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Community Space for the Elderly in Local Community - Mainly on the Elderly Complex Space in Japan

지역 공동체에서의 고령자 커뮤니티 공간 계획과 운영에 관한 연구 - 일본 고령자 복합공간을 중심으로

  • 박혜선 (건축과, 인하공업전문대학) ;
  • 은난순 (소비자.주거학과, 가톨릭대학교)
  • Received : 2020.04.21
  • Accepted : 2020.05.18
  • Published : 2020.06.15

Abstract

Purpose: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analysis of elderly community space in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policies and points to consider in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community space that can encourage the elderly to actively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Methods: The study explores five different Japanese community spaces that have been utilized as platforms for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literature review, field work and interview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nning of the community space for the elderly must be combined with the space that the locals often use. Community space should not be seen as a place for a specific generation, but for everyon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t any time; hence it must be fostered to be accessible for anyone regardless of age. Second, community space for the elderly requires to be planned as an accessible place for everyone such as cafes and restaurants. The adjacent areas require social infrastructure like libraries and public baths which are frequently used by people from various age groups. Third, in order to spark off the intergenerational community space as the stronghold of local communities, it needs to be a place where the elderly is given sufficient role and meaning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To achieve this, it is essential to support the locals to take active measures in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nd to develop voluntary self-sufficiency and volunteering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선, 2017, 에이징 인 플레이스 개념을 고려한 공공임대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의 노인공간 계획,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8(4), pp.55-63. https://doi.org/10.6107/JKHA.2017.28.4.055
  2.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6, 지역 어르신과 함께하는 마을 재생.
  3. 권순정 외, 2019, 지역사회 통합돌봄센터 모델개발연구, 보건복지부.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서울.
  4. 김미희, 2018, 연속보호체계형 은퇴주거단지 내 지역사회 연계형 공용 공간의 계획과 디자인,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9(6), pp.47-57. https://doi.org/10.6107/JKHA.2018.29.6.047
  5. 김현주, 2019, 빈집을 활용한 지역활성화 프로그램 및 운영방식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보건복지부, 2019,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7. 보건복지부, 2019, 2019년 노인돌봄서비스 사업 안내.
  8. 시니어타임즈, 커뮤니티케어 기본법 제정, 본격 추진한다, 2019.9.25.
  9. 심애리, 2017, 커뮤니티 센터 중심 'Aging in Place' 구현 방향-군산시 노인 1인가구를 대상으로-,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양소영, 문정민, 2017, 장소적 측면의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빈집 활용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8(5), pp.101-108. https://doi.org/10.6107/JKHA.2017.28.5.101
  11. 은난순, 박혜선, 2019, 공동주택 경로당의 건축적 특성과 커뮤니티 거점 공간으로서의 활용방안 연구, 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25(2), pp.37-50.
  12. 이윤정, 변경화, 유창균, 2015, 집합주택단지의 옥외공간에 있어서 고령자 이바쇼(居場所)의 특징 고찰 -일본 치바현(千葉縣)의 카시와시(柏市) 토요시키다이(豊四季台) 단지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6(6), pp.83-92. https://doi.org/10.6107/JKHA.2015.26.6.083
  13. 이하연, 문정민, 2016,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오픈스페이스 영역성 사례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7(6), pp.1-8. https://doi.org/10.6107/JKHA.2016.27.6.001
  14. 최병숙, 박정아, 2017, 도시지역 자연발생 노인커뮤니티 가능지역의 주거환경 특성,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8(6), pp.33-40. https://doi.org/10.6107/JKHA.2017.28.6.033
  15. 최상희, 2013, 소규모 계획공동체 특성을 고려한 주거단지 계획 방향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16. 파스 빅토리아, 이연숙, 전은정, 2017, 쉐어가나자와와 공동체 주거단지내 고령자를 위한 사회통합적 계획 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1), pp.306-310.
  17.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 2019년 기준 주민등록 평균연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