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 Culture & Arts Treatment Program for Elderly Women for Reg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지역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Lee, Dong Joo (Dep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Donga University) ;
  • Lee, Debora (Dept. of Musicology & Culture, Donga University)
  • Received : 2020.02.05
  • Accepted : 2020.02.11
  • Published : 2020.02.29

Abstract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effects of a culture & arts treatment program for elderly women's reg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Study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18 women whose ages are 65 years old and older. (8 women participated in a culture & arts program and 10 women participated in an elderly center program.) The culture & arts program held 16 sessions where the subjects wrote letters or drew pictures. After this program, we measured the degree of reg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hat the cultural and arts treatment program improved the reg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among the elderly woman. Second, the treatment program has improved the sub-region of the reg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among the woman's elderly. This result shows the culture & arts treatment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the consciousness of the regional community on elderly women

Keywords

1. 서론

출산율 저하가 고착되면서 대한민국은 갈수록 고령화 사회가 되고 있다. 정부 정책도 초고령사회에 맞추어 노인들이 요양시설이나 병원 등이 아닌 집에서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통합 돌봄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1]. 독거노인이나 고령의 부부 노인, 조손 가구 등 돌봄이 필요한 노인의 욕구에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안전 지원이나 사회 참여, 생활교육, 일상생활 지원 등 독거노인 등에게 필요한 개인별 맞춤 서비스가 다양하게 제공되는 추세이다[2].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만 73명 중 21.1%가 우울 증상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노인은 은퇴와 경제적 능력 상실, 배우자 사망 등으로 우울 현상을 겪기 쉽다. 특히 독거노인은 부부 노인보다 정신건강이 취약한 편이라 우울증 유병률이 더 높다고 하였다[3]. 또한 여성 노인은 남성과 비교해서 행복감을 덜 느끼며 나이가 많을수록 불행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고 하였다[4].

노인들은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이 낮을수록 고독감을 많이 느낀다고 하는데 사회적 관계망과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이 단독가구 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독거노인은 종교가 없을수록,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이 낮을수록 고독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부동거 노인은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가 적을수록,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이 낮을수록 고독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5].

사회적 배제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 노인들을 취업 여부에 따라 구분한 후,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것인데, 취업 유무와 사회적 배제, 우울은 상호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 및 기능영역은 취업 상태인 경우에 더 높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7].

또한 노인의 사회관계망과 자살 충동은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는 연구도 있다[8]. 연구 결과는 노인의 외부도움 정도가 클수록, 비동거 자녀와의 접촉이 많을수록, 사회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자살생각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독가구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구조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기혼자녀가 적을수록, 갈등관계망이 클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또한 노인의 지역사회 환경이 좋을수록 우울과 자살생각이 낮아진다고 하였으며10], 배우자, 이웃 및 친구와의 관계성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많을 수록 덜 우울하였으며 가족과 친척의 지지가 많을수록 자살사고의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11].

노인들에게 지역 공동체를 위한 활동의 장을 마련해 줌으로써 노인들의 사회참여를 높이는 동시에 지역에 대한 공동체의식을 증진시켜 노인들의 사회통합을 이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의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안녕감은 상호 관련성이 있다[12]. 지역사회와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해 공동체 간 협력과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지역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실시하였는데 지역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통해 약화된 공동체를 회복하고 나눔과 배려의 문화가 확산되었다고 하였다[13].

지역 공동체는 일정한 영역에서 공동의 유대감을 가지고 상호작용하는 주민집단들이라고 하였다[14]. 더 나아가 지역공동체는 일정한 공간 영역에서 ‘우리’라는 상호간의 신뢰와 끈끈한 유대감을 가지고 서로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주민집단의 단위라고 하였으며[15], 공간을 공유하면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는 집단’으로서의 사회문제와 사회혁신의 주요 기제라고 하였다[16].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sense of community)은 지역사회 공동체에 속한 구성원들의 사회적 결속과 관련된 집단의식 또는 그 집단 전체의 공통된 의식이다[17]. 또한 공동체 의식이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내에서 형성되는 정서적 유대감이라고도 표현하였다[18]. 그리고 공동체의식이란 지역사회에 소속해 있으면서 지역사회 주민들과 함께 하면서 느끼는 충만함, 연대감, 소속감, 그리고 지역사회 구성원과 정서적 친밀감을 느끼는 것이라고 하였다[19].

