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lice Investigato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of Supervisors -

수사경찰의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진태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과) ;
  • 곽대경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
  • Received : 2020.02.15
  • Accepted : 2020.03.16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The court in Korea values evidence justice, and also demands justification for the process of collecting evid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means that the police investigators performing these tasks feel attached to the police organization they belong to, and that they feel united about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Based on this recognition,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olic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lassified organizational Justice into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e Justice and interaction Justi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polic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verifies the effect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injecting the trust of Supervisors into a mediating variable. The study was also conduc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rust of Supervisors is important in carrying out the field investigators work in the South Korean poli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 total of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May 2017 to October 2019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using the selection process of investigators and job training courses for the national police, and a total of 500 copi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Looking at the results analysis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re the organizational Justice of police officers was a independent variabl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shown that the trust of Supervisors has a mediating effect in korean police organization.

한국의 법정에서는 증거재판주의를 중시하고 있고, 증거수집과정과 절차의 정당성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수사경찰이 자신이 속한 경찰조직에 애착을 느끼고, 조직의 목표에 대한 일체감을 느끼는 것을 의미하는 조직몰입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이 연구에서는 수사경찰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조직공정성은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수사경찰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 상사의 신뢰를 매개 변수로 투입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효과를 검증한 점에 특색이 있다. 기본적으로 이 연구는 대한민국의 수사경찰이 현장수사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상사의 신뢰가 중요하다는 가정 하에서 연구를 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2017년 5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3회에 걸쳐 경찰인재개발원에서 운영 중인 수사요원선발과정과 전국 수사경찰 직무교육 과정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00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분석을 살펴보면, 첫째, 수사경찰공무원의 조직공정성이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수사경찰공무원의 상사의 신뢰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2018). 정성을 다하는 수사경찰.
  2. 김경민 (2018).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연구, 9, 67-94.
  3. 김대수, 이종완 (2014).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응집력의 매개효과.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6, 1-23.
  4. 김순석 (2008). 경찰 조직 내 직속상관의 영향력행사유형과 조직 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노경섭 (2019).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6. 문채봉 (2014). 리더십유형 및 구성원의 역량확대가 리더십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민경호 (2005). 조직행동론. 무역경영사.
  8. 성시한 (2014).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구성원의 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신규희 (2013). 상사의 공정성이 종사원의 침묵 행위와 정서.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 F&B 조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양석곤, 김성용, 안성익 (2017). 상사신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연구, 8, 131-163.
  11. 이경근, 박성수 (1999). 조직공정성과 임금만족간의 인과관계: 절차적 공정성, 상호작용적 공정성, 분배적 공정성간의 관계와 역할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7, 191-229.
  12. 이영석 (2004). 회사신뢰 및 상사신뢰의 결정요인과 효과성에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재연 (2001). 조직 내 리더에 대한 신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재훈, 최익봉 (2004). 조직공정성, 신뢰,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12, 93-132.
  15. 이진규, 박지환 (2003). 부하가 인지한 상사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과 성과간 신뢰 및 가치일치의 매개효과 검증. 경영학연구, 32(4), 925-954.
  16. 이철수 (2007). 상사와 부하 간의 신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효영 (2018). 지역사회 경찰공무원의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임재강, 권용섭 (2015). 경찰관의 진성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한국공안행정학회보, 59(2), 217-239.
  19. 임창호 (2012).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경찰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14(6), 309-334.
  20. 최익봉, 이재훈 (2006). 리더의 임파워먼트 행위,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14, 215-247.
  21. Adams, J. S. (1965). Inequity in social exchange.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 pp. 267-299). Academic Press.
  22. Angle, H. L., & Perry, J. L. (1981). An empirical asses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6), 1-14. https://doi.org/10.2307/2392596
  23. Bass, B. M. (1990).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to share the vision. Organizational Dynamics, 18(3), 19-31. https://doi.org/10.1016/0090-2616(90)90061-S
  24. Baterman, T. S. (1984). SA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27(1).
  25. Becker, H. S. (1960). Notes on the concept of commit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6(1), 32-40. https://doi.org/10.1086/222820
  26. Buchanan, B. (1974).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33-546.
  27. Butler Jr, J. K., & Cantrell, R. S. (1984). A behavioral decision theory approach to modeling dyadic trust in superiors and subordinates. Psychological Reports, 55(1), 19-28. https://doi.org/10.2466/pr0.1984.55.1.19
  28. Doney, P., Cannon, J., & Mullen, M. (1998).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national culture on the development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601-620. https://doi.org/10.5465/amr.1998.926629
  29. Folger, R., & Konovsky, M. A. (1989).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1), 115-130. https://doi.org/10.2307/256422
  30. Greenberg, J. (1987). A taxonom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1), 9-22. https://doi.org/10.5465/amr.1987.4306437
  31. Homans, G. C. (1961). Its elementary forms. Social Behavior, 488-531.
  32. Konovsky, M. A., & Pugh, S. D. (1994). Citizenship behavior and social exchang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656-669. https://doi.org/10.2307/256704
  33. Laschinger, H. K. S., Finegan, J., & Shamian, J. (2001). The impact of workplace empowerment, organizational trust on staff nurses'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6(3), 7-23. https://doi.org/10.1097/00004010-200107000-00002
  34. Lind, E. A., Walker, L., Kurtz, S., Musante, L., & Thibaut, J. W. (1980). Procedure and outcome effects on reactions to adjudicated resolution of conflicts of inter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4), 643. https://doi.org/10.1037/0022-3514.39.4.643
  35. Lind, E. A., & Tyler, T. R. (1988). Critical issues in social justice. The social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New York, NY, US.
  36. Mathieu, J. E., & Zajac, D. (1990).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08(2), 171-194. https://doi.org/10.1037/0033-2909.108.2.171
  37. McAllister, D. J. (1995). Affect-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1), 24-59. https://doi.org/10.2307/256727
  38. McEvily, B., Perrone, V., & Zaheer, A. (2003). Trust as an organizing principle. Organization Science, 14(1), 91-103. https://doi.org/10.1287/orsc.14.1.91.12814
  39. Moorman, R. H. (1991).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e citize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6), 845. https://doi.org/10.1037/0021-9010.76.6.845
  40. Niehoff, B. P., & Moorman, R. H. (1993). Justi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s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3), 527-556. https://doi.org/10.2307/256591
  41. Podsakoff, P. M., MacKenzie, S. B., Moorman, R. H., & Fetter, R. (1990).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1(2), 107-142. https://doi.org/10.1016/1048-9843(90)90009-7
  42. Thibaut, J. W., & Walker, L. (1975). Procedural justic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Hillsdale, NJ: Erlbaum.
  43. Tyler, T. R., & Bies, R. J. (1990). Beyond formal procedures: The interpersonal context of procedural justice. Applied Social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Settings, 77,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