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 Among Job Satisfaction, Self-Encourag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self-encourag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121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sample t-tes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self-encourag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teachers were above medium level, while negative affect was lower. Seco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ith lower job satisfaction. Third, teachers with higher levels of self-encourage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ith lower job satisfaction. Fourth, in the case of teachers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those with higher levels of self-encourage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teachers depends on the level of their job satisfaction and self-encouragement, and that even if they do have low job satisfaction, high self-encouragement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for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provided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공립유치원에 근무 중인 교사 12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 주관적 안녕감은 전반적으로 보통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가 높은 공립유치원교사는 낮은 교사보다 주관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격려 수준이 높은 공립유치원교사는 낮은 교사보다 주관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도가 높은 경우, 자기격려 수준까지 높은 공립유치원교사가 낮은 교사보다 주관적 안녕감 3개 하위요인 중 2개 하위요인(긍정적 정서,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으며, 직무만족도 낮은 경우에도 자기격려 수준이 높은 공립유치원교사가 낮은 교사보다 긍정적 정서 하위요인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는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직무만족도가 낮은 공립유치원교사라도 자기격려가 높다면 주관적 안녕감(긍정적 정서)이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연 (2017). 초등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격려의 수준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창의성과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기채영 (2009). 아동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명소, 성은현, 김혜원 (1999). 한국 기혼여성(아줌마)들의 성격 특성과 주관적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41-55.
  6. 김미란 (2005).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사라형선 (2005).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아동의 정서 관계에서 아동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중재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승인 (2002). 유아교육기관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노안영, 정민 (2007). 자기격려-낙담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75-692.
  10. 문은영 (2016).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행복감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근희 (2003). 유치원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미나 (2013). 유치원교사의 직무 실태와 만족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서명순 (2007). 유치원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주희 (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어은희 (2010). 유아교육기관과 교사의 전문성 지각 수준과 직무만족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오수진 (2011). 공립유치원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가 직무능력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미리 (2008). 실패상황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자기격려 수준에 따른 불안의 변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윤경 (1999). 유치원교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교육학연구, 37(3), 365-383.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3.017
  19. 이지희 (2014). 기혼 영유아교사의 다중역할 몰입과 주관적 안녕감과 관계: 교직헌신 매개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장경희 (2012).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다문화가정아동의 자기격려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코칭연구, 5(1), 49-72. https://doi.org/10.22874/KABA.2018.5.1.49
  21. 장미정, 엄정애 (2011).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의 질과 교사 관련 변인 분석. 유아교육연구, 31(3), 249-276.
  22. 정향미 (2017). 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기질, Egogram성격특성 및 교수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정향미, 박인숙, 허혜경 (2015). 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직무만족의 영향: 교수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239-257. https://doi.org/10.7236/JIIBC.2015.15.4.239
  24. 최미숙 (2011). TA 성격이론에 의한 유아교사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 및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河村茂雄 (2003). 敎師力. 東京 : 誠信書房.
  26. Baumgardner, S. R., & Crothers, M. K. (2010). 긍정심리학. (안신호, 이진환, 신현정, 홍창희, 정영숙, 이재식, 서수균, 김비아, 역). 서울: 시그마 프레스. (원저 2009 출판).
  27.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28. Diener, E., & Emmons, R. A. (1985).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105-1117. https://doi.org/10.1037/0022-3514.47.5.1105
  29.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https://doi.org/10.1037/0033-2909.125.2.276
  30. Lucas, R. E., Clark, A. E., Georgellis, Y., & Diener, E. (2004). Unemployment alters the set point for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Science, 15, 8-13. https://doi.org/10.1111/j.0963-7214.2004.01501002.x
  31.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5.tb00298.x
  32. Rogers, C. (1995). A way of Being. Boston: Houghton Mifflin Co.
  33. Suh, E., Diener, E., & Fujita, F. (1996).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recent events matt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91-1102.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