문화 공동체 사업은 공동체 의식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 중 문화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주민들의 공동체의식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성과가 있다[20]. 이 경우 지역사회 봉사 활동이 공동체 의식과 참여 의식을 함양시킨다고 하였다[21]. 커뮤니티 비즈니스 참여가 지역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킨다는 연구 성과에서는[22,23],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운영이 참여자의 지역공동체 의식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24], 평생 교육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참여 동기와 공동체 의식을 고양시킨다고 하였다[25].

한편, 지역 전래동요에 기초한 문화체험 활동이 유아의 지역 공동체 의식과 국악 능력 및 국악 흥미 도에 효과적인 활동이라는 연구도 있다[26]. 동요를 활용한 지역 문화체험 활동이 유아의 지역 공동체 의식과 애향심, 음악 흥미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이다[27]. 이와 함께 그룹음악 활동이 농촌 거주 노인의 스트레스, 고독감, 우울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28]. 음악 중심 통합예술치료가 장기요양 시설 거주 노인의 고독감과 우울을 감소시키고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29], 노래 중심 음악활동이 노인의 지역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30].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노인의 고독감과 우울을 감소시키고 지역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령자들의 음악경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도 있다[31]. 이 연구는 고령자들의 음악경험 활성화를 위하여 학령기 이후 개인의 사회음악활동 내용을 포함하는 음악 교육과정의 구성, 가족이 음악문화 참여를 장려하는 문화진흥제도의 개선 등 지역 공동체 중심의 고령자 음악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또한 미국 지역 공동체 프로그램인 ‘Harmony Project'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음악활동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소외된 공동체 구성원들 사이에 의사소통과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음악활동의 성취 과정과 결과를 통해서 공동체의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을 발견하여 자신들의 변화를 위한 노력을 실천함으로서 지역 공동체의 변화를 이끌어내었다[32]. 이렇듯 음악과 인간의 감성 사이에는 아주 민접한 관계가 있다[33].

그런데 지금까지의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은 사회적 배제가 클수록 우울을 많이 느끼고 사회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자살충동을 덜 느끼게 한다고 하였으며, 지역 공동체 의식이 낮을수록 고독감을 많이 느낀다고 하였다. 때문에 음악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은 결국 노인의 우울증이나, 자살 충동을 낮출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문화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지역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킴으로 여성 노인의 고독감을 감소시키고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방향으로의 성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사회적 환경은 차이가 있다. 남성의 경우는 직장과 다양한 사회 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이 잘 형성되어 있는 셈이지만 여성 노인의 경우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의 활발한 사회활동 참가는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통적인 유교적 가치관이 훼손되는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간의 유대감에 있어서도 현재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번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에서는 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여성 노인의 지역 공동체 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기존의 효과가 입증된 2가지 요소, 즉 문화예술치료프로그램과 단순히 노래만을 통한 지역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의 대비를 통해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지역사회공동체 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지역사회공동체 의식 하위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본 연구는 부산시에 있는 문화회관, 치매안심센터, 노인대학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65세 이상 여성 노인이다.

둘째, 인지에 문제가 없는 노인이다.

셋째, 다른 치료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노인이다.

문화회관에서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이 8명, 치매안심센터에서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이 8명, 노인대학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이 10명으로 총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 1에 나와 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n Research

MTMDCW_2020_v23n2_383_t0001.png 이미지

2.2 연구 도구

2.2.1 지역공동체의식 척도

본 연구의 지역공동체의식 척도는 김경준(1998) 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항목을 활용하였다. 또한 McMillan & Chavis(1986)에서 개발한 공동체의식 측정 항목(Sense of Community Index: SCI)의 지표를 수정·보완하여 만든 SCI-2 지표를 사용하였다(Chavis, Lee & Acosta, 2008). 지역공동체의식 하위 영역은 개인의 욕구 충족, 구성원 의식, 상호적 영향 의식, 공유된 정서적 유대감이다. 각 하위영역은 6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지역사회공동체의식 척도의 신뢰도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Table 2. Sub-area of Community Consciousness

