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Changes in the Application of Maker-education for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예비유아교사 대상 메이커 교육 모형 적용에 따른 변화 탐색

  • Received : 2019.12.13
  • Accepted : 2020.04.13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maker-education for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explore changes and for the results to be used as a basic data to study the utilization of maker-education. Methods: To that end, 36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ttending nursery school applied to the maker-education program and to the curriculum of children's literature and play. The collected interview materials and student journal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started with mixed expectations and but then actively participated in worries classes with interest and had fun. Also, in the stage of sharing, they changed from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colleagues to developing an attitude of cooperation and unity through communic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from feeling the difficulties of planning, planning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directly related to their development and that they are quickly and wisely dealt with.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follow-up study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as meaningful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the effects of positively accepting feedback, planning to attempt a step-by-step approach, and active attitude toward communication between colleagues.

Keywords

References

  1. 강승주, 김은주, 신해진 (2016). 문제중심학습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2), 33-41. doi:10.15207/JKCS.2016.7.2.033
  2. 강은성 (2017). 메이커 교육 아웃리치(outreach)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적 효과 : 자유학기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강인애, 김명기 (2017). 메이커 활동(Maker Activity)의 초등학교 수업적용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 487-515. doi:10.22251/jlcci.2017.17.14.487
  4. 강인애, 김양수, 윤혜진 (2017).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 대학교 사례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7), 253-264. doi:10.15207/JKCS.2017.8.7.253
  5. 강인애, 김홍순 (2017).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250-267. doi:10.5392/JKCA.2017.17.10.250
  6. 강인애, 윤혜진 (2017). 메이커교육 평가틀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1), 541-553. doi:10.5392/jkca2017.17.11.541
  7. 강인애, 윤혜진, 황중원 (2017). 메이커 교육. 서울: 내하출판사.
  8. 고학능, 마대성 (2019). 초등 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역량 탐색 및 수업모델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1), 97-106. doi:10.14352/jkaie.2019.23.1.97
  9. 교육부 (2015. 12). '변화를 만드는 능력'을 키우는 교육. https://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192&nttId=4822에서 2019년 5월 8일 인출
  10. 김동현 (2013). 개방형 혁신을 위한 공공 디지털 제작소 '팹랩(FAB LAB)'. 건축, 57(11), 37-41.
  11. 김양수 (2017). 고등교육에서 메이커 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은주 (2015). 플립러닝 전략이 전문대학교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노영 (2013). TBL 학습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경영학 관련 과목들의 TBL을 중심으로 -. e-비즈니스 연구, 14(5). 93-111. doi:10.15719/geba.14.5.201312.93
  14.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KISTEP, KAIST (2017).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경기도: 지식공감.
  15. 박주용 (2016. 8).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 공간으로서의 메이커 스페이스. 메이커교육실천, 그 시작과 여정. 메이커 교육 코리아 2016 포럼 강연논문, 과천.
  16.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017. 7). 모든 학습자가 창작자가 되는 메이커교육. https://blog.naver.com/moeblog/221048984956에서 2019년 5월 9일 인출
  17. 서울특별시교육청 (2017). 메이커 교육(미래공방교육) 중장기('18-'22) 발전 계획.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혁신과.
  18. 손은주, 박정혜, 임인철, 임용, 홍석우 (2015). 대학수업에 적용된 플립러닝이 대학생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2), 97-117.
  19. 양정임 (2017a). 플립러닝이 대학생들의 연어습득과 학습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새한영어영문학, 59(1), 145-161. doi:10.25151/nkje.2017.59.1.008
  20. 양정임 (2017b). 플립러닝 기반 학습이 대학생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과학논문집, 54, 85-97.
  21. 유예은 (2018).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기반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감성지능의 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윤기옥, 정문성, 최영환, 강문봉, 노석구 (2009). 수업모형. 서울: 동문사.
  23. 윤옥한, 이윤옥 (2014). 팀 기반학습에서 개념명료화시험 교수전략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과학연구, 8(2). 1-18.
  24. 윤혜진 (2018). 디자인사고 기반 메이커교육 모형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규일 (2014). 뇌 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신체활동과 인지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1(4), 1-30.
  26. 이승은, 김영미 (2018). PBL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혁신연구, 28(2). 73-89. doi:10.21024/pnuedi.28.2.201806.73
  27. 이승철 (2018). 디자인적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걀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용숙, 김영천 (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29. 이지선 (2017). 메이커 교육에 디자인 사고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54, 225-234. doi:10.21326/ksdt.2017..54.019
  30. 임소희 (2015). 기초간호과학 해부학 교육에서의 팀기반 학습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0), 7098-7108. doi:10.5762/KAIS.2015.16.10.7098
