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preservation of urban public parks with a focus on the international movement to acknowledge and preserve the heritage value of urban parks. First, the background in which the concept of "historic urban park" first appeared internationally, as well as the current situation were investigated. Then, the cases of the United Kingdom (UK), the United States (US), and Japan, all of which are already preserving and managing urban public parks, were analyzed. In the ICOMOS-IFLA Document on Historic Urban Public Parks,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ICOMOS), which is a group of specialists dedicated to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men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ocial, intangible, aesthetic, ecological, and civic values of historic urban public parks. In addition, according to ICOMOS, it is necessary to preserve elements of parks, such as space composition, topography, light, and environment. The UK, the USA, and Japan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for the background of preserving urban parks, the preservation system, the selection of parks to be preserved, and the elements to be preserved within the park. The UK has categorized parks into certain types from each period and has tried to preserve the common elements in each type. The US has selected the parks to preserve by determining the meaning of the parks itself considering multiple aspects, embracing not only the physical form of the parks, but also the culture, monumentality, and social values. Recently, Japan began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urban parks as a matter of policy and started to implement a preservation policy by investigating modern parks that are believed to be worth preserving. Specialists in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have argued that the method of preservation of historic urban parks must differ from that of other parks or gardens. Nonetheless, observing cases in these three countrie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ir administrative and legal systems regarding cultural heritage and urban public parks, their policies were still limited to preserving only the physical elements of parks. The direction and methodology for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urban parks must be developed further and elaborated upon in terms of the evolving concept and definition of heritage. Urban parks are where various historic values are accumulated, connoting historical meanings dealing with the memories of the parks and the urban dwellers. This study found that, worldwide, park management has been carried out in a way that the historic values of parks are respected and preserved. This global trend in preserving the historic values of urban public park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urban public parks in Korea that are being formed and renewed repeatedly.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도시공원의 유산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하려는 움직임에 주목하여 국제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도시공원의 보존 동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국제적으로 '역사적 도시공원'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추진상황을 확인하고, 도시공원의 보존과 관리를 이미 수행하는 영국, 미국,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문화유산의 보전·관리를 중시하는 국제 전문가집단인 ICOMOS에서는 최근 ICOMOS-IFLA 문서를 통해, 역사적 도시공원의 사회적·무형적 가치, 심미적 가치, 생태적 가치, 시민 사회적 가치를 지속하고, 공간 구성, 지형, 빛, 환경과 같은 공원 요소를 보존해야 한다고 하였다. 영국과 미국, 일본은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동향이 나타나게 된 배경, 실제 보존 체계, 보존 대상으로 고려하는 도시공원, 공원 내 보존 요소에 저마다의 특성이 있다. 영국은 시기별로 나타나는 공원의 디자인을 존중하고, 각 시기를 대표하는 공원의 형태 요소를 보존하고자 한다. 미국은 공원의 의미를 물리적 형태뿐 아니라, 문화, 기념성, 사회적 가치 등 다양한 각도에서 파악하여 보존할 공원을 선정하고 관리한다. 일본은 보존 가치가 있는 근대공원을 조사해 선별하고, 공원의 보존 관리를 정책적으로 시행하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역사적 도시공원의 보존은 기존 정원이나 공원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각국 사례를 보면 아직은 문화유산과 도시공원을 다루는 행정과 법제에 따라 물리적 요소를 보존하는데 다소 한정되어 있었다. 변화하는 유산의 개념과 정의의 맥락에서 도시공원의 보존 기준과 방법 또한 발전하고 정교해질 것이다. 도시공원은 역사적으로 여러 가치가 축적된 공간이며, 공원과 도시민의 기억에 많은 역사적 의미를 내재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이러한 공원의 역사적 가치를 존중하고 보존하는 방향으로 관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시공원의 가치를 보존하고자 하는 국제 동향은 운영과 관리 문제에 직면한 우리의 도시공원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