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raming the National Art Museum: the Trajectory and Controversy towards the Operational Autonomy: the Case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국립미술관의 재구성: 운영의 자율성을 향한 궤적 그리고 논란 - 국립현대미술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 김연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이론과)
  • Received : 2019.12.29
  • Accepted : 2020.02.20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hereafter MMCA) that has faced the issue of securing autonomy as an art institution in association with the neoliberal logic of economy as part of globalization. The MMCA was opened with limited operational autonomy due to the government's development-driven national system and bureaucratic perspective. Since being selected as an institution subject to a range of restructuring consequent to the IMF crisis in 1997, the MMCA is being assessed for its operational autonomy since then. This paper examines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type of 'Executive Agency' and 'Non-Departmental Public Body'. Furthermore, regardless of the result of either implementation or withdrawal after the projects, this paper explains how these administrative reforms lead the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which would promote the MMCA's autonomy. As a result, the institutional restructuring process based on the neoliberal perspective might result in the operational dilemma that must simultaneously fulfil the publicness in a different context. Moreover, unlike the original intent to establish a performance-based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while minimizing government intervention, this study illuminates that the influence of the nation(or government) as the actual agent of the projects may become permanent. It implies that since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project of MMCA has initialized the concept of statism based on legal authority, the operational autonomy of the MMCA which is premised on the reinforcement of expertise and publicness cannot be prioritized over the direction and control of the government.

본 연구는 전지구화의 일면인 신자유주의적 경제논리와 맞물리며 예술기관의 자율성 확보라는 과제에 대응해왔던 국립현대미술관(이하 국현)의 사례를 다룬다. 국현은 개관 이후 정부의 개발주도형 국가체제와 관료주의적 논리로 인해 그 운영 자율성이 제한된 상태로 운영되어왔다. 1997년의 IMF 금융위기 이후, 국현은 신자유주의적 패러다임의 세계적 확산과 동시에 정부 부문의 구조조정 차원에서 시도된 책임운영기관화와 특수법인화의 대상기관으로 지정되면서 그 운영적 자생력을 평가받게 된다. 논문에서는 두 정책 사업이 어떠한 문화사회적 배경 하에 추진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이 사업의 시행 또는 철회 여부와는 별개로 국립예술기관의 운영 자율성을 보장한다는 취지에서 시행하고자 했던 책임운영기관화와 특수법인화가 국현의 이해주체들 간의 어떠한 충돌을 야기했는지 논의해본다. 연구 결과, 신자유주의 담론에 입각한 조직개편은 국현으로 하여금 차별적 맥락의 '공공성'을 동시적으로 충족시켜야 하는 운영적 딜레마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경쟁 원리에 따른 성과중심 체제를 정착시킨다는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위제도들의 실질적 운영 주체가 여전히 국가(정부)이며 그 영향력이 영속적인 형태로 유지될 수 있음을 조명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중(2004), 「내셔널리즘」, ナショナリズム(임성모 역), 서울: 이산.
  2. 강정인(2017), 박정희 시대의 국가주의: 국가주의의 세 차원, 「개념과 소통」, 20: 119-155.
  3. 고원석(2005), 국립문화기관의 성공적인 책임운영기관제도 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8: 27-42.
  4. 국가법령정보센터(2017.7.26), 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따른 법률, 제14839호, 제1장 제2조 정의, (2019년 9월 1일 접속),
  5. 권혁창.여유진(1999), IMF가 강제하는 신자유주의 이념, 「비판사회정책」, 5: 13-45.
  6. 김규원.지금종.염신규.양혜원(2018), 담론 논쟁의 동학(dynamics)으로 바라본 문화정책 73년, 「문화정책논총」, 32(2): 5-32.
  7. 김근세(2010), 한국 책임운영기관의 성격과 범위: 변화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7(1): 1-37.
  8. 김병섭.정진우.임보영(2001), 책임운영기관 제도운영의 평가, 「행정논총」, 39(1): 65-82.
  9. 김수정(2019), 1960-1970년대 한국문화정책에 대한 재고찰: 초국적 맥락에서 전개된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다, 「문화와 사회」, 27(1): 295-335.
  10. 김세훈.정기은(2017), 예술정책에서 공공성의 함의에 대한 연구, 「공공사회연구」, 7(1): 284-285.
  11. 김연재(2019), 미술정책과 딜레마- 공공성 개념의 재구성 논의: 국립현대미술관 특수법인화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27: 73-97.
  12. 김응천.김재범(2014), 예술 공론장 개념을 통한 예술의 공공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29(1): 5-28.
  13. 김태준(2015), 공공미술의 공공성에 대한 의미지평 재구성: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5(3): 5-28.
  14. 김휘정(2016), 국립현대미술관 독립법인화의 쟁점과 향후과제, 「이슈와 논점」, 1162: 1-4.
  15. 문명재.이명진(2010), 책임운영기관의 조직.인사 자율성과 제도적 개선 방향, 「한국조직학회보」, 7(1): 39-63.
  16. 박소현(2015), '작은 정부'의 행정개혁과 미술관의 공공성: 21세기 일본 미술관정책의 재검토, 「예술경영연구」, 34(2): 115-139.