MTMDCW_2020_v23n2_383_t0002.png 이미지

2.3 연구 설계

이 연구에서는 문화회관과 치매안심센터는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노인대학은 문화예술 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때문에 실험집단,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설계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Table 3. Research design

MTMDCW_2020_v23n2_383_t0003.png 이미지

X1: Culture and Arts Treatment Program

X2: singing class

O1: Community Consciousness scale

2.4 연구 절차

2.4.1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은 지역공동체의식 척도의 하위영역인 개인의 욕구 충족, 구성원 의식, 상호적 영향 의식, 공유된 정서적 유대감을 목표로 정하고, 각 목표에 4개의 주제를 바탕으로 총 16회기로 진행되었다. 문화회관과 치매안심센터는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노인대학은 노래수업을 하였다. 문화예술치유프그램 16회기는 Table 4에 제시하였으며 1회기 계획서는 Table 5에 나와 있다.

Table 4. Culture & Arts Treatment Program 16 session

MTMDCW_2020_v23n2_383_t0004.png 이미지

Table 5. Culture & Arts Treatment Program 1 session activity

MTMDCW_2020_v23n2_383_t0005.png 이미지

2.4.2 사후검사

본 연구에서 사후검사로 지역사회공동체의식 척도를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는 음악치료학석사과정생과 음악치료학박사과정생이 실시하였으며,. 검사는 조용한 방에서 검사자와 연구대상자가 책상을 사이에 두고 앉아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가 연령이 높아서 시력이 좋지 않으므로 검사자가 질문을 읽어 주면 연구대상자가 대답을 하도록 하였다.

2.5 자료 처리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지역사회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문화회관, 치매안심센터, 노인대학의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for window 25.0을 사용 하였다. 첫째,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지역사회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령을 공분산으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문화예술 치유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지역사회공동체 의식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t검정을 실시하였다.

3. 연구결과

3.1 지역공동체의식 결과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문화회관과 노인대학에서의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하였다. 지역공동체의식 전체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6에 제시하였다. 지역공동체의식의 문화회관 평균은 87.63, 노인대학 평균은 51.75이며 t는 5.17로 유의수준 .001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을 실시한 문화회관 여성노인은 실시하지 않은 노인대학 여성노인보다 지역공동체의식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Reg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of Culture Center and Elderly Center​​​​​​​

MTMDCW_2020_v23n2_383_t0006.png 이미지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치매안심센터와 노인대학의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하였다. 지역공동체의식 전체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지역공동체의식의 치매안심센터 평균은 93.75, 노인대학 평균은 51.75이며 t는 4.998로 유의수준 .01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을 실시한 치매안심센터 여성노인은 실시하지 않은 노인대학 여성노인보다 지역공동체의식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7. Reg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of Dementia Safety Center and Elderly Center​​​​​​​

MTMDCW_2020_v23n2_383_t0007.png 이미지

여성 노인의 연령에 대한 영향을 통제한 후의 교정된 연령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는 Table 8에 제시하였다. F 통계값은 31.523, 유의수준은 .001에서 프로그램에 따라 지역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이 노래수업보다 여성 노인의 지역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8. Results of covariance analysis on age according to treatment​​​​​​​

MTMDCW_2020_v23n2_383_t0008.png 이미지

3.2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 결과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지역공동체 의식 하위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하였다.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9에 제시하였다.

Table 9. Sub-area of Reg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of Culture Center and Elderly Center​​​​​​​

MTMDCW_2020_v23n2_383_t0009.png 이미지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 중 개인의 욕구 충족은 t는 4.17로 유의수준 .01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성원 의식은 t는 2.95로 유의수준 .05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호적 영향 의식은 t는 4.92로 유의수준 .01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유된 정서적 유대감은 t는 6.79로 유의수준 .001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을 실시한 문화회관 여성노인은 실시하지 않은 노인대학 여성노인보다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하였다.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10에 제시하였다.

