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Treatment of a Modern-period Folding Screen with Embroidered Character Design

근대 자수백수백복자도 병풍(百壽百福 字圖屛風)의 보존 - 미국 포틀랜드박물관 소장 《자수백수백복자》10폭 병풍을 중심으로 -

  • Park, Miseon (Jeonju National Museum) ;
  • Cheon, Juhyum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Museum of Korea) ;
  • Chang, Yeonhee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Jiwon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Museum of Korea)
  • Received : 2020.04.10
  • Accepted : 2020.05.10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earch on a folding screen with embroidered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壽" (su) for longevity and "福" (bok) for good fortune in various scripts. The project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program for supporting overseas Korean galleries in 2016. The present mounting of this ten-panel folding screen was difficult to identify as it had previously been remounted in a modern style. However, clues to the original mounting were discovered during the conservation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the folding screen was decorated with colors frequently used in Joseon-period, such as teal silk at the top and bottom of each panel and a violet frame. These features provided clues to the original mounting of the folding screen, of which only a few elements have survived. Since this study analyzes only case of one folding screen,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reveal the method of mounting folding screens applied during this same period.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실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미국 포틀랜드박물관 소장 자수백수백복자도병풍의 보존과 조사 결과이다. 자수백수백복자도병풍은 10폭으로 이전에 표구되어 원래의 장황은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보존처리 과정에서 이전 병풍 장황에 대해 추정할 수 있는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면 상·하단에 청색으로 상·하 회장을 두르고 각 폭에 사용한 보라색 띠를 사용하는 등 조선시대 병풍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배색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원형의 장황이 많이 남지 않은 백수백복자도병풍의 장황에 대해 접근할 수 있었다. 다만 본 연구는 한 병풍에 관한 연구이므로 유사한 시기에 제작된 병풍의 장황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146, (2020).
  2. 황정연, 19-20세기 초 조선 궁녀의 침선 활동과 궁중 자수서화병풍의 제작,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6, p8, (2013).
  3. 국립문화재연구소, 미국 포틀랜드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p67, (2015).
  4. 김수진, 19세기 궁중 병풍의 제작과 진상, 장서각 40, p292-302, (2018).
  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http://yoksa.aks.ac.kr/jsp/aa/ImageView.jsp?aa10up=kh2_je_a_vsu_81707_000&aa10no=kh2_je_a_vsu_81707_001, (2020).
  6.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p171-176, (2017).
  7. 황정연, 19-20세기 초 조선 궁녀의 침선 활동과 궁중 자수서화병풍의 제작,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6, p27, (2013).
  8.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p21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