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Software Supporting the Creation of VR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초등 과학 수업에 VR 구현 프로그램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Received : 2020.04.24
  • Accepted : 2020.05.25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s of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software supporting the creation of VR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Two classes of 5th grade were selected, and were engaged in diffe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uring 12 class hour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is consisted of 2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software supporting the creation of VR, the comparative group which comprised 19 students was thaught by using a traditional instruction. Teaching unit was 'the solar system and stars' in 5th grade science text 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software the creation of VR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cientific interest, science achievement. Therefore,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software supporting the creation of VR could be meaningful works to encourag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cientific interest, science achievement, and this study will help elementary teachers teach 'the solar system and stars' in 5th grade science text book more interesting.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교육과정 정책과.
  2. 김서경(2019). 로봇체험활동이 초기 청소년의 창의적문 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은지(2008). 4학년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별자리를 식별하는 수준 간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혜란, 최선영(2019a). 초등과학수업에서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생물교육학회지, 47(2), 213-222.
  5. 김혜란, 최선영(2019b). 초등과학수업에서 오조봇 코딩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학회지, 38(2), 234-243.
  6. 김희수(2002). 웹기반 지구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3(7), 531-542.
  7. 나원영(2016).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활용한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노경희, 지형근, 임석현(2010).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2), 1-13. https://doi.org/10.5392/JKCA.2010.10.2.001
  9. 노현호(2018). VR 콘텐츠를 활용한 초등 과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노현호, 노석구(2017). VR 컨텐츠를 활용한 초등 과학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4학년 '지구와 달' 단원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72, 31.
  11. 민경애(2018). 가상현실기술을 적용한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 흥미도 변화.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애랑(2010). 과학일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정호, 한병래, 문찬규(2018). 초등소프트웨어교육의 이해와 실제. 휴먼싸이언스.
  14. 박태정, 계보경, 차현진(2017). 새로운 IT 융합 기술 및 트렌드의 국내 교육현장 도입 시기 및 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 2017(1), 31.
  15. 서창현(2002).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 검사지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석지영(2005). 가상현실기술을 이용한 과학교육 코스웨어 개발: 중학교 과학 '지구와 별' 단원 중 '태양과 행성의 특징'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성유정(2013). 증강현실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개념이해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소영무(2004). 가상실험과 실제실험간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및 탐구수행능력 변화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청환, 정진우(1993). 초등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 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20. 정연화, 이정민(2015). 증강현실 활용 탐구학습의 효과성 분석: 중등과학수업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4), 521-542.
  21. 정은영(2008). Squeak Etoys 기반 정보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조보람, 이정민(2014). 융합인재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87-105.
  23. 최영재(2013). 실과 정보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최재혁, 최호명, 박종석(2018). 레고마인드스톰 로봇을 활용한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42(1), 1-11. https://doi.org/10.21796/jse.2018.42.1.1
  25. 최형신, 유미리(2015). 3D 프린팅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창의적 디자인 모델 기반 수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2), 167-174.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167
  26. 한국교육개발원(2001). 간편 창의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연구( I ).
  27. 한정혜, 박주현, 조미현, 박일우, 김진모(2011). 초등정규 교육과정에서 STEAM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3), 483-491.
  28. 한지상, 홍승호(2019). 3D 프린터를 활용한 나무 모형 프랙탈 구조 제작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초등교육, 30(1), 235-247. https://doi.org/10.20972/KJEE.30.1.201903.235
  29. 홍춘표, 김용연(2010). 가상현실 실험이 학업성취도와 과학 관련 태도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10학년 과학교과-물질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지, 4(2), 80-90.
  30. Barab, S. A., Hay, K. E., Barnett, M. G. & Keating, T. (2000). Virtual solar system project: Building understanding through model building. Journal of Reasearch in Science Teaching, 37(7), 719-756.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9)37:7<719::AID-TEA6>3.0.CO;2-V
  31. Slazman, M. C., Dede, C., Loftin, R. B. & Chen, J. (1999). A model for understanding how virtual reality aids complex conceptual learning.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8(3), 293-316. https://doi.org/10.1162/105474699566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