Table 10. Sub-area of Reg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of Dementia Safety Cente and Elderly Center​​​​​​​

MTMDCW_2020_v23n2_383_t0010.png 이미지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 중 개인의 욕구 충족은 t는 2.77로 유의수준 .05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성원 의식은 t는 4.62로 유의 수준 .01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호적 영향 의식은 t는 5.35로 유의수준 .001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유된 정서적 유대감은 t는 5.82로 유의수준 .001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을 실시한 문화회관 여성노인은 실시하지 않은 노인대학 여성노인보다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4.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지역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었다. 기존 연구에서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과 노래를 중심으로 한 음악활동은 노인의 고독감과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살 충동 억제 및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연구는 있었지만 이 양자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분석은 없었으며, 더욱이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점은 간과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역 공동체 의식은 각종 노인문제에 대한 예방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각종 노인문제와도 상호 관련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대하여 문화회관과 치매안심센터의 각각 8명씩의 여성 노인에 대해서는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을 각각 16차에 걸쳐 실시하였고, 노인대학에서 10명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는 동일한 기간 동안 노래수업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 노래 중심의 이 여성 노인의 지역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회관과 노인대학, 치매안심센터와 노인대학의 지역 공동체 의식비교에서는 각각 41%, 46% 가량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참여가 지역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킨 연구[22,23],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운영이 참여자의 지역공동체 의식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24],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참여 동기와 공동체 의식을 고양시킨다는 연구[25] 등의 성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아울러 노래중심 음악 활동 역시도 노인의 지역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안녕감을 향상시킨 연구[30] 등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음악의 리듬은 사람에게 활력을 주어서 집단에 소속감을 느끼게 한다고 하였다. 여성노인들이 고향 등 자신이 살았던 곳과 만났던 사람들을 회상할 수 있는 노래를 함께 부르고 추억을 나누면서 서로 공통적인 부분을 알게 되어서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성노인들이 노래에 맞추어 악기를 연주하면서 하나 됨을 경험하고 같은 지역에 살고 있어서 지역 공동체 의식이 함양된 것이다.

