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측면에서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이 아시아 국가와 북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on Asian Countries and North Korean Economy in the Aspe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투고 : 2020.10.09
  • 심사 : 2020.10.14
  • 발행 : 2020.12.31

초록

중국의 신(新)실크로드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은 중국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한 육상 실크로드와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한 해상 실크로드로 나뉜다. 육상 실크로드는 대외교류 확대를 위해 주변 인접국가와의 인프라 연결 및 무역원활화 추진에 더욱 역점을 두고 있다. 해상 실크로드는 해상 인프라 구축과 해양 협력 강화를 일대일로 전략의 핵심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대일로의 오통 중에 경제협력과 가장 관련이 깊은 인프라, 자금, 무역 부문의 일대일로 진행상황에 대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를 개괄하고, 아시아 국가와 특히 중국의 경제에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는 북한의 일대일로 전략의 진행상황을 분석하였다. 중국은 일대일로 전략을 아시아 국가들과 인프라 연결을 위한 협력 체계 및 계획을 수립하고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관련 프로젝트의 실행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자금융통은 그 수준이 높지 않으며 지역별, 국가별, 항목별 격차가 크고 앞으로도 빠른 발전은 어려워 보인다. 무역창통 수준은 인프라 연결이나 자금융통보다 활발하게 무역교류와 투자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라 중국의 전체 무역량은 감소하였지만 일대일로 아시아 국가들과 무역규모는 크게 증가하였으며, 투자협력도 직접투자규모가 크게 증대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일대일로 추진에 있어서 중국의 ICT 기업의 활약이 두드러지면서 중국의 디지털 일대일로가 아시아국가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중국의 ICT기업은 일대일로의 인접국가인 동남아를 공략하면서 기술 수출과 콘텐츠 수출 등의 방식을 통해 현지에 서비스와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문화 융합을 추진하는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주도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sian countries on the economic field,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using data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influence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One-to-One Road Initiative on the economic sector by examining trade and investment in Asian countries adjacent to China. In particular, the One-to-One Road initiative is proceeding in a way that connects China and neighboring countries. It is to understand the dependence of the Asian countries in China on the Chinese economy.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derive implications by grasping and evaluating what the level is based on data. This study also attempts to grasp the influence and ripple effects of the one-on-one strategy on the Chinese economy and the North Korean economy, where dependence is deepening. Recently, the strategy for Asian countries through a one-to-one initiative in China has been restructured in the framework of the construction of the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and emphasizes the cooperation mechanism led by the country. In progress of the one Belt and One Road, Chinese ICT companies are remarkable. This study looked at the influence of China's digital one Belt and One Road on Asian countr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완중 (2014). 중국의 동남아 경제에 대한 영향력 변화 분석. 동북아경제연구, 269(3), 1-36.
  2. 김준영, 이현태 (2016). 일대일로 구상에서의 중국 동북-한국의 협력 평가와 시사점. 현대중국연구, 19(3), 524-527.
  3. 김홍원 외 (2016).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 중점지역의 추진동향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p. 18.
  4. 백서인, 김희태, 권상집 (2016). 중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혁신, 성장전략 및 산업정책의 시사점. 지식경영연구, 17(2), 75-101. https://doi.org/10.15813/kmr.2016.17.2.004
  5. 서종원 외 (2017). 중국 동북지역과 연계한 남북중 신(新)인프라 전략 연구-한반도 신경제지도와 중국 일대일로 연계를 중심으로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6. 신택수, 최종군 (2014). 중국현지기업의 사회자본이 지적자본과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5(3), 67-93.
  7. 오윤아 외 (2017). 아세안.중국 경제관계의 심화와 전망, KIEP 오늘의 세계경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8.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8). 중국몽(中國夢) '일대일로', 그 기회와 함정. 한중관계브리핑 칼럼.
  9. 이상준, 이백진, 이현주 (2015). 한반도 북방지역 인프라 개발계획과 협력전망. 국토연구원.
  10. 이수행, 조응래 (2015). 중국의 일대일로와 시사점. 경기연구원.
  11. 이승신, 김영선, 나수엽, 오윤미, 이현태, 조고운, 현상백 (2017).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평가와 한국의 대응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2. 이정균, 김준영, 임소정, 안국산, 미무라 미쓰히 (2016). 대북제재로 인한 북.중 접경지역 에서의 역거래 관행 변화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pp. 21-22.
  13. 이종운 (2015). 중국 경제력 신장이 북한 및 접경국가들에 미친 영향의 비교분석. 동북아경제연구, 27(4), 261-300.
  14. 이종운, 홍이경 (2013). 북.중 접경지역 경제교류 실태와 거래관행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5. 이주영 (2017). 일대일로와 중국의 對중앙아시아 통상관계분석. 한중사회과학연구, 15(2), 55-77.
