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cent Research Trend in the Mining Industry and Rock Engineering in North Korea

북한의 광업 및 암반공학 분야 최신 연구동향 분석

  • Kang, Il-Seok (Department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Sang (Department of Energy Resource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g, Jae-Joon (Department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강일석 (서울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 박영상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송재준 (서울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20.02.06
  • Accepted : 2020.02.24
  • Published : 2020.02.29

Abstract

Recent research trend of North Korean mining and rock engineering in the past 10 years was analyzed by a literature review of mining and rock engineering papers published in North Korean major mining journals, 'mining engineering', 'geological and geographic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ublished in 2008-2017. Basic database was established by organiz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abstract data of research papers in each journal. For each journal, paper submission trend classified by research field was analyzed using the basic database. And further study was conducted to the papers which showed distinguishing methodology and result, to analyze the trend of North Korean mining and rock engineering. The literature study showed a recent trend of quantification and automation in mining and rock engineering researches in North Korea, which seems due to recent changes in Nor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nd deterioration of the mining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the feasibility studies of North Korea's mineral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Future inter-Korean technical cooperation and site survey on North Korean field can secure complement the reliability of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여 년 간 북한 광업 및 암반공학 분야의 발전 동향 및 최신 연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8-2017년 기간 출판된 북한 내 광업 관련 주요 학술지인 '채굴공학', '지질 및 지리과학', '기술혁신'을 대상으로 광업 및 암반공학 분야 연구논문의 투고 현황 및 연구 방법론을 분석하였다. 먼저 각 학술지에 수록된 연구논문의 서지정보 및 초록 자료를 정리하여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작성한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연구 분야별 학술지 투고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방법론 및 성과가 뛰어나다고 판단되는 연구논문에 대한 추가조사를 수행하여 북한 광업 및 암반공학 분야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동향 분석 결과, 최근 북한의 과학기술정책 변동 및 광업환경의 악화에 따른 정량화·자동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북한 광물자원 개발 전략 수립 및 경제성 평가를 위해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남북 기술협력 및 북한 현지 조사를 통해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일, 리철진, 리룡길, 2008, <ㅇ-ㅅ>돌출대와 그 주변에서 단층구조의 모형화와 응력마당분포에 대한 연구, 지질 및 지리과학, 49(4), 40p.
  2. 김영희, 리효원, 2017, 불련속암체에서 로천채굴장변두리의 안정성 분석, 채굴공학, 53(4), 2-3.
  3. 김유동, 박홍수, 김성용, 이재호, 2005, 북한의 광물자원개발과 남북간 자원협력방안, 자원환경지질, 38(2), 197-206.
  4. 김은섭, 박대성, 2015, 유전산법과 인공신경망에 의한 갱도유지방법 해석, 채굴공학, 51(2), 4-5.
  5. 김철룡, 2009, 암석의 완전응력변형특성에 의한 암체의 세기 해석, 채굴공학, 45(4), 2-3.
  6. 김초향, 2016, 유한요소법에 의한 지반의 극한세기계산, 지질 및 지리과학, 57(2), 7-8.
  7. 김혁진, 최종수, 2012, 유한요소법에 의한 잔주응력상태 해석, 채굴공학, 48(2), 18-20.
  8. 리성, 최명학, 전철만, 2014, 블로크모형에 기초한 광체3차원모형화방법, 지질 및 지리과학, 55(1), 39p.
  9. 리철영, 서원석, 2008, 채굴갱도주위암체의 파괴구역 예측, 채굴공학, 44(2).
  10. 리태섭, 김은섭, 2012, FLAC3D에 의한 무연탄완경사중박층 천반의 거동 해석, 채굴공학, 48(4), 11-12.
  11. 박장혁, 변광남, 2012, 채굴장불규칙잔주의 안정성 해석, 채굴공학, 48(1), 15-16.
  12. 백기남, 2013, 착암대차의 천공팔정위조종을 위한 천공순서 결정, 채굴공학, 49(2), 31-33.
  13. 변상정, 2011, 북한 과학기술정책 연구동향과 과제, 현대북한연구, 14(2), 167-216.
  14. 석근우, 2016, 북한의 석탄산업 현황 및 진출전략,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20-25.
  15. 안영범, 조천일, 2009, 비선형계획법에 의한 보통경사유연탄층의 채굴법선택요소 최량화, 채굴공학, 45(3), 24-25.
  16. 오창환, 리원철, 2010, 보통경사탄층에서 한방향계단붕괴식채탄법, 기술혁신, 56(8).
  17. 이춘근, 김종선, 2015, 북한 김정은 시대의 과학기술정책 변화와 시사점, STEPI Insight, 173, 1-29.
  18. 이춘근, 김종선, 박은혜, 남달리, 2015, 통일 이후 남북한 과학기술체제 통합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5-20, 38-40.
  19. 장관철, 장춘근, 2012, 전면붕괴식채광법에 의한 잔주채굴, 기술혁신, 58(5).
  20. 정진혁, 2017, JKSimBlast를 리용한 지하채굴장천공발파설계방법, 기술혁신, 63(7).
  21. 채명학, 심영택, 2016, 비저항영상화에 의한 갱내탐사에서 장치곁수결정방법에 대한 연구, 지질 및 지리과학, 57(3), 27-28.
  22. 최승기, 강경석, 2009, 모호모임함광성종합평가법의 정량화된 등급상태구분, 지질 및 지리과학, 50(1), 29p
  23. 최지성, 김인봉, 2015, 품질공학적수법에 의한 갱도발파최량설계에 대한 연구, 채굴공학, 51(3), 9-12.
  24. 통계청, 2019.11.21. 통계정보-북한통계-주제별. http://kosis.kr/bukhan/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
  25. 한국광물자원공사, 2011, 북한 광물자원 개발현황, 한국광물자원공사 남북사업팀, 478p.
  26. 홍근의, 리혁철, 2016, 광체의 채굴가능매장량평가방법, 기술혁신, 62(3).
  27. 황룡현, 2013, 구조응력마당속에서 갱도의 합리적배치 고찰, 채굴공학, 49(1), 37-38.
  28. Chung, J., 2019, 2016 Minerals Yearbook: North Korea, USGS, 14.4-14.5.
  29. Chung, W., 2019, Mineral Resource Industry of North Korea and Two Korea's Cooperation,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56(2), 204-211. https://doi.org/10.32390/ksmer.2019.56.2.204
  30. I-RENK, 2019.11.20. 북한 지하자원 매장. https://www.irenk.net/
  31. Lim, S., 2014, North Korea's Underground Natural Resources and Promotion of the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Journal of Peace Studies, 15(1), 111-128. https://doi.org/10.14363/kaps.2014.15.1.111
  32. Yoon, D., Song, J., 2019, Conceptual Economic Evaluation of a Copper Mine in North Korea,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56(2), 183-196. https://doi.org/10.32390/ksmer.2019.56.2.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