둘째,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지역 공동체 의식의 하위영역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회관과 노인대학을 대비한 분야에서는 개인적 욕구 충족에서 38%, 구성원 의식에서는 35%, 상호적 영향 의식에서는 41%, 공유된 정서적 유대감에서는 49% 높게 나타났으며, 치매안심센터와 노인 대학의 경우에도 동일한 순서대로 각각 36%, 46%, 48%, 46%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적 요소와 함께 복합적 체계성을 가진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단순한 노래치료 보다는 효과가 월등히 높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 전래동요에 기초한 문화체험활동이 유아의 지역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킨다는 연구[26], 동요를 활용한 지역문화 체험활동이 유아의 지역 공동체의식과 애향심, 음악 흥미도를 높인 연구[27], 노래중심 음악활동이 노인의 지역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킨 연구[30] 등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셋째,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 중 가장 크게 향상된 것은 정서적 유대감 영역이었으며, 평균 47.5%높게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여성들이 함께 음악을 연주함으로써 하모니를 이루어야 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단순한 노래중심 음악활동 보다는 체계적인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 속에서의 노래를 포함한 음악활동이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여성노인들은 남성보다, 젊은 사람보다 행복하지 못하다고 하였다[4]. 그런데 음악 등 문화 활동을 통해서 다른 사람과 함께 즐거운 경험을 함으로써 고독감이 줄어들어 구성원들과 정서적 유대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다른 구성원들과 음악 등 새로운 문화 활동을 함께 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면서 상호간의 신뢰가 형성되고 사회적 결속이 강화되므로 공유된 정서적 유대감이 증진된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또한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 중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난 것은 상호적 영향력 영역이었으며, 평균 44.5% 가량 높게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과 관련된 노래를 부르는 활동은 지역에 소속된 구성원으로써 일체감을 느끼게 하여서 여성노인들이 지역 구성원이라는 의식을 고양시킨 것으로 보인다. 단순히 지역에 대한 노래를 부르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자신이 속한 동네를 소개함으로써 서로 같은 지역에 속한 구성원이라는 친밀성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커뮤니티 비즈니스 참여가 지역공동체 의식 중 상호적 영향 의식을 향상시킨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며[22]. 여성노인들이 상대적으로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음악 등 문화 활동을 경험할 기회가 적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들과 음악을 함께 연주하면서 의사소통이 활발해 지게 되었다. 그리고 여성노인들이 가족이나 친구 등에게 엽서나 편지를 쓰고 서로 공유하면서 상호적 영향 의식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지역공동체의식 하위영역 중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난 것은 구성원 의식 영역이었으며, 노인대학보다 평균 40.5% 가량 높게 나타났다. 그런데 문화회관과 노인대학과의 비교에서는 35% 높게 나타난 반면, 치매안심센터와 노인대학과의 비교에서는 46%로 편차가 가장 심한 편이다. t값에 있어서도 2.9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여기에 대응하는 p값은 0.21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통계자료와는 이례성을 보여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보이는 것은 연령대로 치매안심센터의 경우 총 8명 중 5명이 76∼80세이며, 문화회관의 경우는 65세∼75세가 7명이어서 사회적 활동영역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차후 보완연구의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영역인 개인의 욕구 충족 항목은 조사 항목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이 역시도 결코 낮은 점수는 아니다. 노인대학보다 각각 38%와 36% 높은 결과가 나타나 평균 37% 높게 나타났다. 다만 상대적으로 개인의 욕구 충족이 가장 낮다는 사실은 노인 여성의 과거 사회적 환경을 고려할 때, 전통적 윤리사회에서 희생과 헌신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은 여성노인에게 음악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성공적인 성취감을 통해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에 관련된 노래 등 문화 활동을 통해서 지역에 소속된 구성원이라는 소속감을 갖게 하여 구성원 의식을 향상시켰다. 또한 엽서와 편지쓰기 등 여러 가지 문화 활동을 통해서 의사소통이 활발해짐으로써 상호적 영향 의식이 증진되었을 뿐만 아니라 재미있는 문화 활동을 다른 구성원들과 즐겁게 하면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일곱째, 이상 분석한 바와 같이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지역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이 지역 사회에 실시되어 지역공동체 의식이 향상됨으로써 여성 노인의 우울, 고독감을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여성 노인이 지역 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에 따른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을 여성노인만 하였다. 65세 이상 노인들의 경우에는 전통적 가치관에 입각한 사회적 영향이 큰 관계로 활동 영역에서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 큰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지역공동체의식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따라서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이 남성노인의 지역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부산시에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도시 노인과 농촌 노인의 지역공동체의식이 어떻게 다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단기간이 아닌 장기 프로그램으로 개발이 되어서 지역 사회에서 실시될 수 있도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노인뿐만 아니라 아동, 청소년, 성인 등 다양한 연령의 지역 구성원들이 함께 상호작용함으로써 더불어 사는 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References

