29. 전경숙. (2008).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 조사: 학교생활과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6(1), 167-185. https://doi.org/10.35151/KYCI.2008.16.1.011
  30. 전수정, 윤혜미. (2013).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방임,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4, 153-179.
  31. 전재천. (2000).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과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적응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32. 정일영. (2016).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학교 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42, 88-118.
  33. 정화실. (2009).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 적응이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경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3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MAP데이터유저가이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5. 홍나미, 박현정. (2017). 부모방임이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 우울의 매개효과. 미래사회복지연구, 8(2), 125-151. https://doi.org/10.22836/KASWPR.2017.8.2.125
  36. Chin JM, Yu S. (2008).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of immigrant mothers in Taiwa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6(8), 1141-1150. https://doi.org/10.2224/sbp.2008.36.8.1141
  37. Cicchetti D, Toth SK. (2005). Child maltreatment.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1, 409-438. https://doi.org/10.1146/annurev.clinpsy.1.102803.144029
  38.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39. Kline R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Y: The Guilford Press.
  40. Nelson NJ, Rubin KH, Fox NA. (2005). Social withdrawal, observed peer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s in children ages 4 to 7 yea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2), 185-200. https://doi.org/10.1016/j.ecresq.2005.04.007
  41. Rosenberg ER, Rosenberg, M. (1979). Self-esteem and delinquenc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7(3), 279-294. https://doi.org/10.1007/BF01537978
  42. Rubin KH, Burgess, K. (2001). Social withdrawal and anxiet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