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existence of Everything that Exists -An Imagination about Love of Korean American Immigrant Nakchung THUN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공존 -미주 이민자 전낙청의 사랑에 관한 한 상상

  • Chon, Woo-Hyung (Institute for Historical Studies at Chung-Ang University)
  • 전우형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Received : 2020.04.17
  • Accepted : 2020.05.15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key features of the novel writing of Korean American immigrants and their meaning as one aspect of movement and contact occuring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late return of the novels written by Nakcheong THUN in the 1930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stored ideas on the diversity of early modern mobility and confronted the history and culture of immigrants who were excluded from records and memories. Not only are these novels a product of the phenomenon of immigration, but they have also created a crack in the dichotomous perceptions of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center and periphery by envisioning it as a space that creates new history, culture, institutions and values. These novels treat the free love of intellectual, emotional, and ethical figures as a central event, demystifying Western free love, and at the same time, a society divided by various identities including class, race, and gender. The novels by Nakchung THUN visualize the active exchange between the immigrant and the indigenous community through the character of Jack, and imagines the heterotopia as a place where not for the immigrants' utopia, but for everyone's coexists. These novels have declared a kind of memory war on the subordinate and marginalized contact zones. The contact zones of the immigration area had been a place for experiencing extreme conflicts and discord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served as a place where various groups and communities are connected. The contact zones were common areas of solidarity and creation before being subject to division and occupation. The contact zones are far from the border or borderlands, so it is not a fixed and immutable deadlock. As a world free from central domination the contact zones have been a space that preoccupied history and culture through various encounters, and have been a community.

이 글은 근대 초기에 일어났던 이동과 접촉의 한 양상으로서, 한인 미주 이민자의 소설쓰기의 양상과 서사적 상상력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했다. 전낙청이 1930년대 쓴 소설들의 뒤늦은 귀환은 근대 초기 모빌리티의 다양성을 복원하고 기록과 기억에서 배제되었던 이민자들의 역사와 문화를 대면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소설들은 단순히 이민지라는 접경의 산물일 뿐만 아니라, 그곳을 새로운 역사와 문화, 제도와 가치 등을 생성하는 공간으로 상상하게 함으로써 지배와 종속, 중심과 주변 등의 이분법적 인식에 균열을 만들어 냈다. 이 소설들은 지적, 정서적, 윤리적으로 탁월한 인물들의 자유연애를 중심 사건으로 다루면서, 서양의 자유연애를 탈신비화하는 것과 동시에, 계급, 인종, 성별을 비롯한 여러 정체성에 의해 구획된 사회에서 벌어지는 분할과 경계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는 사랑의 공적인 역할을 발견한다. 전낙청의 소설쓰기는 잭이라는 인물을 통해 이민자와 선주민 공동체 사이의 적극적인 교호를 전경화함으로써, 이민자들의 유토피아가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공존하는 장소로서 헤테로토피아를 상상하게 한다. 이 소설들은 그간 종속되고 주변화된 접경에 관한 일종의 기억전쟁을 선포했다. 이민지라는 접경은 지난 세기 이래로 극심한 갈등과 불화들을 경험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유례없이 다양한 공동체와 지역사회들이 연결되는 장소로 기능하기도 했다. 접경은 분할과 점령의 대상이기 이전에 연대와 창조의 공공재였다. 이 소설들은 접경이 우리의 역사와 문화가 국가, 지역, 민족 사이의 대립항 속에서만 형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경이나 경계와 먼, 그래서 고정 불변하는 교착상태가 아니라, 중심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운 세계로서 접경이야말로 다양한 만남을 통해 도래할 역사와 문화를 선취하는 시공간이었으며, 공동체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6A3A03079318).

References

  1. 전낙청, 「구제적 강도」, 황재문 편역, 소명, 2020.
  2. 김동성, 「미주의 인상-조선 청년, 100년 전 뉴욕을 거닐다」, 황호덕.김희진 역, 현실문화, 2015.
  3. 마사 C. 누스바움, 「정치적 감정」, 박용준 역, 글항아리, 2019.
  4.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이상길 역, 문학과지성사, 2014.
  5. 성현경 편, 「경성 에리뜨의 만국 유람기」, 현실문화, 2015.
  6. 아리프 딜릭 외, 도시인문학연구소 편, 「경계초월자와 도시연구-지구화 시대의 매체, 이주」, 라움, 2011.
  7. 안토니오 네그리.마이클 하트, 「어셈블리-21세기 새로운 민주주의 질서에 대한 제언」, 이승준.정유진 역, 알렙, 2020.
  8. 유충희, 「閔泳煥의 세계여행과 의식의 漸移-한국 근대형성기 조선 축하사절(1896)의 여행기록물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이지영, 「20세기 미주 이민 서북인의 홍경래란에 대한 기억-전낙청의 <홍경래전>에 대한 고찰」, 「정신문화연구」 41(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275-304쪽.
  10. 이지영, 「20세기 초 미주한인 소설에 나타난 판소리 관련 서술에 대한 고찰」, 「판소리연구」 48, 판소리학회, 2019, 303-337쪽.
  11. 장태한, 「파차파 캠프, 미국 최초의 한인타운」, 성안당, 2018.
  12. 장태한.캐롤 박, 「미주한인사」, 장태한.윤지아 역,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13. 전우형, 「식민지 조선의 영화소설」, 소명, 2014.
  14. 황재문, 「「구제적 강도(救濟的强盜)」 연구-1세대 재미 한인의 체험과 문학적 혼종성」, 「춘원연구학보」 13, 춘원연구학회, 2018, 345-38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