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blicity of the Museum under the Untact Situation

비대면 상황에서 미술관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

  • Received : 2020.10.14
  • Accepted : 2020.11.12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Under quarantine policies related to the Coronavirus, museums have closed or started limited operations. Currently, museums are trying to adapt to the untact situation, while maintaining the museum's original function and communicating with visitors through online platforms.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operation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museums under untact situation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online platforms. In order to reconsider the publicity of the museum, the definition of the museum by ICOM and Hannah Arendt's concept of publicity should be examined.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 of public art museums in forming democratic discourse and awakening community could be developed. To this end, first, public forum to discuss the quarantine policy of museums should be developed. Second,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should support museums financially. Finally, the online platforms of the museum should be more activated. Despite the untact situation of the museum, the publicity of art museums must be addressed in order to discuss the community's difficulties democratically.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된 방역 정책에 따라 국내 미술관들은 운영을 전면 중단하거나 제한적인 운영에 시행중이다. 미술관들은 새로운 비대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 뮤지엄의 기능을 유지하고 관람객들과 소통하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비대면 상황 아래 있는 국내외 미술관들의 현황과 쟁점을 살펴보아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팬데믹에 대응하는 국내외 미술관 현황 자료들과 통계들을 기반으로 하여 미술관 운영 현황과 온라인 플랫폼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미술관의 공공성을 재고하기 위하여, 뮤지엄의 정의와 한나 아렌트의 공공성 개념을 분석했다. 이를 통하여 민주적 담론을 형성하고 공동체성을 일깨우는데 공공 미술관의 기능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비대면 상황 아래 박물관 미술관의 공공성을 위한 세 가지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박물관 미술관의 방역 정책에 대하여 논의할 수 있는 공론장과 재정 지원이 필요함을 논하고, 온라인 플랫폼의 적극적 활용 및 목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비대면 상황으로 인하여 미술관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들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훈(2020), 코로나19대처 호평 국립현대미술관, '온라인미술관' 개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0422063800005?input=1195m
  2. 김신우(2020), 신속하고 단순하게, 해외 팬데믹 문화예술대응, 「웹진 예술경영」vol.457, https://www.gokams.or.kr:442/webzine/wNew/column/column_view.asp?idx=2322&page=3&c_idx=85&searchString=&c_idx_2=
  3. 김연재(2020), 코로나 시대를 마주하는 뮤지엄 운영 환경의 현실과 대응 방안, 「한국예술연구」, 29: 5-27. https://doi.org/10.20976/KJAS.2020..29.001
  4. 나카마사 마사키(2014),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을 읽는 시간」, 김경원 역, 파주: 아르테.
  5. 박신의(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 예술의 가치와 회복력에 대하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3회 코로나 19 예술포럼, 2020. 8. 19 개최
  6. 변지혜(2020), ICOM의 박물관 정의 개정 논의 연구,「예술경영연구」, 54: 142.
  7. 양지연(2016), 박물관 미술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방향에 대한 재성찰, 「예술경영연구」, 40: 235.
  8. 양혜원(2020), 코로나19가 문화예술 분야에 미친 영향과 향후 과제, 「인사이트」, 146: 1
  9. 이동연(2020), "극장,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을 열어라",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6300300005&code=990304
  10. 이언주(2017), 미술관 온라인 플랫폼의 비전, 미션, 사용자 소통과 교류행위에 관한 연구- 테이트 갤러리를 통한 시사점, 「예술경영연구」 44: 139-168.
  11. 이임수(2019), 공유경제 시대 미술관의 문화 논리, 「한국예술연구」 25: 103-104.
  12. 이진경(2018), 공유재와 미술관, 「미래미술관: 공공에서 공유로」, 8: 66-67.
  13. 정세진(2020), "코로나 시대 '우리 어디로 피해 다녔나'...빅데이터는 알고 있다." 「오피니언 뉴스」, 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597
  14. 주명진, 박일호(2012), 한나 아렌트의 공공성 개념과 미술관 공공성 문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기초조형학연구, 13(6): 425.
  15. 한나 아렌트(1996), 「인간의 조건」, 이진우 역, 파주: 한길사.
  16. Nicholas Serota(2014), '새로운 연방의 구축: 21세기 미술관에서의 경험과 참여', 삼성미술관 리움- 광주비엔날레 포럼 기조 강연, http://leeum.samsungfoundation.org/html/introduction/video.asp
  17. 국제박물관협회(ICOM) 홈페이지, https://icom.museum/en/
  18. 문화체육관광부(2020), 코로나 일상 속 비대면 예술 지원방안, https://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8275
  19.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홈페이지, https://www.arko.or.kr/
  20. 한국박물관협회 코로나-19 관련 자료 홈페이지, http://www.museum.or.kr/2014/news06.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