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analgesic effects of music in people with glasses on perceived pain through cold-pressor task (CPT) is assessed based on three-sequence, three-period, crossover trial with three treatment conditions(music-listening, news-listening, and no-sound) to each subject. Fifty subjects are divided into three sequence groups by randomization, and CPTs under the pre-assigned treatment conditions at each period are performed. Pain responses after each CPT, subjects' pain tolerance (PT) in time scale and pain intensity (PI) and pain unpleasantness (PU) in visual analog scale (VAS) are measured. After classifying the group by whether or not to wear glasses, which is the phenotype of the myopia gene, pain responses are compared by F-tests and Tukey's multiple comparisons. CPT pain responses in group with glasses during the music interven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responses during the news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conditions, respective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in responses of music intervention in the group wearing glasses, which can be seen as a phenotype of the nearsighted gene, and this result would play a role in explaining the biopsychosocial model of the pain mechanism.
음악청취가 통증완화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음악청취조건, 뉴스청취조건 그리고 대조조건을 활용한 3×3 교차시험과 통증유발시험을 수행하였다. 총 50명의 피험자를 세 순서집단으로 랜덤하게 나눈 후 세 가지 청취조건 하에서 각각 통증유발시험을 수행한 후 통증한계, 통증강도, 통증불쾌감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최근 시력과 지적능력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연구가 발표되면서 안경착용 여부에 따른 음악중재효과를 분석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여, 안경착용여부에 따른 집단을 분류한 후 음악청취의 통증완화효과를 F-검정과 Tukey의 다중비교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통증유발시험 분석 결과 안경착용집단의 통증완화효과가 음악청취조건에서 뉴스청취조건이나 대조조건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가 탐색적 연구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통증관리에서 음악중재를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한편 통증반응을 설명하는 생물심리사회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연구로 의미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