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Stakeholder Issues in the Implementation of Telemedicine Services: Based on Grounded Theory

원격의료 서비스 실행과정에서의 이해관계자 이슈 분석: 근거이론 접근

  • Received : 2020.08.20
  • Accepted : 2020.10.11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Recently, implementation of telemedicine in Korea has been conducted as one of pilot projects with public health doctors. To manage and expand telemedicine services sustainab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ositions of various stakehol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describe major phenomena around stakeholders related to telemedicine to capture major issue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elemedicine. This study interviewed 24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public health do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ilot project for telemedicine servi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manuscript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otally 68 concepts were derived at the coding stage, and 19 sub-categories, 11 categories, were propos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process. In addition, through the elicitation concepts and categories of this study,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were explained, conceptual models that presented the process of resolving conflicts, and five types of stakeholders were proposed.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captures and describes important issues from stakeholders in telemedicine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give some hints for problem solving to all of the stakeholders who wish to successfully build telemedicine services.

최근 국내 원격의료 시행은 공중보건의사와 함께 시범사업 중 하나로 추진되고 있다. 원격의료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의료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을 중심으로 주요 현상을 관찰하고 기술하여 원격의료 실행에 따른 주요 이슈를 포착함에 있다. 본 연구는 원격의료 서비스 시범사업에 참여한 공중보건의사를 포함하여 24명의 연구참여자와 인터뷰 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인터뷰 원고를 분석한 결과, 코딩 단계에서 총 68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범주화 과정을 통해 19개의 하위 범주, 11개의 범주를 제안하였다. 아울러서 본 연구의 도출개념과 범주를 통해 이해 이해관계자 간 갈등을 설명하고 갈등 해결과정을 제시하는 개념 모델과 이해관계자의 5가지 유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원격의료 서비스에서 이해관계자로부터 중요한 이슈들을 포착하여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격의료 서비스 구축 성공을 희망하는 이해당사자들에게 당면 문제의 해결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대영, 조현승 (2010). 홈 네트워크기반 원격진료서비스 및 원격건강관리서비스 소비자 이용 의향 결정요인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6(1), 74-81.
  2. 권명순, 박동진, 최정화 (2013). 보건진료원의 원격관리경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0(2), 23-39. https://doi.org/10.14367/kjhep.2013.30.2.023
  3. 김경희, 이명옥, 이재국, 류시원 (2008). 원격의료시스템을 활용한 보건진료소에 등록된 고혈압 환자의 치료순응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3(2), 59-76.
  4. 김은정 (2017). 한국의 사회학 연구영역에서의 근거이론의 활용 방법과 전개, 그리고 향후 방향의 모색: 한국사회학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51(3), 37-70.
  5. 김정겸, 김지숙 (2010).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대학생의 수업참여 특성 이해. 한국교육, 37(4), 149-185.
  6. 김종엽, 이관익 (2020). 비대면 의료서비스의 장점 및 필요성. 대한내과학회지, 95(4), 217-227.
  7. 류시원 (2004). 보건의료분야 정보통신 기술 활용 동향분석. 보건복지포럼.
  8. 류시원, 조재국, 송태민, 이상영, 강은정, 장원익, 이현실, 안무업, 이규은 (2004).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원격의료 수용성 제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박상철 (2019). 그림자노동 차원에서 본 IT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행동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28(2), 93-107.
  10. 박상철, 이웅규 (2019). 문헌 고찰을 위한 근거이론방법의 활용: 디지털 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개념 도출. 지식경영연구, 20(2), 183-195. https://doi.org/10.15813/kmr.2019.20.2.009
  11. 박수경 (2011). 일본 원격진료의 지역화 형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카가와현(香川県)을 통한지방의 원격진료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학회지, 46(4), 501-517.
  12. 신은규 (2011). 도시.농어촌 복합형 u-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시범사업의 이용행태분석.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348-358.
  13. 심재윤, 이종호, 박수호, 정우진 (2019). 기업의 ICT 투자가 '고용 없는 성장'을 이끄는가? 지식경영연구, 20(3), 1-16. https://doi.org/10.15813/kmr.2019.20.3.001
  14. 유근준 (2008). 대상관계의 변화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5. 윤강재, 송태민, 최성은, 정 연, 이기호 (2016). 정보통신기술(ICT)과 보건의료서비스 융합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51), 32-36.
  16. 이순자, 문정호, 장은교, 박형서, 김강민, 김재신 (2012). 지역개발사업 관련 공공갈등 해결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국토연구, (74), 195-220.
  17. 이재국 (2010). 보건진료소 만성질환 원격의료 서비스의 질과 접근성이 환자만족도, 치료순응도,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5(2), 149-176.
  18. 이정선, 이민정 (2016). A study of the effect of medical service quality on patient satisfaction with a focus on the telemedicine service of colonoscopi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1(3), 47-56. https://doi.org/10.9708/jksci.2016.21.3.047
  19. 이진수 (2014).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과 주요기업 동향. 보건산업브리프, 140, 1-12.
  20. 조문숙, 이향열 (2017). 가정간호사업 기반 원격의료 서비스 모델 구축. 대한보건연구, 43(2), 97-99.
  21. 조창익 (2017). 의료부분의 ICT 융합 관련 규제의 현황과 개선과제: 원격의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3(2), 12-19.
  22. 최영래, 배재윤 (2018).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강사의 학교체육환경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체육과학연구, 29(3), 19-20.
  23. 최용전 (2015). 원격의료에 관한 의료법의 개정방안 연구. 한국공법학회지, 44(1), 604-611.
  24. 최현숙, 박규용 (2015). 환자와 의사간 원격의료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과정책, 21(1), 297-324. https://doi.org/10.36727/JJLPR.21.1.201503.011
  25. 홍병선, 고준 (2019). 고객서비스 정보시스템 재구축과 신규구축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사례연구. 지식경영연구, 20(3), 17-38. https://doi.org/10.15813/kmr.2019.20.3.002
  26. Bashshur, R. L. (1995). Telemedicine effects: Cost, quality, and access. Journal on Medical System, 19(2), 81-91. https://doi.org/10.1007/BF02257059
  27. Caffery, L., Farjian, M., & Smith, A. (2016). Telehealth interventions for reducing waiting lists and waiting times for specialist outpatient services: A scoping review.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22(8), 504-512. https://doi.org/10.1177/1357633X16670495
  28. Charmaz, K. (2000). Grounded theory: Objectivist and constructivist methods.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509-534). Thousand Oaks, CA: Sage.
  29. Cutchin, M. (2002). Virtual medical geographies: Conceptualizing telemedicine and regionalization.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6, 19-39. https://doi.org/10.1191/0309132502ph352ra
  30. Pruitt, D. G., & Jeffrey, Z. R. (1986). Social conflict: Escalation, stalemate, and settlement. New York, NY: McGraw-Hill.
  31. Strauss, A. L.,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SAGE Publications.
  32.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 and techniques. London: Sage.
  33. Strauss, A., & Corbin, J. (1998).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 overview.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Strategies of quality inquiry. London: Sage.