  31. 장우심 (2016).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대한 팀 기반 학습 적용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655-666. doi:10.5392/JKCA.2016.16.12.655
  32. 정아란 (2017). Maker Space를 적용한 어린이 복합문화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어린이도서관 무한상상실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정성희, 곽민정 (2017). 이공계형 플립러닝 모델이 학습자 인식, 자율성, 수업 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2), 353-376. doi:10.22251/jlcci.2017.17.22.353
  34. 정혜미 (2018). 뮤지엄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조경미, 이연승 (2018).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에 기반을 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8(1), 341-366. doi:10.18023/kjece.2018.38.1.014
  36. 조은주 (2016). PBL을 활용한 교양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16(4), 33-51.
  37. 중소벤처기업부 (n.d.). 메이커 운동. https://www.makeall.com/intro/campaign.php에서 2019년 5월 9일 인출
  38. 한국과학창의재단 (2016). 창의융합형 과학영재 양성을 위한 SW 교육방안 연구(BD16070002).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39. 함아영 (2017). 메이커 뮤지엄(Maker museum)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종이나라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홍성민, 이윤준, 손경현, 정미나, 김진하, 유민화 (2016). 미래산업.신산업분야 인재기반 조성을 위한 인적자원 양성 및 취.창업 지원방안연구(16-21).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1. 황순희 (2014). 팀 기반 스피치 수업의 교육적 효과 분석-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8(3), 287-322.
  42. 황중원, 강인애, 김홍순 (2016. 2). 메이커 페다고지로서 TMSI모형의 가능성 탐색: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안동.
  43. Ackermann, E. (1996). Perspective-taking and object construction: Two keys to learning. In J. Kafai, & M. Resnick (Eds.), Constructionism in Practice: Designing, Thinking, and learning in a Digital World (pp. 25-37). Mahwah, NJ: Lawrence Erlbaum, Publishers.
  44. Brahms, L. & Crowley, K. (2016). Making sense of making: Defining learning practices in MAKE magazine. In K. Pepler, E. Halverson, & Y. Kafai (Eds.), Makeology: Makers as learners (Vol.2) (pp. 13-28). New York: Routledge.
  45. Cohen, J., Jones, M., Smith, S. & Calandra, B. (2016). Makification: Towards a framework for leveraging the maker movement in formal education. In G. Chamblee & L. Langub (Eds.), Proceedings of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2016 (pp. 129-135). Chesapeake, VA: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AACE).
  46. Damasio, A. R. (2007). Looking for spinoza, 스피노자의 뇌: 기쁨, 슬픔, 느낌의 뇌과학. (임지원 옮김). 서울: 사이언스북스(원판 2003).
  47. Clapp, E. P., Ross, J., Ryan, J. O., & Tishman, S. (2017). Maker-Centered Learning: Empowering young people to shape their world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8. Halverson, E. R., & Sheridan, K. (2014).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495-505. doi:10.17763/haer.84.4.34j1g68140382063
  49. Kafai, Y., Fields, D., & Searle, K. (2014). Electronic textiles as disruptive designs: Supporting and chal lenging maker activities in schools.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532-556. doi:10.17763/haer.84.4.46m7372370214783
  50. Lakind, A. (2017). Public libraries as sites of collision for arts education, the Maker Movement, and neoliberal agendas in education. Journal for Learning Through the Arts, 13(1), 1-23. doi:10.21977/D913133234
  51. Martin, L. (2015). The promise of the maker movement for education.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J-PEER), 5(1). doi:10.7771/2157-9288.1099
  52. Martinez, S. & Stager, G. (2013). Invent to learn: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room. Torrance, CA: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53. Mary, A. G., Thomas, H. E., & Susan, L. M. (2010). Instruction : a models approach, 수업모형. (권낙연 옮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원판 2007).
  54. Maslyk, J. (2016). STEAM maker: Foster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the elementary classroom. Thousand Oaks, CA: Corwin.
  55. McGalliard, M. (2016). From a movie to a movement: Caine's arcade and the imagination foundation. In K. Peppler, E. Halverson, & Y. Kafai (Eds.), Makeology: Makers as learners (Vol.2) (pp. 111-124). New York: Routledge.
  56. Papert, S. & Harel, I. (1991). Situating constructionism. Constructionism, 36(2), 1-11.
  57. Papert, S. (2000). What's the big idea? : Toward a pedagogy of idea power. IBM Systems Journal, 39(3.4), 720-729. doi:10.1147/sj.393.0720
  58. Schon, S., Ebner, M., & Kumar, S. (2014). The Maker Movement. Implications of new digital gadgets, fabrication tools and spaces for creative learning and teaching. eLearning Papers, 39(1), 14-25.
  59. Smith, B. (2016, September). The power of a maker mindset. Retrieved may, 9, 2019, from http://www.callahancreek.com/power-maker-mindset/
  60. Thomas, A. (2014). Making makers: Kids, tools, and the future of innovation. San Francisco, CA: Maker Media, Inc.
  61. Vossoughi, S. & Bevan, B. (2014). White paper: Making and tinkering. Washington, DC: National Research Council Committee on Out of School Time STEM.
  62. Wardrip, P., & Brahms, L. (2016). Taking making to school: A model for integrating making into classrooms. In K. Peppler, E. Halverson, & Y. Kafai (Eds.),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Vol. 1) (pp. 97-106). New York: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