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Flipped-PBL on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Flipped-PBL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ed the effect of Flipped PBL on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 of University students. For study,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A University and S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t up 60 students. They majored in Christian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level of education was similar in the same region and department. In the experiment,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epara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test before class and post-test after class, followed by analysis covariance(ANCOVA). Between the comparative group performing flipped learn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flipped PBL,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using the flipped PBL averaged 4.28 and the communication ability averaged 4.06. As a result, it was higher than each of the comparison groups, confirming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This will be able to present a flipped PBL class design as an alternative metho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flip learning in a changing classroom situation and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learner.

본 연구는 Flipped PBL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탐색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2개 대학의 기독교교육과와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과 비교집단 30명을 대상으로 교직과목 중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Flipped Learning을 비교집단으로 Flipped PBL을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업 전에 사전 검사와 수업 종료 후 사후 검사로 문제해결능력 검사와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했다. 수집한 사전, 사후 검사 자료의 측정값을 비교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했다. 그 결과 문제해결능력은 실험집단인 Flipped PBL 집단의 평균은 4.28로서 비교집단인 Flipped Learning 집단의 평균인 3.91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인 Flipped-PBL 집단의 평균이 4.06로서 비교집단인 Flipped Learning 집단의 평균인 3.32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연구결과 Flipped Learning을 수행한 비교집단과 Flipped PBL을 수행한 실험집단 간에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급변하는 사회 현상 속에서 변화의 요구를 받고 있는 교실 상황 속에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까지 신장시킬 수 있는 Flipped PBL 기반의 수업을 대안적 교육방법으로 제시하며, 적극적으로 활용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윤혜진.정다애.강은성 (2019). 메이커교육의 이론과 실천. 서울: 내하출판사.
  2. 강인애.허정필.최성경 (2017). Flipped PBL과 Flipped Learning간의 흥미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교양교육연구, 11(3), 331-375.
  3. 고현.강미희.고은별 (2016).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145-167.
  4. 박상준 (2015). 거꾸로 교실 모형의 개발과 적용 사례의 연구: 예비교사 교육에의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2(2), 1-21.
  5. 박은아.송해덕 (2014). 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2(4), 83-102.
  6. 방진하.이지현 (2014).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299-319.
  7. 손경숙 (2017).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14(1), 1-27.
  8. 오익수 (1991). 대인관계 문제해결에 대한 심리적 결정 요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9. 이광자 (2006). 임상현장의 커뮤니케이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1), 33-45.
  10. 이석재.장유경.이헌남.박광엽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3-15-3.
  11. 이성아.이은철.남선우 (2019). Flipped-PBL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교육논총, 58, 119-146.
  12. 이은영 (2017). 플립 러닝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모형 개발.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3. 이은영.김성욱.임철일 (2018). Flipped Learning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전략과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135-164.
  14. 정인숙 (2018). 협동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0), 533-540.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533
  15. 조민정.구미옥 (2018).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이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2), 495-507. https://doi.org/10.15207/jkcs.2018.9.12.495
  16. 조철현 (2015). 교회학교 교사상의 패러다임 전환: 교사 리더십 기술역량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43, 261-291.
  17. 채영희 (2015). 대학생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운영사례. 사고와 표현, 8(1), 7-40.
  18. 최오성 (2018). 퇴근을 앞당기는 문제해결의 힘 :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직장인의 핵심 역량 '문제해결 능력'. 김포: 피플벨류HS.
  19. 하영미.리메일링.채여주 (2016).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4(11), 347-35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1.347
  20. 하정희.김유정 (2017).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 21(5), 27-49.
  21. 허정필 (2017). Flipped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이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교양수학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22. 홍기칠 (2016).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실행에 대한 비평적 분석. 교육방법연구, 28(1), 125-149. https://doi.org/10.17927/TKJEMS.2016.28.1.125
  23. Bergmann, J. & Sams, A. (2014). Flipped learning: Gateway to student engagement. Eugene. OR: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https://www.iste.org/explore/ArticleDetail?articleid=39에서 인출
  24. D'Zurilla, T. J. (1986). Problem-solving therapy: A social competence approach to clinical intervention, New York : Springer.
  25. Higgins, J. M. (1994). 101 Creative problem solving techniques: The hand book of new ideas for business. NY: The New Management Publishing Company.
  26. Honeycutt, B. (2013). The flipped approach to a learner-centered class.
  27. Maggie, R. (2017).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flipped classroom. Retrieved A pril 23, 2019. http://www.uwstout.edu/soe/profdev/flippedclassroom.cfm에서 인출
  28. Miller, A. (2014). 5 Tips for flipping your PBL classroom. Retrieved April 23, 2019. https://www.edutopia.org/blog/5-tips-flipping-pbl-classroom-andrew-miller에서 인출
  29. November, A., & Mull, B. (2012). Flipped learning: A response to five common criticisms. November Learning, 29.
  30. Roehl, A., Reddy, S. L., & Shannon, G. J. (2013). The flipped classroom: An opportunity to engage millennial students through active learning. Journal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105(2), 44. https://doi.org/10.14307/JFCS105.2.12
  31. Sun, J. C-Y., & Wu, Y. Y. (2016). Analysis of learning achievement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s in flipped and conventional classroom.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17(1), 79-99.
  32. Todd, N. (2014). A flipped journey: How PBL rescued my classroom. Retrieved April 23, 2019. https://www.iste.org/explore/ISTE-blog/A-flipped-journey%3A-How-PBL-rescued-my-classroom 에서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