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doption of Discovery in Copyright Litigation

저작권 소송 절차에서 디스커버리 도입에 관한 소고

  • Received : 2020.10.24
  • Accepted : 2020.12.21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In the Korean litigation system, structural maldistribution of evidence still remains a conundrum. Numerous solutions have been discussed so far and, today, few people deny the need for adopting a system similar to the discovery procedure in the United States.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IP) domain, a wide range of legislative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litigation system, especially for patent litigation. However, the adoption of discovery in copyright litigation is seldom discussed, despite the fact that copyright infringement lawsuits increasingly involve highly technical issues, especially in case of copyrightable computer programs. The lack of discussion on discovery adoption forms a stark contrast with the active attempts to adapt and adopt discovery procedure for patent litigation. In copyright infringement lawsuits, especially for copyrighted computer programs, securing evidence takes on crucial importance. However, in reality, there are numerous obstacles. Some lawsuits proceed even without properly securing the infringed work. To address this issue, the current litigation system needs to be improved by adopting a procedure similar to discovery. This paper reviews what solutions are being utilized today, and how we should approach the issue.

우리나라 소송 체계에서 증거 등의 구조적 편재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난제로 남아있다. 과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론적 논란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미국의 디스커버리와 같은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이 더 이상 논란이 되지는 않는다. 이에 지식재산권 분야에서는 특허법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입법적 시도를 통한 제도 개선이 도모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 등에 대한 저작권 침해 소송이 점차 고도의 기술적 특징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짐에도 불구하고 디스커버리에 관한 논의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특허법 등의 경우 디스커버리와 같은 제도를 나름의 형태로 도입함으로써 이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모습과 대비된다.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을 중심으로 한 저작권법 체계 역시 침해 소송에서 증거 등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나 현실적으로 많은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다 보니 실무에서는 침해물을 적절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소송을 진행할 수 밖에 없는 모습도 나타난다. 이에 저작권 침해 소송에서도 디스커버리와 같은 제도 보완이 요구되며, 현재 활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중심으로 어떠한 방법론으로 접근이 필요할 지 검토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 직접 적용, 특허법의 자료제출명령 준용 및 저작권법에 별도 제도 마련 방안을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성훈, "한국형 디스커버리 제도 도입에 관한 제언", 한국형 증거개시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 p.3, 2019. 6.
  2. 변진석, "미국 민사소송에서 증거개시의 역할과 한계, 한국에 도입가능성", 미국헌법연구, 제23권 제3호, p.134, 2012. UCI : G704-001290.2012.23.3.004
  3. 이창훈, "미국 특허소송 중 증거개시절차의 면책규정 적용에 대한 고찰 - 국내 대리인의 법률 자문을 중심으로-", 지식재산연구, 제6권 제3호, p.70, 2011. DOI : https://doi.org/10.34122/jip.2011.09.6.3.67
  4. 변진석, "미국 민사소송에서 증거개시의 역할과 한계, 한국에 도입가능성", 미국헌법연구 제23권 제3호, p.136, 2012. CI : G704-001290.2012.23.3.004
  5. 김정환, 효율적인 증거개시.수집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p.105, 2015. ISBN 979-11-86491-26-3
  6. 이미옥, "개정특허법하에서 자료제출명령제도에 대한 소고", 지식재산연구, 제11권 제3 호, p.8, 2016. DOI : https://doi.org/10.34122/jip.2016.09.11.3.1
  7. 김상수, "일본민사소송법 개정작업의 현황", 사법행정, 제35권 5호, pp.23-24, 1994. UCI : I410-ECN-0102-2009-350-006937276
  8. 김정환, 효율적인 증거개시.수집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pp.122-125, 2015. ISBN 979-11-86491-26-3
  9. 김정환, 효율적인 증거개시.수집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p.157, 2015. ISBN 979-11-86491-26-3
  10. 이시윤, "미국의 pretrial discovery- 그 영향과 대책을 중심으로-", 민사소송, 제14권2호, p.844, 2010. UCI : G704-001301.2010.14.2.010
  11. 김홍엽, "민사사법제도 개선의 논의와 문제점", 법률신문 <서초포럼>, 2015. 5. 18.자. https://m.lawtimes.co.kr/Content/Opinion?serial=93146
  12. 이시윤, 新民事訴訟法, 박영사, p.546, 2017. ISBN 979-11-303-3033-4
  13. 서동희, "미국법상의 Discovery 제도의 도입 필요성", 법학연구, 제18호, p.808, 2005. UCI : G704-001305.2005..18.019
  14. 이시윤, 新民事訴訟法, 박영사, p.529, 2017. ISBN 979-11-303-3033-4
  15. 이시윤, 新民事訴訟法, 박영사, p.529, 2017. ISBN 979-11-303-3033-4
  16. 김정환, 효율적인 증거개시.수집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p.44, 2015. ISBN 979-11-86491-26-3
  17. 정동윤.유병현, 민사소송법, 제4판, 법문사, pp592-593, 2014. ISBN 9788918084381(8918084382)
  18. 법원행정처, 법원실무제요 민사소송(III) 개정판, 사법발전재단, p.32, 2014. 발간등록번호 32-9740029-000722-01.
  19. 이시윤, 新民事訴訟法, 박영사, p.515, 2017. ISBN 979-11-303-3033-4
  20. 최승재, "지식재산(특허) 실효적 보호방안 - 실효적 손해배상을 위한 증거제도의 보완을 중심으로", 이슈페이퍼, 한국지식재산연구원, p.14, 2016.
  21. 서동희, "미국법상의 Discovery 제도의 도입 필요성", 법학연구, 제18호, pp.788-789, 2005. UCI : G704-001305.2005..18.019
  22. 이시윤, 新民事訴訟法, 박영사, p.515, 2017. ISBN 979-11-303-3033-4
  23. 김정환, 효율적인 증거개시.수집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p.50, 2015. ISBN 979-11-86491-26-3
  24. 이시윤, 新民事訴訟法, 박영사, p.515, 2017. ISBN 979-11-303-3033-4
  25. 조영선, "특허법 상 자료제출명령에 대한 검토", 법제연구, 제51호, p.156, 2016. UCI : G704-001428.2016..51.005
  26. 이종민, "특허 침해소송과 손해배상소송에서 입증부담 완화를 위한 자료제출명령 제도", Vacuum Magazine, p.50, 2016, 6. http://www.kvs.or.kr/file/story/2016_06_12.pdf
  27. 조영선, "특허법 상 자료제출명령에 대한 검토", 법제연구, 제51호, p.163, 172, 2016. UCI : G704-001428.2016..51.005
  28. 특허청 설명자료(2020. 9. 28.자).
  29. 특허법 일부개정법률안(김정호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3170).
  30. 특허법 일부개정법률안(이수진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4191).
  31. 조양준 기자, "외국기업이 소송 걸면 영업비밀 내주고 압수수색 받을 판", 서울경제, 2020. 9. 29.자 기사. https://www.sedaily.com/NewsView/1Z80POREG1
  32. 특허청 설명자료(2020. 9. 28.자).
  33. 한국저작권위원회, 실행코드들 간의 유사성 비교 및 감정방법에 관한 연구(2016년 SW 감정 워킹그룹 최종보고서), 한국저작권위원회, pp.15-2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