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미디어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신문, TV, 영화 등과 같은 미디어가 수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바, 게이트키퍼가 없는 인터넷 기반의 새로운 미디어인 유튜브의 시청도 수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본 실증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모두 76명의 대학생들을 2개의 집단으로 나누고, 한 집단에게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관한 유튜브 영상을, 다른 한 집단에게는 불매운동과 전혀 관계없는 단편 영화를 4주 동안 매주 시청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의 이슈 중요성 인식과 태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튜브 영상을 시청한 수용자들이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지 않은 수용자들보다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불매운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의제설정 효과와 점화 효과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튜브의 의제설정 효과와 점화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향후 유튜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수용자 효과에 관한 연구가 이어져 유튜브의 미디어 효과에 관한 이론이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o see if the existing media effects have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in the media such as newspapers, TV, movies, etc., and whether the viewing of YouTube, an internet-based new media without gatekeeper, can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For this study, 76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asked to watch YouTube videos about no-buy campaign of Japanese products, and the other group was asked to watch short films for four weeks each, and the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issue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rough a surve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udience who watched YouTube videos thought that no-buy campaign was more important than the audience who did not watch YouTube videos, an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no-buy campa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effects of the agenda setting effect and the priming effect of YouTube. It is expected that the theory of the media effect of YouTube will be established as the study on the audience effect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of YouTube contin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