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the Convergence Program through 'Making a Shadow Book' Activity

'그림자 북 만들기' 활동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 Jeon, Je-Eung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
  • Lee, Ju-Seob (Teachers College, Jeju National University) ;
  • Ko, Sang-Hun (Jeju Hawon Elementary School) ;
  • Ko, A-Ra (Jeju Halla Elementary School) ;
  • Shin, Ae-Kyung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0.11.29
  • Accepted : 2020.12.18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convergence program after conducting 'Making shadow book using my creative story' activity. The program consist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creat their own stories and using them to make a "shadow book."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52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eight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y were examined for their perception of the convergence program with the Likert scale questions and essay question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ikert scale questions showed that they scored very high on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necessity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were also high.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keywords of essay questions about how the program operates, and its advantages and improvements made it possible to categorize them into instructional content, convergence education, teaching competency, thinking ability, psychology, and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this study, we could see that by experiencing the convergence program ran by cooperative professors of different major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aturally recognized the meaning,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understood the contents of related subjects easily, and improved teaching competency. But, they also mentioned various improvements due to the situa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나의 창작 이야기를 이용한 그림자 북 만들기' 활동을 실시한 후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이야기'를 창작하고, 그 이야기를 이용해 '그림자 북'을 만드는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8주 동안 52명의 예비교사들에게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Likert 척도 문항과 서술형 문항으로 조사하였다. Likert 척도 문항을 분석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이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필요성, 재참여 의지 역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장점 및 개선점을 묻는 서술형 문항에 대해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교과 내용, 융합 교육, 수업 역량, 사고력, 심리, 경험에 대한 정서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은 서로 다른 전공의 교수들이 협력하여 운영하는 융합 프로그램을 체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융합교육의 의미, 중요성,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고, 관련 교과의 내용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교수 역량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 상황으로 인한 여러 가지 개선점도 언급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2020 scientific promotion program funded by Jeju National University.

References

  1. 교육부(2015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9]. 서울: 교육부.
  2. 교육부(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1]. 서울: 교육부.
  3. 금영충, 배선아(2012).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2), 57-75.
  4. 김대현(2015). 한국의 수업과 평가에서의 교과서 활용과 전망. 교육혁신연구, 25(3), 21-44.
  5. 김영민, 문지선, 박정숙, 임길선(2010).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경력과학교사들과 초임과 학교사들의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02-1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8.1002
  6. 김은주, 이진숙(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전한 생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형태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56(1), 155-185.
  7. 박경숙, 정현도, 전재돈, 이효녕(2018). 예비 과학 교사들의 시스템 사고력의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교사교육연구, 57(1), 108-128. https://doi.org/10.15812/TER.57.1.201803.108
  8. 박혜원, 신영준(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9. 손연아(2012).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과 예술 융합 수업준비와 시연과정에서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수업 분석과 피드백-영화와 연극 접목 융합수업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40(4), 476-493.
  10. 신재한, 남궁정도, 김유, 박성수, 조준범, 이영미, 한주연(2013). 인형극을 통한 예술중심 STEAM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1), 215-240.
  11. 이정민, 신영준(2014).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588-596.
  12. 이지원, 박혜정, 김중복(2013). 융합인재교육(STEM) 연수를 통해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수업실행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32(1), 47-59.
  13. 이진숙, 김은주(2019). 융합인재교육 실행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초등교육연구, 32(3), 327-355.
  14. 이효진, 남윤경(2019). '빛과 소리'교육을 위한 과학.공학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현장과학교육, 13(3), 211-224. https://doi.org/10.15737/SSJ.13.3.201908.211
  15. 임성만, 채동현, 김은정, 현동걸, 김오범, 한제준(2014). 교과대체형 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후 학생들의 인식 분석: 6학년 에너지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9-132.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119
  16. 임수민, 김영신, 이태상(2014). 융합인재교육(STEAM)의 현장적용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8(1), 133-143. https://doi.org/10.21796/JSE.2014.38.1.133
  17. 임청환, 오보정(2015).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1-11.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1
  18. 전제응, 이주섭(2019). 교육대학 <글쓰기>의 특이성과 교육적 접근 방향 탐구-J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40, 201-223. https://doi.org/10.31565/korrow.2019..40.006
  19. 정미경, 이재덕, 강구섭, 박상완, 이명희(2015). 융합형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RR 2015-05.
  20. 채수풍, 전석주(2015). 로봇을 활용한 STEAM기반 프로그래밍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2), 159-166.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159
  21. 최은영, 한광래, 이경학(2015). G지역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 현직교사, STEAM 리더스쿨 교사들의 어려움과 요구사항.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55-366.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355
  22. 최지연(2015). 예비교사교육에서 융합교육의 가치와 한계: 'Mystery Boxes'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융합교육연구, 1, 39-52.
  23. 한혜숙, 이화정(2012). 융합인지교육(STEAM)을 실행한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3), 573-603.
  24. Bredekamp, S., & Rosegrant, T. (Eds.) (1995). Reaching potentials: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ssessment(Vol. 2).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5. Brophy, S., Klein, S., Portsmore, M., & Rogers, C. (2008). Advancing engineering education in P-12 classroom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7(3), 369-387. https://doi.org/10.1002/j.2168-9830.2008.tb00985.x
  26. Bybee, R. W. (1996). The contemporary reform of science education. In J. Rhoton, & P. Bowers (Eds.). Issues in science education (pp. 1-15). The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7. Campbell, T. (2011). Student motivation and interest as proxies for forming STEM identities. 2011 국제 STEM 교육세미나, 32-43.
  28. Cunningham, C. M., & Lachapelle, C. P. (2010). The impact of engineering is elementary(EiE) on students' attitudes toward engineering and science. In ASEE Annual Conference and Exposition, Louisville, KY.
  29. Hirsch, L. S., Gibbons, S. J., Kimmel, H., Rockland, R., & Bloom, J. (2013).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knowledge about engineering. In 2013 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FIE), 2, F2A7-12, IEEE.
  30. Koszalka, T. A., Wu, Y., & Davidson, B. (2007). Instructional design issues in a cross-institutional collaboration within a distributed engineering educational environment. Proceeding of World Conference on E-Learning in Corporate, Government, Healthcare, and Higher Education, 1650-1657.
  31. Miller, R., & Osborne, J.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London: King's College.
  32. Nam, Y. K., Lee, S. J., & Paik, S. H. (2016). The impact of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EIS) curricula on first-yea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erception of engineering.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2, 1881-1907.
  33.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