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ducer-oriented Collective Record Classification System : In the case of the Democratic Reunification and the People's Movement

생산자 중심의 단체기록물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을 중심으로

  • 윤혜선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 전공)
  • Received : 2020.03.23
  • Accepted : 2020.04.19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RRecords management has focused largely on public records in south korea with a relatively low progress in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private records with the enactment of Public Records Act in 1999. This study set out to categorize the records of the Coalition for Democratic Reunification and the People's Movement(DRPM) and develop them into a group collection.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s, analysis and reorganization of records content,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and expert evaluation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greater efficiency in the search of records about the DRPM by developing a classification system to recategorize its records of various sources and enable their easy access and utilization in a digital archive. In addition, the basic structure of producer-oriented classification can be suggested as an example of the organization of a group collection.

1999년 공공기록물 관리법이 제정되고 국내 기록관리는 주로 공공기록 관리 중심으로 이루어져 민간기록물 수집과 관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게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는 1985년에 재야 여러 단체의 연합조직으로 창립되어 정권에 대항하여 활동하는 등 역사적 가치가 있지만 기록관리 및 이관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이하 민통련)의 기록물을 바탕으로 민간 기록물의 생산자 중심의 단체컬렉션 분류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기록물 내용 분석 및 재조직, 분류체계 개발,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매뉴스크립트 컬렉션에 적합한 분류 방법을 알아보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디지털 아카이브인 오픈아카이브의 분류체계를 분석하여 단체컬렉션 구성의 의의를 밝혔다. 둘째, 민통련의 설립배경, 활동 등을 분석하고, 기록의 생산적 특징인 시기, 유형, 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전명혁(2004)의 민주화운동 단체를 바탕으로 나눈 범주를 기본으로 연관이 없는 주제 영역은 제외하거나 재정의하고, 새롭게 필요한 영역은 추가하였다. 넷째, 민통련 단체컬렉션의 분류체계를 생산자(조직), 생산 시기, 주제, 유형으로 만들고 전문가 평가를 받은 후, 이를 반영해서 민통련 분류체계의 최종안을 완성하였고 민통련 기록물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출처의 민통련 생산 기록을 재분류하여 해당기록으로의 접근과 활용이 용이한 분류체계를 개발함으로써 민통련 자료의 검색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체 컬렉션 구성에 대한 하나의 사례로서 생산자 중심 분류의 기본 구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솔아. 2013. 사할린 한인 관련 역사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방안 연구: 국가기록원 컬렉션 수집 및 분류.기술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 김유선. 2018. 함평사건희생자유족회의 소장 기록물 분류표 개발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3. 김혜란. 2016.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록 연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소장기록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6.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5.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민주화운동관련 사건, 단체 사전 편찬을 위한 항목 조사연구 결과보고서,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 민족민주운동연구소. 1989. 민통련: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평가서(I) 자료편.
  7.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창립20주년기념생사위원회. 2005. 민.통.련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창립 20주년. 서울: 민통련창립20주년기념행사위원회.
  8. 박정옥, 이명규. 2013. 5.18민주화운동 기록물분류표 개발에 관한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13(2), 5-42.
  9. 서유림. 2019. 제주 4.3 기록 연구 : 제주4.3평화재단 소장기록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10. 설문원. 2003. 조선총독부 기록물을 위한 기능분류체계 개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1), 457-488. https://doi.org/10.3743/KOSIM.2003.20.1.457
  11. 설문원. 2012.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 12(3), 203-232.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3.203
  12. 오정희, 정연경. 2018. 독립 운동 컬렉션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공훈전자사료관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4), 99-124.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099
  13. 윤모린. 2000. 한국 민주화과정에서 운동조직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14. 윤성이. 1999. 사회운동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 권위주의체게 변동: 정치기회구조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2(4), 111-128.
  15. 이승휘. 2002. 민주화운동 사료 기술규칙 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16. 장희우. 2014. 지방문화원 향토기록물 분류표 개발에 관한 연구 : 목포문화원 향토기록물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17. 전명혁. 2003. 매뉴스크립(Manuscripts) 기록물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역사연구, 13(-), 189-204.
  18. 전명혁. 2004. 민주화운동 기록물의 범주 및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史林, 21(-), 69-90.
  19. 정대화. 2005. 민주화 과정에서 민통련과 국민운동본부의 역할에 대한 평가 : 역사구조적 관점에서 주체 형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8(-), 213-241.
  20. 정연경. 2017. 지식정보분류론. 서울: 이화여대 출판문화원,
  21. 정진임. 2007. 매뉴스크립트 분류체계 개발방안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2. 정해구. 2011.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 '서울의 봄'에서 군사정권의 종말까지. 서울: 역사비평사.
  23. 진용찬. 2015. 민주화운동청년연합 잔존기록에 대한 분석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24. 한국사사전편찬회(편). 2005. 한국근현대사사전. 서울: 가람기획.
  25. 6월민주항쟁계승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6월항쟁을 기록하다2. 서울: 6월민주항쟁계승사업회.
  26.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1980년대 한국사회 연구. 서울: 백산서당.
  27. Jimerson, R.C. 2002. Arrangement techniqu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OCLC Systems & Services; Bradford, 18(2), 75. https://doi.org/10.1108/10650750210430132
  28. Meehan, Jennifer. 2009. Rethinking Original Order and Personal Records. Archivaria, 70, 27-44.
  29. Miller, F. 1959. "Arranging and describing Archives and Manuscripts", Archival FundamentalsSeries: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조경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역. 2002. 아카이브와 매뉴스크립트의 정리와 기술. 서울: 진리탐구.
  30. Schellenberg, T.R., 1965. The management of Archives. New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31.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오픈아카이브. 검색일자: 2019.4.17. http://archives.kdemo.or.kr/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