  16. 임호열 외 (2016). 중국 주도의 신금융 질서 태동과 한국의 대응방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7. 전종규, 변경록, 박수현 (2019). 스마트 차이나, 중국 4차 산업혁명. 삼성증권.
  18.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0). 중국,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혁신 가속화-2020년 양회의 ICT 정책-. 정보통신기획평가 ICT Spot Issue 10호.
  19. 조동호, 남영숙 (2013). 중국의 정치경제 변화에 따른 북한경제의 진로와 남북경협의 방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 진정미 (2017). 중국의 일대일로와 동북아 경제협력의 확장성연구-남.북.중 접경지 물류.관광 협력 중심으로-. 동북아경제연구, 29(4), 79-122.
  21. 최명해(2012), 북한의 대중 '의존'과 중국의 대북 영향력 평가. 주요국제문제분석, 외교안보연구원, 10-11.
  22. 최필수 (2017, 9월 19일). 중국의 일대일로는 우리에게 그림의 떡인가.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1947817
  23. 최필수, 박영호, 권기수, 정재완, 이효진 (2013). 중국의 신흥시장 진출과 한국의 대응방안: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4.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09).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경제정책 향방과 국내 파급영향 및 시사점. 금융연구시리즈 12호, p. 35.
  25. 한국광물자원공사 (2009). 북한광물자원현황.
  26. 현승수 외 (2015). 동북아평화협력구상과 유라시아 협력 추진을 위한 다자주의적 접근. 통일연구원.
  27. 홍태호 외 (2017). 모바일 결제 시스템 이용 의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과 중국의 결제 시스템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8(4), 159-180. https://doi.org/10.15813/kmr.2017.18.4.007
  28. Griffith, R. T. (2017). Revitalizing the Silk Road: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Leiden, Netherlands: Hipe Publications.
  29. Levine, R. (1999). Law, finance, and economic growth. Journal of Financial Intermediation, 8, 8-35. https://doi.org/10.1006/jfin.1998.0255
  30. Li, Y., & Andreas, G. (2018).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 new model of regionalism. Shanghai Forum.
  31. Millward, J. (2018, May 4). Is China a colonial power? New York Times.
  32. Parton, C. (2018, October 3). Belt and road is globalisation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inancial Times.
  33. Salidjanova, N., & Koch-Weser, I. (2015). China's economic ties with ASEAN: A country-by-country analysis. US-China Economic and Security Review Commission.
  34. Simon, W. (2016, July 29). China, Laos say rail project to go ahead, pending environment study. Reuters.
  35. Szczudlik-Tatar, J. (2013). China's new silk road diplomacy. PISM Policy Paper, 34(82), 4.
  36. U.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015). Southeast Asia: Trends in U.S. and Chinese economic engagement. GAO-15-724, Report to Congressional Requests.
  37. Yiwei, W. (2016).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What will China offer the world in its rise. Beijing: New World Press.
  38. Yu, X., Rizzi, C., Tettamanti, M., & Ziccardi, F. (2016). China's belt and road: The initiative and financial focus. New Jersey: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39. Zhang, J. (2016).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its neighboring diplomacy. New Jersey: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40. Zhi, W. (2016). China's new silk road strategy and foreign policy toward central Asia. Southeast Review of Asian Studies, 38, 69-77.
  41. 中國國家信息中心 "一帶一路"大敷抵中心 (2016). 一帶一路. 大敷抵振告.
  42. 中國國家信息中心 "一帶一路"大敷抵中心 (2017). 一帶一路. 大敷抵振告.
  43. 中国人民大学 '一带一路'建设进展课题组 (2016). 坚持规划引领有序务实推进: '一带一路'建设三周 年进展报告. p. 13.
  44. 중국 IDC(中国IDC圈) (2020). 전국 12개 성시 신인프라 정책일람(全国十二省市新基建政策方案一览).
  45. https://www.aiib.org/en/projects/approved/index.html
  46.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0/22/2019102200325.html
  47. http://www.cadz.org.cn
  48.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26/2019042600170.html (2020.9.19.).
  49. https://www.iitp.kr/kr/1/knowledge/policyDataViewA.it?searClassCode=B_ITA_17&masterCod=publication&identifier=02-001-200820-000003
  50. http://www.jdqu.com/html/ckxx/2019/7/ 16/1298699-3.html
  51. http://www.mos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l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ld1=M OSF_000000000003867&menuNo=4010100 (2019.4.10.).
  52. https://www.mckinsey.com/industries/capital-projects-and-infrastructure/our-insights/one-belt-and-one-road-connecting-china-andthe-world
  53. http://news.xinhuanet.com/world/2016-06/23/c_1119099713.htm
  54. http://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827164.html#csix1306cf740fe7875b5c1bc289e71ec4d
  55. http://www.news.donga.com/3/all/20180917/92027830/1
  56. https://www.premiumnews.co.kr/service/search.do
  57. http://www.withpress.co.kr/archives/4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