  1. She is Visiting the Senior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Elderly, http://www.newspim.com/news/view/20191230000672 (accessed December 30, 2019).
  2. Reinforcement of Car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102012023&wlog_tag3=daum (accessed January 1, 2020).
  3. Development of Selectable Assessment Tools for More Than 90% of Elderly Depression, https://news.joins.com/article/23674523 (accessed January 6, 2020).
  4. The Condition of Happiness,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034 (accessed August, 22 2018).
  5. E.Y. Oh and J.H. Lee,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Size and a Sense of Community on the Loneliness of Rural Elderly-only Household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43, pp. 555-580, 2012.
  6. M.Y. Choi, S.E. Lee, and H.S. Park, "The Effect of Elderly's Social Exclusion on Elderly De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Working,"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69, pp. 9-29, 2015.
  7. B.J. Jeon and E.Y. Choi,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and Buffering Effect of Social Network: Focusing on Employment Statu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Review, Vol. 16, No. 3, pp. 237-274, 2014.
  8. D.B. Kim and S.Y. Park,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nd Suicidal Ideation: Verifying of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24, pp. 109-129, 2010.
  9. E.Y. Oh, J.H. Lee, and H.Y. Shin, "Effects of the Social Network Structure on Suicidal Thoughts of Elderly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in Korea: Supportive and Conflictual Networks," Journal Community Living Science, Vol. 25, No. 4, pp. 511-531, 2014. https://doi.org/10.7856/kjcls.2014.25.4.511
  10. I.K. Seo and Y.S. Lee,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sourc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ir Suicidal Ideation: With a Focus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nd Urban Areas,"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1, No. 2, pp. 219-247, 2016.
  11. J.Y. Yim, H.Y. Kim, and Y.S. Youm,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nflict in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 on R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5, No. 3, pp. 645-657, 2016.
  12. S.J. Chang, S.Y. Kim, and K.J. Moon, "Social Integration in Later Life: The Possible Mediationg Role of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Well-being,"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52, pp. 1-29, 2015. https://doi.org/10.15300/jcw.2015.52.1.1
  13. Seogwipo City Contest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http://www.newsjeju.net/news/articleView.html?idxno=338135 (accessed January 3, 2020).
  14. Y.B. Kang, "A Case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of Rural Community,"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 Vol. 8, No. 4, pp. 5-26, 2004.
  15. D.S. Yang and Y.S. Kang, "Resident Participation Raises Local Community Consciousness, Which is Vital for the Success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2, No. 1, pp. 71-89, 2008.
  16. M.R. Byun, Reinforcement of Community Capacity for Social Integration, Policy Report, 2011.
  17. E.Y. Oh and J.H. Lee,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Size and a Sense of Community on the Loneliness of Rural Elderly-only Household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43, pp. 555-580, 2012.
  18. H.J. Sung and B.K. Jeon, "A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in Rural Areas," Social Welfare Policy, Vol. 27, pp. 149-170, 2006.
  19. D.G. Kim, "The Effect of Local Community Spirit on the Behavior of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Dispute Resolution Studies Review, Vol. 9, No. 1, pp. 67-93, 2011. https://doi.org/10.16958/drsr.2011.9.1.67
  20. S.H. Park, A Study of the Effect of Cultural Community Program on Formation of Sense of Community: Focusing on the Case of Seongnam City's "Making Our Neighborhood a Cultural Community", Master's Thesis of University of Seoul, 2013.
  21. Y.A. Choi, The Effect of Community Service on the Cultivation of the Sense of Community and Participation, Master's Thesis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5.
  22. J.E. Le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Business on Local Sense of Community, Master's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23. L.C. Han, The Influence of Citizen Participation in Community Business on Sense of Community, Master's Thesis of Woosuk University, 2016.
  24. D.G. Kim, "The Effects of the Community Center Programs on Formation of Participants' Sense of Community: The Case of Seowon-gu, Cheongju," The Korea Policy Journal, Vol. 16, pp. 1-23, 2016.
  25. H.H. Lee, Study on the Motivation of Life L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and their Sense of Community, Master's Thesis of Yonsei University, 2018.
  26. S.J. Jung and H.S. Park, "The Effects of Cultural Experiemental Activities Based on Children's Local Traditional Songs upon Young Children's Local Community Spirit,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Music,"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Vol. 45, No. 4, pp. 137-164, 2016.
  27. E.H. Wi and H.S. Park, "Effects of Local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Children's Songs on Young Children's Local Community Spirit, Local Patriotism and Musical Interest,"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2, No. 5, pp. 49-70, 2017. https://doi.org/10.20437/KOAECE22-5-03
  28. H.N. Oh, The Effect of Group Music Activity on Stress, Lonelines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Master's Thesis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9.
  29. S.H. Lee, The Effect of Music Centered Integrative Art Therapy on Lonelines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Cortisol and NK Cell of Elderly Living in a Long Term Care Facility, Doctor's Thesis of Wonkwang University, 2014.
  30. Y.S. Lee, The Effects of Singing-centered Music Activities on the Sense of Locaal Community and Social Well-being of Older Adults, Master's Thesis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9.
  31. E.J. Lim, "A Study on Enhancing Music Experience in an Aging Society,"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Vol. 26, pp. 21-38, 2016.
  32. E.J. Lim, "A Study of the Harmony Project, a Community Music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Arts Education, Vol. 15, No. 2, pp. 47-68, 2017.
  33. S.Y. Suk and H.Y. Chung, Implementation of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YIN Pitch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0, No. 11, pp. 1398-1406,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