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UIC Cooperation Programs on Youth Employment

정부 산학연협력 지원의 고용효과 분석

  • Received : 2020.02.14
  • Accepted : 2020.05.04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In the rapid trend of social change,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alignment of job structures,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UIC) is emphasized as a key factor in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level of UIC in Korea is insufficient compared to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espite the world-class R&D investment, there is a lack of linkage between the result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industrial field, and the knowledge-transfer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is also insufficient. This paper analyzed the employment effects of UIC program supported by government, especially youth employment effects. The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UIC program showed higher employment effect than the non-participating companies. In additio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employment growth rate of participating companies only for projects aimed at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ow that employment growth rate after one year (total, youth employ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participating companies, while employment growth after two years was not significant. UIC program need to have sustainability and systemicity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linked to the employment effects.

4차 산업혁명의 본격화, 일자리 구조 재편 등 급격한 사회변화 추세에서 산학연 간 협력은 국가경쟁력 제고의 핵심 요인으로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학연협력 수준은 국가경쟁력 대비 미흡한 수준으로, 세계적 수준의 R&D 투자에도 불구하고 기술개발 결과와 산업현장 간 연계가 부족하고 산학연 간 지식전달 역시 미흡하다. 이 연구는 정부 산학연협력 지원사업의 고용효과 특히, 청년 고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즉, 산학연협력을 통해 대학은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를 육성하고, 기업은 맞춤형 인재를 공급받아 고용하는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산학연협력 지원사업에 참여한 기업은 유사한 성향의 미참여 기업에 비하여 1년 후 고용효과가 높으며 특히, 청년층의 고용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 연령대별로는 25~29세가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 또한, 산학연협력 지원사업을 유형화하여 '연구개발 및 사업화', '교육 및 인재양성'의 1년 고용증가율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청년고용 비중은 유형과 관계없이 유의하며, 교육 및 인재양성에서 더 높았다. 향후 정부 산학연협력 지원사업은 참여기업의 고용효과와 직접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속성과 체계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 합동(2018),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5개년 기본계획 (2019~2023)".
  2. 김선우.남궁문.고혁진.류영수.정유한.홍운선.오승환.정효정(2019), 「2019년 재정사업 심층평가 : 산학연협력 지원사업군 효율화 방안」, 기획재정부.
  3. 김은영(2011), "한국 제조업의 기술혁신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체제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4권 제3호.
  4. 신열.오철호(2016), "중소기업 지원정책 성과 분석: 산학연협력기술개발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6권 제1호, pp.1-26. https://doi.org/10.23036/KAPAE.2016.26.1.001
  5. 엄부영(2009), 「The Determinants of Industry-university-GRI Linkages and their Impacts on Firm Performance : The Case of Korea」,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최석준.서영웅(2011), "산학연협력이 서비스 기업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학회지」, 제14권 제3호, pp.689-710.
  7. 홍은영.최종인(2018), "효과적 산학협력 성과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학행정노력 및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18.5), 한국기술혁신학회.
  8. Carayannis, E. G. and D. F. J. Campbell (2012). Mode 3 Knowledge Production in Quadruple Helix Innovation Systems. Springer-Verlag New York.
  9. Carayannis, E. G., T. D. Barth and D. F. J. Campbell(2012), "The Quintuple Helix innovation model: global warming as a challenge and driver for innovation," Journal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Vol.1, No.2, pp. 1-12. https://doi.org/10.1186/2192-5372-1-1
  10. Etzkowitz, H. and L. Leydesdorff(1995), "The Triple Helix -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A Laboratory for Knowledge Based Economic Development," EASST Review, Vol.14, No.1, pp.14-19.
  11. IMD(2019),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19.
  12. OECD(2019), University Industry Collaboration New Evidence and Policy Options.
  13. WEF(2019),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