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firing conditions for some potteries in early and middle Neolithic period at the Munamri sites, where the first farmland remails were found in Korea. It is divided into six kinds of surface patterns for potteries such as the raised, bamboo tube and red painted (patternless) from the early Neolithic period (BC 4000 to 6000), and the patterns of horizontal herringbone, short slanted lined or lattice and incised thick line in the middle Neolithic period (BC 3000 to 4000), respectively. Based on the color measures, redness and yellowness of potteries were relatively high as condition of oxidation firings, were also observed black cores on the cross section of potteries. The firing temperature is divided into two groups having under 800℃ and 800to 900℃, the difference in patterns of the potteries are not confirmed. As a microtextures, the bamboo tube pattern potteries show the sericitization biotite, the quartz have developed a suture line textures, and altered alkali feldspars are occurred. X-ray diffraction analysis shows that the main minerals contained in potteries are chlorite and amphibole besides quartz, alkali feldspar and biotite. Considering the geology around the Munamri area is the biotite amphibole granite and soil layers within 10km radius are used as the raw materials for the potteries. The raw materials are presumed that the sources from the metamorphic rocks along the water systems through the mountains around the sites on the basis of well developed suture line textured quartz in potteries. Results on normalized geochemical compositions, the potteries by surface patterns are very similar to sources, and it is judged that was made by using the surrounding soils despite the long time difference from the early to middle in the Neolithic period.
이 연구에서는 최초의 밭 유구가 발견된 고성 문암리 출토 신석기 전기와 중기의 토기를 대상으로 재료학적 특성과 소성조건을 분석하였다. 문암리 토기는 전기 신석기(BC 4000에서 6000)의 융기문, 죽관문, 무문 또는 주칠 토기와 중기 신석기(BC 3000에서 4000)의 횡주어골문, 단사선문 또는 격자문, 침선문 토기 등 6종으로 세분할 수 있다. 토기의 색도측정 결과, 적색 및 황색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전체적으로 산화소성되었으며 단면에서는 흑심이 관찰되기도 한다. 소성온도는 토기의 문양에 따라 차이는 없으며 800℃ 이하와 800~900℃의 범위를 보이는 두 그룹으로 구분된다. 미세조직 및 X-선 회절분석 결과, 죽관문 토기에서는 흑운모의 견운모화와 봉합선 조직이 발달한 석영 및 변질된 알칼리 장석이 확인되며, 토기의 주요광물은 석영과 알칼리 장석, 흑운모 외에도 녹니석과 각섬석이 동정되었다. 문암리 일대의 지질특성으로 볼 때, 유적의 10km 이내에는 각섬석 흑운모 화강암이 분포하며 변성암이 외곽의 산악지대를 이루고 있어 수계의 영향을 받아 토기의 원료물질인 토층이 산재한다. 이 토층과 토기에 포함된 봉합선상 조직이 발달한 석영으로 보아 변성암 기원의 원료물질이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토기의 지구화학적 표준화 결과, 문양에 관계없이 성인적으로 유사하여 신석기 시대의 전기와 중기의 시간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적지 주변의 토양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