  17. 박천오.김근세.박희봉.안형기(2003), 한국 책임운영기관 제도의 운영 평가: 조직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2(3): 3-31.
  18. 박현주(2018.6.26), 국립현대미술관 법인화 철회: 마리 관장과 혁신안, 「뉴시스 인터넷판」, (2019년 9월 7일 접속),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626_0000346656&cID=10701&pID=10700
  19. 백완기(2007), 한국행정과 공공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8(2): 1-22.
  20. 사이토 준이치(2009), 민주적 공공성: 하버마스와 아렌트를 넘어서, Publicness(윤대석.류수연.윤미란 역), 서울: 이음.
  21. 서민수(2011), 문화예술 조직 비교 연구: 음성서부터 특수법인, 사회적 기업까지, 「문화정책논총」, 25(1): 121-147.
  22. 신효원(2018), 공공성 개념의 재정립과 복합적 의미,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2018(1): 1-17.
  23. 심광현(1993), 문민정부의 개혁과 90년대 문화정책의 기본과제, 「문화정책논총」, 5: 18-30.
  24. 심상용(2012), 국립현대미술관 특수법인화를 정당화하는 담론들 다시 읽기: 세계적 미술관, 막대한 예산조달, 정보기능 축소, 민영화 예찬, 「현대미술학 논문집」, 16(1): 121-169.
  25. 이병량(2011), 문화정책과 공공성,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8(3): 119-146.
  26. 이준(2004), 전시기획에서의 공공성과 전문성의 실현과 과제, 「현대미술관연구」, 15: 21-29.
  27. 임현진(2002), 전지구화, 구조조정 및 민주주의: 한국의 비교경험, 「한국사회과학」, 24(1): 51-78.
  28. 조선령(2010), 공공미술관 법인화를 둘러싼 정치학, 「문화비평」, 61: 237-246.
  29. 조한상(2009),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서울: 책세상.
  30. 총무처 직무분석기획단(1997), 「신정부혁신론: OECD국가를 중심으로」, 파주: 동명사.
  31. 최태연(2008), 서양철학에서 본 공공성, 「기독교철학연구」, 9: 25-43.
  32. 하계훈(2004), 바람직한 책임운영기관 운영방안: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책임운영기관: 공공성의 후퇴인가, 국립현대미술관 책임운영기관 전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편), 47-66.
  33. 하태수(2019), 책임운영기관 제도 도입과 토착화,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9(4): 31-54.
  34. 한승준(2011), 예술공공기관 법인화의 성과에 관한 시론적 연구: 세종문화회관 법인화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9(4): 305-330.
  35. 홍성태(2012), 공론장, 의사소통, 토의정치- 공공성의 사회적 구성과 정치과정의 동학, 「한국사회」, 13(1): 159-195. https://doi.org/10.22862/KJSR.2012.13.1.005
  36. Agencies and Public Bodies Team(2006), Executive Agencies: A Guide for Departments, London: Cabinet Office.
  37. Efficiency Unit(1988), Improving Management in Government: The Next Steps, London: The Stationery Office.
  38. Ewan, F.(1996), The New Public Management in A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9. Giddens, A.(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40. Gruening, G.(2001), Origin and theoretical basis of new public management, International Public Management Journal, 4: 1-25. https://doi.org/10.1016/S1096-7494(01)00041-1
  41. Habermas, J.(1996),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Cambridge: Polity Press,
  42. Harvey, D.(2005),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3. HM Government (2019), Departments, Agencies, and Public Bodies, (2019년 12월 26일 접속), https://www.gov.uk/government/organisations
  44. Hood, C.(1991), A public management for all seasons? Public Administration, 69(1): 3-19. https://doi.org/10.1111/j.1467-9299.1991.tb00779.x
  45. Hood, C. & Scott, C.(1996), Bureaucratic regulation and new public management in the United Kingdom: mirror-image developments? Journal of Law and Society, 23(3): 321-345. https://doi.org/10.2307/1410715
  46. Ingraham, P.(1997), Play it again, Sam: it is still not right: searching for the right notes in administrative reform,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7(4): 325-331. https://doi.org/10.2307/977315
  47. Jung, C. S.(2014), Agencification and Quangocratisation of Cultural Organisations in the U.K. and South Korea: Theory and Policy,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Exeter.
  48. Lim, H. C. & Han, J.(2003), The social and political impact of economic crisis in South Korea: a comparative note, Asi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1(2): 198-220. https://doi.org/10.1163/156853103322318207
  49. Oliver, J.(2001), Evaluating executive agencies in UK government,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16(3): 24-52. https://doi.org/10.1177/095207670101600303
  50. Peters, G. & Pierre, J.(1998),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Rethinking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8(2): 223-243.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jpart.a024379
  51. Talbot, C.(2004), Executive agencies: have they improved management in government? Public Money & Management, 24(2): 104-112. https://doi.org/10.1111/j.1467-9302.2004.00402.x
  52. Tomlinson, J.(1999), Globalization and Cultur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