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린이집 통합학급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유·초 연계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

Differences on the Importance of Recognition of Contingency from Early Childhood to Elementary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Settings

  • 김민정 (공립 고산마루 어린이집) ;
  • 조윤경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 투고 : 2019.12.14
  • 심사 : 2020.04.13
  • 발행 : 2020.04.30

초록

Objectiv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strengthen the recognition of continuity of early childhood and primary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setting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thod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n 192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67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statistically on the prerequisite elements of continuity. Seco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higher th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tistically regarding the prerequisite educational techniques required for continuity of early childhood and primary education. In particular, early childhood teachers put more of an emphasis on learning and sociality-communication th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hat in-service education on prerequisite elements be stressed, and there be more detailed activities and education about programming and its utilization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희 (2006). 일반 유아교육기관 통합에 필요한 장애유아의 적응기술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서울시 사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문정 (2015). 누리과정 인식, 실행 및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차이.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은영, 김윤희, 이일주 (2015). 유.초 연계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의 인식 및 개선방안 모색.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3(1), 1-38.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완성.고시. 대변인실 보도자료 2012. pp. 7-6.
  5.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6. 김다영, 황은희 (2018). 유아단계와 초등단계 연계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9), 285-304. doi:10.22251/jlcci.2018.18.19.285
  7. 김명연 (2013).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환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조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민진, 김창복, 김호 (2012). 2006-2011년까지의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연구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503-523.
  9. 김민진, 장원호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기관.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2(3), 351-377.
  10. 김설아, 김은경 (2018). 초등학교 전이 지원프로그램이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학업준비기술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8(3), 1-32. doi:10.21214/kecse.2018.18.3.1
  11. 김성숙, 이유미 (2018).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0(4), 129-148.
  12. 김외경 (2010).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유아교육 교사와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윤희, 황해익 (2014).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교육과정적 이해와 실행. 유아교육학논집, 18(3), 283-307.
  14. 김해선, 김호연 (2010).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시각장애연구, 26(3), 65-85.
  15. 김현진, 양승희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교과 구성 및 교육 목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3(3), 355-374.
  16. 김화영, 조윤경 (2009).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수준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1(3), 157-178. doi:10.21075/kacsn.2009.11.3.157
  17. 박지은이 (2015).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진이, 이정욱 (2017). 초등학교 1학년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37(1), 201-229. doi:10.18023/kjece.2017.37.1.009
  19. 배성현, 손가화, 이병인 (2013).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 실행 현황과 중요성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13(4), 83-109.
  20. 배연경, 박재국, 김영미 (2010). 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장애유아의 적응기술에 관한 교사의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3(3), 111-139. doi:10.20971/kcpmd.2010.53.3.111
  21. 송지숙 (2012). 유.초 교육과정 연계 및 초등학교로의 전이프로그램에 대한 만5세반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실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안소영, 안지혜 (2018). 유아교육기관, 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2000-2017년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어린이교육비평, 8(2), 5-23. doi:10.26834 / kscice .2018. 8.2.5
  23. 양지애, 이정욱 (2018). 유치원 교사를 위한 유초연계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22(3), 143-169.
  24. 윤혜정, 김소향 (2013). 초등학교 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409-437.
  25. 이경화, 최신혜 (2015).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육과정의 연계 유형 및 적합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439-460.
  26. 이미애 (2017). 만 5세반 보육교사의 유.초 연계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미애, 김진욱 (2017). 초등학교 1학년 적응을 위한 만 5세반 보육교사의 유.초 연계 역량 강화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10(2), 47-72.
  28. 이민정 (2015). 3-5세 누리과정과 초등 1학년 교육과정에서 언어교육의 연계성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1-25.
  29. 이소영 (2005). 장애 아동의 일반 초등학교 취학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승미 (2015).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의 연계성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533-551.
  31. 이유미, 이미현 (2017).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 인식과 실행 간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4), 697-718. doi:10.22251/jlcci.2017.17.24.697
  32. 이일주, 장인영 (2014). 5세 누리과정과 2009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 교육과정의 생태교육 연계성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401-429.
  33. 이정욱, 박진이 (201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의 주제와 활동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34(6), 365-389. doi:10.18023/kjece.2014.34.6.016
  34. 이지연 (2014).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와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지현, 전홍주, 박은혜 (2012).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4), 253-279.
  36. 임미진, 이병인 (2017). 발달지체유아의 초등학교 입학 적응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7(3), 89-117.
  37. 장혜원 (2015). 유치원과 초등 1학년의 연계성을 강조한 수학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5(4). 631-655.
  38. 전다혜, 박지연 (2009). 초등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9(3), 101-121.
  39. 전상신, 김은경(2007).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전이 시 성공적인 학교적응에 필요한 기술: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7(1), 1-20.
  40. 조윤경, 김수진 (2019). 유아교사를 위한 특수아동 이해(2판). 경기: 공동체.
  41. 조윤경, 김수진 (2010). 통합 실행에 대한 장애전담교사의 자기평가와 순회지원교사의 관찰 평가. 열린유아교육연구, 15(4). 217-238.
  42. 조혜진, 김수연 (2017). 유치원의 유.초등 연계교육 운영 현황과 교사들이 인식한 어려움. 열린유아교육연구, 22(3), 203-228. doi:10.20437/KOAECE22-3-09
  43. 최일선, 조운주 (2016). 유.초 연계의 일환으로 초등학교 입학준비 및 지원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10(2), 163-186.
  44. 최지혜, 조윤경 (2013).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5(1), 129-151. doi:10.21075/kacsn.2013.15.1.129
  45. 한윤경, 김희진 (2000).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 교육과학연구, 31(3), 215-229.
  46. 홍길회, 조숙경 (2009). 만5세아 초등전이프로그램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251-268.
  47. 황순영 (2010).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입학에 필요한 주요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3(3), 53-69. doi:10.20971/kcpmd.2010.53.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