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상중(2004), 「내셔널리즘」, ナショナリズム(임성모 역), 서울: 이산.
- 강정인(2017), 박정희 시대의 국가주의: 국가주의의 세 차원, 「개념과 소통」, 20: 119-155.
- 고원석(2005), 국립문화기관의 성공적인 책임운영기관제도 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8: 27-42.
-
국가법령정보센터(2017.7.26), 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따른 법률, 제14839호, 제1장 제2조 정의, (2019년 9월 1일 접속),
- 권혁창.여유진(1999), IMF가 강제하는 신자유주의 이념, 「비판사회정책」, 5: 13-45.
- 김규원.지금종.염신규.양혜원(2018), 담론 논쟁의 동학(dynamics)으로 바라본 문화정책 73년, 「문화정책논총」, 32(2): 5-32.
- 김근세(2010), 한국 책임운영기관의 성격과 범위: 변화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7(1): 1-37.
- 김병섭.정진우.임보영(2001), 책임운영기관 제도운영의 평가, 「행정논총」, 39(1): 65-82.
- 김수정(2019), 1960-1970년대 한국문화정책에 대한 재고찰: 초국적 맥락에서 전개된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다, 「문화와 사회」, 27(1): 295-335.
- 김세훈.정기은(2017), 예술정책에서 공공성의 함의에 대한 연구, 「공공사회연구」, 7(1): 284-285.
- 김연재(2019), 미술정책과 딜레마- 공공성 개념의 재구성 논의: 국립현대미술관 특수법인화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27: 73-97.
- 김응천.김재범(2014), 예술 공론장 개념을 통한 예술의 공공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29(1): 5-28.
- 김태준(2015), 공공미술의 공공성에 대한 의미지평 재구성: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5(3): 5-28.
- 김휘정(2016), 국립현대미술관 독립법인화의 쟁점과 향후과제, 「이슈와 논점」, 1162: 1-4.
- 문명재.이명진(2010), 책임운영기관의 조직.인사 자율성과 제도적 개선 방향, 「한국조직학회보」, 7(1): 39-63.
- 박소현(2015), '작은 정부'의 행정개혁과 미술관의 공공성: 21세기 일본 미술관정책의 재검토, 「예술경영연구」, 34(2): 115-139.
- 박천오.김근세.박희봉.안형기(2003), 한국 책임운영기관 제도의 운영 평가: 조직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2(3): 3-31.
- 박현주(2018.6.26), 국립현대미술관 법인화 철회: 마리 관장과 혁신안, 「뉴시스 인터넷판」, (2019년 9월 7일 접속),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626_0000346656&cID=10701&pID=10700
- 백완기(2007), 한국행정과 공공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8(2): 1-22.
- 사이토 준이치(2009), 민주적 공공성: 하버마스와 아렌트를 넘어서, Publicness(윤대석.류수연.윤미란 역), 서울: 이음.
- 서민수(2011), 문화예술 조직 비교 연구: 음성서부터 특수법인, 사회적 기업까지, 「문화정책논총」, 25(1): 121-147.
- 신효원(2018), 공공성 개념의 재정립과 복합적 의미,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2018(1): 1-17.
- 심광현(1993), 문민정부의 개혁과 90년대 문화정책의 기본과제, 「문화정책논총」, 5: 18-30.
- 심상용(2012), 국립현대미술관 특수법인화를 정당화하는 담론들 다시 읽기: 세계적 미술관, 막대한 예산조달, 정보기능 축소, 민영화 예찬, 「현대미술학 논문집」, 16(1): 121-169.
- 이병량(2011), 문화정책과 공공성,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8(3): 119-146.
- 이준(2004), 전시기획에서의 공공성과 전문성의 실현과 과제, 「현대미술관연구」, 15: 21-29.
- 임현진(2002), 전지구화, 구조조정 및 민주주의: 한국의 비교경험, 「한국사회과학」, 24(1): 51-78.
- 조선령(2010), 공공미술관 법인화를 둘러싼 정치학, 「문화비평」, 61: 237-246.
- 조한상(2009),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서울: 책세상.
- 총무처 직무분석기획단(1997), 「신정부혁신론: OECD국가를 중심으로」, 파주: 동명사.
- 최태연(2008), 서양철학에서 본 공공성, 「기독교철학연구」, 9: 25-43.
- 하계훈(2004), 바람직한 책임운영기관 운영방안: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책임운영기관: 공공성의 후퇴인가, 국립현대미술관 책임운영기관 전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편), 47-66.
- 하태수(2019), 책임운영기관 제도 도입과 토착화,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9(4): 31-54.
- 한승준(2011), 예술공공기관 법인화의 성과에 관한 시론적 연구: 세종문화회관 법인화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9(4): 305-330.
- 홍성태(2012), 공론장, 의사소통, 토의정치- 공공성의 사회적 구성과 정치과정의 동학, 「한국사회」, 13(1): 159-195. https://doi.org/10.22862/KJSR.2012.13.1.005
- Agencies and Public Bodies Team(2006), Executive Agencies: A Guide for Departments, London: Cabinet Office.
- Efficiency Unit(1988), Improving Management in Government: The Next Steps, London: The Stationery Office.
- Ewan, F.(1996), The New Public Management in A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Giddens, A.(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 Gruening, G.(2001), Origin and theoretical basis of new public management, International Public Management Journal, 4: 1-25. https://doi.org/10.1016/S1096-7494(01)00041-1
- Habermas, J.(1996),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Cambridge: Polity Press,
- Harvey, D.(2005),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HM Government (2019), Departments, Agencies, and Public Bodies, (2019년 12월 26일 접속), https://www.gov.uk/government/organisations
- Hood, C.(1991), A public management for all seasons? Public Administration, 69(1): 3-19. https://doi.org/10.1111/j.1467-9299.1991.tb00779.x
- Hood, C. & Scott, C.(1996), Bureaucratic regulation and new public management in the United Kingdom: mirror-image developments? Journal of Law and Society, 23(3): 321-345. https://doi.org/10.2307/1410715
- Ingraham, P.(1997), Play it again, Sam: it is still not right: searching for the right notes in administrative reform,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7(4): 325-331. https://doi.org/10.2307/977315
- Jung, C. S.(2014), Agencification and Quangocratisation of Cultural Organisations in the U.K. and South Korea: Theory and Policy,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Exeter.
- Lim, H. C. & Han, J.(2003), The social and political impact of economic crisis in South Korea: a comparative note, Asi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1(2): 198-220. https://doi.org/10.1163/156853103322318207
- Oliver, J.(2001), Evaluating executive agencies in UK government,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16(3): 24-52. https://doi.org/10.1177/095207670101600303
- Peters, G. & Pierre, J.(1998),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Rethinking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8(2): 223-243.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jpart.a024379
- Talbot, C.(2004), Executive agencies: have they improved management in government? Public Money & Management, 24(2): 104-112. https://doi.org/10.1111/j.1467-9302.2004.00402.x
- Tomlinson, J.(1999), Globalization and Cultur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